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중국소설
· ISBN : 9788988902516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02-12-20
목차
제 1 장 문학의 탄생
원시적 모습의 한 단면
취한 듯 미친듯한 원시 가무
기묘한 고대 신화 (환상이 가공된 세계/신화와 전설의 합류/민족문화의 발원지)
기묘한 한자 (새끼매듭으로부터 그림에 의한 기사까지)
한자와 중국문학의 특징 (금속에 응축된 역사)
최초의 시가 전집―『시경』(생동감 넘치는 사회의 풍경화/운韻이 담긴 역사/찬란한 시발점)
굴원과 초사 (‘아래위로 찾아 헤맨’ 비가悲歌/가슴 저미도록 요염함에 사로잡힌 제신祭神의 노래/“굴평의 사부辭賦가 일월에 걸리었네”)
진?한 시기의 산문 (만세에 남을 문장의 모범/ 사마천과 『사기』)
한나라 때의 사부
제 2 장 시가 ― 서정의 시대 (상)
한나라 때의 시단 (악부민가/문인 5언시)
건안 시가 (건안풍골/조씨삼걸)
정시와 태강 문학 (울분이 애가로 변하다/정시보다 화려한 문체, 건안보다 유약한 힘/전원시의 개척자-도연명)
남북조의 악부민가 (강남도시풍의 경쾌하고도 아름다운 음악/북방초원의 호방한 노래)
남북조 시가 (지기로서의 산수/‘다섯 장사가 산을 뚫는’듯한 작품/영명체/발군의 빛을 발한 소사/고향을 그리며 나라를 위해 눈물 흘린 작품들)
제 3 장 시가 ― 서정의 시대(하)
초당 시단 (제齊?양梁의 유풍/재주는 뛰어나나 운명이 순조롭지 않았던 사걸 四傑/율시의 완성/앞으로는 예 사람을 보지 못하고, 뒤로는 올 이들을 보지 못하네)
성당 ― 중국 고전시가의 절정(우뚝 솟은 시인군/황량한 변경을 지키는 자들의 비장한 노래/시와 그림과 선禪의 융합/성당 시인의 으뜸-이백/시성 두보)
신국면을 연 중당 시인 (신악부新樂府 시인/고문가와 그 시가/험괴險怪와 고음苦吟)
찬란한 최후의 불꽃 ― 만당시 (풍류스럽고 소탈한 두목/명성은 아름다운 글귀에 있지만, 신새는 옥 거문고같이 뻗어 있네/당시의 종결)
제 4 장 당송소설
소설의 이전 역사 (‘소설’의 출현/육조 소설)
초기 당 전기
중당 시기의 전기 (황량일취몽/여성의 형상/의협심과 담력에 대한 찬가/소설모음집)
당대의 속문학
송대의 소설(새롭게 편집한 지괴와 필기/송대전기/화본소설話本小說)
제 5 장 시가의 변체―사곡詞曲의 시대
사의 기원과 만당 오대사 (새롭게 흥성한 음악문학/돈황 곡지사/『화간집』/동으로 흘러가는 봄 강물)
북송 사단 (화간?남당 사풍의 만연/만사慢詞의 흥성과 언지파言志派의 궐기/전능한 천재작가 소식/한가로이 술잔을 기울이며 낮은 소리로 읊조리는 북송 말기의 사)
북송의 시문 (송초의 시풍과 서곤체西昆體/시문 혁신운동/황정견과 강서시파)
송 왕조 남도 후 문학의 돌변 (예로부터 남아로 불린 방옹/사단의 비장 飛將 신기질/전원시?성재체成齎體와 기타/시가 비평의 걸작 『창랑시화』/금대문학의 태두 원호문)
산곡散曲 (사체의 탈바꿈과 산곡의 흥기/원대 전기의 산곡/원대 후기 및 명대의 산곡)
제 6 장 희극문학
길고 더딘 탄생과정 (원시 가무에서 당대 참군희까지/와사瓦舍 구란勾欄속의 송대 잡극/금의 원본院本과 송?금의 제궁조諸宮調/초기의 남희)
원대 잡극 개관(1) (희극 황금시기의 도래/원대 잡극의 내용과 체제/잡극의 태두 관한경/우아하고 아름다운 애정극 『서상기』/휘황찬란한 원대 전기 잡극)
원대 잡극개관 (2) (원대 잡극의 쇠퇴와 그 원인/원대 후기의 유명한 잡극작가)
원대 남희의 유행과 발전 (원대 남희의 예술적 발전/사대전기 ‘형荊?유劉?배拜?살殺’/‘남곡의 최고작’인 『비파기』)
명대 희극 (끊임없는 잡극의 창작/가정 시기를 대표하는 전기傳記 세편/명대 전기의 달인 탕현조/명말 전기 창작의 번영)
청대 희극 (『장생전』/『도화선』/화부희)
제 7 장 명청 소설
명대의 장편 소설 (명대 도시경제와 소설의 열기/나관중과 『삼국연의』/시내암과 『수호전』/오승은과 『서유기』/타락한 세태를 폭로한 『금병매』)
명대의 단편소설 (당?송 전기를 이어받은 ‘삼등三燈’/의화본의 유행/퐁몽룡의 ‘삼언’/능몽초의 ‘이방’/육인룡의 『형세언』)
명대의 시가
명대의 산문
청대의 소설 (포송령과 『요재지이』/오경재와 『유림외사』/조설근과 『홍루몽』)
청대의 시
청대의 사
청대의 산문
새 시대를 노래함
제 8 장 신세기의 문학
문학의 형태 전환 (변혁을 잉태하고 있는 역사/만청의 문학개량운동)
5?4 신문화운동 (『신청년』파와 『학형』팡의 논쟁/인간의 발견/새로운 문학형식의 탄생/문학언어의 변혁/노신)
규범의 건설 (경파와 해파/‘대양’에서 물장구치기/‘도시의 스카이라인’/‘예향 북경’과 이를 만든 사람들/‘마직막 낭만파’/중국의 현대파 시인/현대적 극장예술의 성숙)
전쟁시기 (전쟁과 떠돌이 생활/땅의 아들/‘가정’과 ‘부잣집 자식들’/생명에의 사색/창백한 손짓/전쟁의 폐허 속에 나타난 ‘햄릿’/지식인의 전환)
찬송과 추방 (“가거라, 스튜어트여”/‘계획화 ’궤도/소리 높여 노래하라/혁명영웅의 로망스/문학적 수난자/대만 향토문학과 현대파 문학/통속소설의 역사적 발전/유린당한 10년)
되살아난 문학 (사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새로운 시풍의 탄생)
문학의 뿌리를 찾아서 (희극의 예술적 실험/선봉소설의 흥성/후기 신시풍 시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