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의례 1

의례 1

(고대사회의 이상과 질서)

오강원 (옮긴이), 가공언, 정현
청계(휴먼필드)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의례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의례 1 (고대사회의 이상과 질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88988473214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00-09-30

책 소개

중국의 핵심 고전인 <儀禮>(十三經注疏本)를 국내 최초로 완역한 것. 굳이 조선시대의 예송 논쟁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禮는 조선시대에 개인과 가정, 사회와 국가의 질서틀이었다. 역자는 이 책을 자세히 번역·해설하면서, 동한(東漢)의 대유학자였던 정현(鄭玄)의 주석을 모두 번역해 실고, 唐나라 가공언(賈公彦)의 주석도 첨가했다.

목차

<제 1권>

의례 번역에 부쳐
번역을 마치며
의례 해제

의례주소서儀禮注疏序
의례소서儀禮疏序

사관례士冠禮 제일第一
경문(經)
기문(記)

사혼례士昏禮 제이第二
경문(經)
기문(記)

사상견례士相見禮 제삼第三
경문(經)

향음주례鄕飮酒禮 제사第四
경문(經)
기문(記)

<제 2권>

향사례鄕射禮 제오第五
경문(經)
기문(記)

연례燕禮 제육第六
경문(經)
기문(記)

대사의大射儀 제칠第七
경문(經)

<제 3권>

빙례聘禮 제팔第八
경문(經)
기문(記)

공식대부례公食大夫禮 제구第九
경문(經)
기문(記)

근례覲禮 제십第十
경문(經)
기문(記)

- 의례의 주요 연구자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오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고고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교수. 「남한지역 세형동검의 조합 및 부장 양상 전개와 그 의미」, 「철기시대 남한지역 통나무관의 발생과 전개」, 「경기~강원지역 동검 부장묘의 연대와 성격: 직인계동검과 세형동검」, 「남한지역 세형동검의 출현과 전개」 등
펼치기
가공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공언(생몰년 미상)은 唐나라 사람으로 洛州 永年縣 출신이다. 어릴 때부터 경학에 뜻을 품어 漢代 이래 여러 傳本과 주석을 오랫동안 연구하였다. 그 결과 經學으로 명성을 떨치면서 永徽 연간(650∼655년)에 太學博士에 제수되었다. 저서로 <儀禮義疏> 40권과 <周禮義疏> 50권 등이 있다.
펼치기
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27년(후한 순제順帝 2)에 태어나 200년(후한 헌제獻帝 12)에 별세하였다. 자는 강성康成이고 북해 고밀현高密縣(현재 산동성 고밀高密시) 출신이다. 『후한서』 「정현전」에 따르면, 젊어서 향색부鄕嗇夫의 일을 하다가 태학에 들어가 제오원선第五元先에게 『경씨역京氏易』, 『공양춘추公羊春秋』, 『삼통력三統歷』, 『구장산술九章算術』을 공부하였고, 장공조張恭祖에게 『고문상서古文尙書』, 『주례周禮』,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을 배웠다. 정현이 산동 집으로 돌아갈 때 마융은 “나의 도가 동쪽으로 가는구나!”라고 탄식하였다고 한다. 귀향한 뒤에 소작을 하면서 제자들을 가르쳤는데 천 명이 넘었다. 당고黨錮의 화禍가 발생하자, 정현도 금고禁錮를 당하여 두문불출하고 저술에 몰두하였다. 정현은 고문경학을 위주로 금문경학의 설을 함께 채택하여 『주역』, 『모시毛詩』, 『의례』, 『주례』, 『예기』, 『논어』, 『효경』 등을 주석하였고, 「건상력乾象歷」, 「천문칠정론天文七政論」, 「상서대전尙書大傳」, 「상서중후尙書中侯」, 「노례체협의魯禮禘袷義」, 「육예론六藝論」, 「모시보毛詩譜」, 「박허신오경이의駁許慎五經異義」, 「답임효존주례난答臨孝存周禮難」 등을 지었다. 정현의 주석은 제도와 명물의 훈고가 간명하면서도 상세하고, 고문경학과 금문경학을 종합하여 한대 경학을 집대성하였다. 당 태종은 정현을 22명의 “선사先師”의 반열에 올리고 공자묘孔子廟에 배향하였다. 송대에 이르러 고밀백高密伯에 추봉追封되었다. 정현이 『주례』, 『의례』와 『예기』에 대하여 주석을 가하면서 “삼례三禮”라는 명칭이 생겼다. 오늘날 전하는 『의례』는 정현이 정한 본이다. 『예기』는 대성이 찬집한 이후 유향劉向(기원전77~기원전6)의 『별록別祿』본을 비롯하여 여러 본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현은 노식盧植과 마융馬融의 본을 활용하여 여러 이본을 참고하면서 정본을 편성하였고, 정현본이 오늘날까지 기준본이 되었다. 정현의 저작은 『모시전毛詩箋』, 『주례주周禮注』, 『의례주儀禮注』, 『예기주禮記注』 등만 전하고 나머지는 산일되었다. 마국한馬國翰(1794~1857)의 『옥함산방집일서玉函山房輯逸書』에 일부가 전하고, 돈황燉煌에서 『논어주』 사본 일부가 발굴되어 복원되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