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문화/예술/인물 > 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91221710
· 쪽수 : 164쪽
· 출판일 : 2010-10-18
책 소개
목차
1. 한나절에 깨우친 한글
-처음 수출한 한글
2. 한글은 누가 만들었을까?
-한글 외에 창제자가 밝혀진 문자가 또 있을까?
3. 세종 대왕은 어떤 사람?
-한글이 과거 시험 필수 과목이었다고?
4. 한글 완성! 그런데 무슨 일이?
-한글을 입고 태어난 책들
5. 한글을 만든 원리
-사라진 옛 글자
6. 한글은 모아쓰기 글자
-한글 글자꼴의 변화
7. 한글, 실제로 어떻게 얼마나 쓰였을까?
-마음을 담은 한글 편지
8. 백성들은 한글을 어떻게 배웠을까?
-한글의 이름은 원래 ‘한글’이었을까?
9. 한글, 날개를 달다
-외국인이 본 한글과 우리나라
10. 한글 살아남기
-한글날 이야기
11. 한글, 세계 속으로
-모든 언어를 표기하는 국제정음기호
▶ (부록) 배유안 선생님의 한글 특강
특강1 《훈민정음해례》 살펴보기
특강2 ㄱ, ㄴ, ㄷ의 이름
특강3 한글 이전에는 한자만 썼을까?
특강4 한글은 세계 유일의 자질 문자일까?
특강5 한글과 닮은 문자들이 있다고?
특강6 국어사전 탄생의 비밀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진이가 《초급 한국어》라는 책을 폈다. 첫 장에 한글 자음과 모음이 커다랗게 적혀 있었다. 신스케가 책을 마키코 앞으로 당기더니 신나게 설명했다.
“한글은 신기해. ‘ㄱ’ 하고 ‘ㅏ’를 합치면 ‘가’가 되고 ‘ㄱ’ 하고 ‘ㅗ’를 합치면 ‘고’가 돼. 그리고…….”
신스케는 이리저리 줄긋기를 하며 일본어로 단숨에 설명하고 있었다.
- 한나절에 깨우친 한글
“마키코는 꿈이 가수래요.”
“그래? 그렇다면 세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겠는걸! 세종은 왕자 시절에 풍류의 대가인 큰형 양녕 대군에게 거문고와 가야금을 가르쳤다고 해. 실록에도 거문고와 비파 등 정통하지 않은 것이 없다고 기록되어 있어.”
“세종이 음악을 중시했다니, 새로운 사실이에요.”
“세종은 조선 사람의 음악 정서가 중국 사람과 다르다는 것을 예사롭게 생각하지 않았어. 그래서 궁중에서 쓰던 중국 음악도 조선에 맞게 모두 새로 만들도록 했지. 게다가 배우고 익히는 데서 그치지 않고, 그걸 뛰어넘어 자신만의 창의성 넘치는 생각을 해냈지. 그게 문자에서는 한글 창제로 나타난 거고. 정말 놀라운 왕이었어!”
- 세종 대왕은 어떤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