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혜서장

대혜서장

(참선은 이런 것이다)

김태완 (지은이)
침묵의향기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600원 -10% 0원
1,200원
20,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1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혜서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혜서장 (참선은 이런 것이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89590705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18-02-01

책 소개

《대혜서장》은 간화선의 창시자인 대혜종고 스님이 주로 사대부들과 참선에 관해 주고받은 65편의 편지글을 모은 책으로서 간화선의 교과서이자 탁월한 참선의 지침서다. 대혜 스님은 이 편지글들을 통해 간화선의 본래 모습이 어떤 것인지, 참선(參禪)이란 어떤 것인지를 보여 준다.

목차

1. 증시랑(曾侍郞) 천유(天游)가 묻는 편지
2. 증시랑(曾侍郞) 천유(天游)에 대한 답서 ⑴
3. 증시랑(曾侍郞) 천유(天游)에 대한 답서 ⑵
4. 증시랑(曾侍郞) 천유(天游)에 대한 답서 ⑶
5. 증시랑(曾侍郞) 천유(天游)에 대한 답서 ⑷
6. 증시랑(曾侍郞) 천유(天游)에 대한 답서 ⑸
7. 증시랑(曾侍郞) 천유(天游)에 대한 답서 ⑹
8. 이참정(李?政) 한로(漢老)가 묻는 편지 ⑴
9. 이참정(李?政) 한로(漢老)에 대한 답서 ⑴
10. 이참정(李?政) 한로(漢老)가 묻는 편지 ⑵
11. 이참정(李?政) 한로(漢老)에 대한 답서 ⑵
12. 강급사(江給事) 소명(少明)에 대한 답서
13. 부추밀(富樞密) 계신(季申)에 대한 답서 ⑴
14. 부추밀(富樞密) 계신(季申)에 대한 답서 ⑵
15. 부추밀(富樞密) 계신(季申)에 대한 답서 ⑶
16. 이참정(李?政) 한로(漢老)의 별지(別紙)에 대한 답서
17. 진소경(陳少卿) 계임(季任)에 대한 답서 ⑴
18. 진소경(陳少卿) 계임(季任)에 대한 답서 ⑵
19. 조대제(趙待制) 도부(道夫)에 대한 답서
20. 허사리(許司理) 수원(壽源)에 대한 답서 ⑴
21. 허사리(許司理) 수원(壽源)에 대한 답서 ⑵
22. 유보학(劉寶學) 언수(彦修)에 대한 답서
23. 유통판(劉通判) 언충(彦?)에 대한 답서 ⑴
24. 유통판(劉通判) 언충(彦?)에 대한 답서 ⑵
25. 진국태부인(秦國太夫人)에 대한 답서
26. 장승상(張丞相) 덕원(德遠)에 대한 답서
27. 장제형(張提刑) 양숙(暘叔)에 대한 답서
28. 왕내한(汪內翰) 언장(彦章)에 대한 답서 ⑴
29. 왕내한(汪內翰) 언장(彦章)에 대한 답서 ⑵
30. 왕내한(汪內翰) 언장(彦章)에 대한 답서 ⑶
31. 하운사(夏運使)에 대한 답서
32. 여사인(呂舍人) 거인(居仁)에 대한 답서
33. 여랑중(呂郞中) 융례(隆禮)에 대한 답서
34. 여사인(呂舍人) 거인(居仁)에 대한 답서 ⑴
35. 여사인(呂舍人) 거인(居仁)에 대한 답서 ⑵
36. 왕장원(汪狀元) 성석(聖錫)에 대한 답서 ⑴
37. 왕장원(汪狀元) 성석(聖錫)에 대한 답서 ⑵
38. 종직각(宗直閣)에 대한 답서
39. 이참정(李?政) 태발(泰發)에 대한 답서
40. 증종승(曾宗丞) 천은(天隱)에 대한 답서
41. 왕교수(王敎授) 대수(大受)에 대한 답서
42. 유시랑(劉侍郞) 계고(季高)에 대한 답서 ⑴
43. 유시랑(劉侍郞) 계고(季高)에 대한 답서 ⑵
44. 이랑중(李郞中) 사표(似表)에 대한 답서
45. 이보문(李寶文) 무가(茂嘉)에 대한 답서
46. 향시랑(向侍郞) 백공(伯恭)에 대한 답서
47. 진교수(陳敎授) 부경(阜卿)에 대한 답서
48. 임판원(林判院) 소첨(少瞻)에 대한 답서
49. 황지현(黃知縣) 자여(子餘)에 대한 답서
50. 엄교수(嚴敎授) 자경(子卿)에 대한 답서
51. 장시랑(張侍郞) 자소(子韶)에 대한 답서
52. 서현모(徐顯模) 치산(稚山)에 대한 답서
53. 양교수(楊敎授) 언후(彦候)에 대한 답서
54. 루추밀(樓樞密) 중훈(仲暈)에 대한 답서 ⑴
55. 루추밀(樓樞密) 중훈(仲暈)에 대한 답서 ⑵
56. 조태위(曺太尉) 공현(功顯)에 대한 답서
57. 영시랑(榮侍郞) 무실(茂實)에 대한 답서 ⑴
58. 영시랑(榮侍郞) 무실(茂實)에 대한 답서 ⑵
59. 황문사(黃門司) 절부(節夫)에 대한 답서
60. 손지현(孫知縣)에 대한 답서
61. 장사인(張舍人) 장원(狀元)에 대한 답서
62. 탕승상(湯丞相) 진지(進之)에 대한 답서
63. 번제형(樊提刑) 무실(茂實)에 대한 답서
64. 성천규(聖泉珪) 화상(和尙)에 대한 답서
65. 고산체장로(鼓山逮長老)에 대한 답서

저자소개

김태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했으며 부산대학교에서 「중국 조사선의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대학원에서 선학(禪學)을 전공하던 중 스승인 박홍영 거사를 만나 본격적으로 선을 참구하기 시작했다. 이후 2002년 부산에서 무심선원을 개원한 이래 20년이 넘도록 선원장으로서 수행자들을 이끌고 있으며 현재 서울, 부산, 대구 등 전국 각지에서 꾸준히 법회를 열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는 『마조어록』, 『달마어록』, 『육조단경』, 『황벽어록』, 『임제어록』, 『무문관』, 『백장어록』, 『대혜서장』, 『대혜법어』, 『대혜보설』, 『禪으로 읽는 대승찬』, 『禪으로 읽는 신심명』, 『禪으로 읽는 반야심경』, 『禪으로 읽는 금강경』, 『禪으로 읽는 마하무드라의 노래』, 『禪으로 읽는 증도가』(상·하), 『禪으로 읽는 사라하의 노래』, 『禪으로 읽는 달마』, 『간화선 창시자의 禪』(상·하), 『대혜보각선사어록』(1∼6), 『마음공부? 무엇이든 물어보세요』(1∼3), 『조사선의 실천과 사상』, 『임제 100할』, 『바로 이것!』, 『유마경』, 『금강반야경 문수반야경』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다만 하루 종일 가고 머물고 앉고 눕는 가운데 때때로 자신에게 일깨워 주시고 때때로 자신에게 말해 주셔서,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 “없다.”를 일상의 삶에서 떼어 놓지 마십시오. 한번 이와 같이 공부해 보십시오. 한 달이나 열흘쯤 지나면 문득 스스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만약 일상생활을 떠나 따로 갈 곳이 있다면, 이는 물결을 떠나 물을 찾는 꼴이며 그릇을 떠나 금(金)을 찾는 꼴이어서, 찾을수록 더욱 멀어질 것입니다.


대개 세상에서 산전수전 다 겪은 사람은 오래도록 번다하고 피곤한 세간의 일에 집착해 있다가 문득 누구에게 고요한 곳에서 공부하라는 가르침을 받고서 잠깐이라도 가슴속에 일이 없어지면 곧 이것을 마지막 안락한 곳이라 여기지만, 이것은 돌로 풀을 잠시 눌러 놓는 것과 같은 것임을 전혀 알지 못합니다. 비록 잠시 소식이 끊어짐을 느끼겠지만, 뿌리는 여전히 남아 있으니 어찌하겠습니까? 이래서야 적멸(寂滅)을 철저히 얻을 때가 있겠습니까?


모름지기 자기 자신이 스스로 보고 스스로 깨달아야만, 저절로 옛사람의 말에 휘둘리지 않고 오히려 옛사람의 말을 휘두를 수 있습니다. 깨끗한 마니주(摩尼珠)가 진흙탕 속에 아무리 오래 놓여 있더라도 때가 낄 수 없는 것은 그 바탕이 본래 깨끗하기 때문입니다. 이 마음도 그와 같아서 어리석을 때에는 잡다하고 피곤한 경계에 속아서 물들지만, 이 마음의 바탕은 마치 연꽃이 물에 젖지 않듯이 본래 물들지 않는 것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