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88165829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07-07-18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1. 지금 동양문화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2. 문화는 개별적이면서 보편적이다
3. 전통문화에 대한 전일(全一)적 이해
4. 문화적 가치체계란 무엇인가?
5. 초월세계와 현상세계의 교섭
6. 서구 근대화 세속화
7. 동양의 가치 근원
8. 동양에서 인간 존엄성의 확립
9. 동양문화의 내향적 성격
10. 인간과 천지만물의 하나 됨
11. 내향문화의 인문주의적 경향
12. 인간관계의 다섯 가지 윤리: 오륜(五倫)
13. 동양인의 가치체계
14. 예와 개인주의
15. 동양적 전통과 민주정치
16. 동양사상에서 수양론의 중요성
17. 자아에 대한 동양인의 태도와 현대생활
18. 전통적 자아관의 현대화 가능성
19. 동양은 삶과 죽음을 어떻게 보았는가
20. 동양문화와 현대생활의 조화
21. 동양적 가치체계의 미래
옮긴이의 말
리뷰
책속에서
동양문화가 현대과학을 발전시키지 못하였다는 것은 별개의 문제지만, 과학을 대하는 동양인의 입장은 개방적이었다. 바꾸어 말하면 내향 초월형인 동양문화는 가치 근원을 '실재화', '형식화' 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서양처럼 신의 개념으로부터 파생되어 나온 일련의 체계를 갖춘 이론이어야 한다는 부담은 가지고 있지 않았다.-p66 중에서
동양인의 자아 관념은 대체로 현대생활에 적합하지만, 조정되어야 할 부분도 물론 있다. 전통적 수양론은 인성가운데 '상층' 일면만을 지나치게 강조하며 '하층'과 '심층'의 일면을 소홀히 한다. 뿐만 아니라 종종 외재적 사회 규범과 내재적 가치의 근원을 혼동하여 구분하지 않는다. 즉 프로이트가 말한 '초자아'와 '죄책감'이 종종 혼동되어 구분되지 않는 것이다.-p153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