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알프레드 화이트헤트
· ISBN : 978898730455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05-05-25
목차
제I부 사변적 구도
제I장 사변철학
제I절 사변철학; 관념들의 정합적, 논리적, 필연적 체계; 경험의 해석
제II절 통찰과 언어의 결함; 관찰의 조건들; 경직된 경험론, 상상력, 일반화; 정합성과 부정합성; 창조성, 궁극자
제III절 합리주의와 독단주의; 모체로서의 도식, 참과 거짓의 명제, 모체의 사용; 실험적 모험
제IV절 철학과 과학, 일반성의 등급; 수학의 독단적 영향; 철학의 진보
제V절 언어의 결함; 명제와 그 배경; 형이상학적 전제; 언어에 대한 지나친 믿음; 형이상학과 실천; 형이상학과 언어적 표현
제VI절 사변철학과 지나친 야심; 지나친 야심, 독단주의와 진보; 해석과 형이상학; 경험의 보다 고차적인 요소, 주체성과 형이상학적 정정; 철학에 의해 결합되는 도덕성, 종교, 과학; 종교와 과학의 대비; 결론
제II장 범주의 도식
제I절 네 개의 관념, 즉 현실적 존재, 파악, 결합체, 존재론적 원리; 데카르트와 로크; 구체가 아닌 추상을 설명하는 철학
제II절 4조의 범주들; 궁극자의 범주; 연접과 이접; 창조성, 새로움의 원리, 창조적 전진; 공재성, 합생; 존재의 여덟 가지 범주; 설명의 스물일곱 가지 범주
제III절 아홉 가지 범주적 제약
제IV절 예비적 주석; 자기모순인 완전한 추상; 불안정의 원리와 상대성 원리; 현실적 존재는 결코 변하지 않는다; 계기의 소멸과 그 객체적 불멸성; 목적인과 작용인; 다수성; 실체
제III장 몇 개의 파생적 관념들
제I절 신의 원초적 본성; 관련성, 신의 질서; 신의 결과적 본성; 창조성과 그 성격의 획득; 피조물, 객체적 불멸성, 욕구, 새로움, 관련성; 욕구와 정신성, 개념적 파악, 순수한 파악과 불순한 파악; 동의어와 유사성, 즉 개념적 파악, 욕구, 직관, 물리적 목적, 통찰, 직시 · 180
제II절 사회적 질서, 한정하는 특성, 실체적 형상; 인격적 질서, 순차적 계승, 존속하는 객체; 입자적 사회
제III절 시간에 대한 고전적 관념, 유일한 순차성; 생성의 연속성, 연속성의 생성, 제논; 원자론과 연속성; 빛의 입자설과 파동설
제IV절 의식, 사고, 감각 지각은 경험의 사례에 있어 비본질적인 요소들이다
제II부 논의와 적용
제I장 사실과 형상
제I절 사실에의 호소, 유럽의 전통;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 로크, 흄, 칸트; 본질적인 합리성; 플라톤에 대한 각주; 이 우주론은 플라톤적인 것이다; 관여하는 형상; 신의 질서 작용; 존재론적 원리; 사실이 유일한 근거이다; 사실은 과정이다; 파악, 만족
제II절 합리주의는 신념이며, 희망의 모험이다; 이론의 한계, 소여성, 플라톤에 관한 A. E. 테일러 교수; 결단, 존재론적 원리; 존재와 과정, 현실적 존재와 결단; 완강한 사실
제III절 플라톤적 형상, 관념, 본질, 영원한 객체; 가능태와 소여성; 여건의 배제; 주체-자기초월체, 생성과 존재; 합생에 있어서 미결정성의 소멸, 결정적이며 배타적인 만족; 양극적 합생; 가능태, 소여성, 불가능성, 자체적 존재
제IV절 현실적 계기는 내적으로 결정되어 있으며, 외적으로 자유롭다; 역사의 진로는 필연적인 것이 아니다; 완전성이란 없다; 작용인과 최종적인 반작용; 신의 원초적 자유; 일정한 자유로운 창시와 일정한 자유로운 종결 사이에 있는 각각의 합생, 전자는 대우주적이며 후자는 소우주적이다
제V절 보편자와 특수자, 잘못된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부적당한 용어; 데카르트와 흄으로부터의 예증; 데카르트의 또 다른 학설, 객체적 실재, 감각적 직관, 정신적 직관, 판단; 주어와 술어, 실체와 성질, 특수자와 보편자에 의해서는 기술될 수 없는 세계; 보편적 상대성
제VI절 로크의 ??인간 지성론??, 그것과 유기체 철학의 일치; 지성을 경험으로 대치시킨다; 관념과 파악; 관념에 대한 로크의 두 학설, 개별 사물의 관념, 지각 표상설; 논리적 단순성과 발생적 우선성이 동일시되어서는 안 된다; 실체, 외적 사물, 사회; 우주의 연대성
제VII절 로크의 힘의 학설, 힘과 실체; 인과적 객체화와 현시적 객체화; 변화란 영원한 객체의 모험을 의미한다; 실재적 본질, 추상적 본질; 유기체의 학설과 현실적 존재의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