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 ISBN : 9788991290198
· 쪽수 : 510쪽
· 출판일 : 2007-05-15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서문 - 몇 가지 문제
머리글 : "피아트 미히 세쿤둠"
1부 - 그림의 상징
1장 모순
근대의 거부
디테일 1. 터너의 조개
고전주의적 규범들
디테일 2. 레베카의 낙타
죄 많은 즐거움
디테일 3. 사도의 발
신과 디테일
디테일 4. 아르마 크리스티
2장 배치
디테일의 정복
디테일 5. 파리
디테일 6. 성녀 체칠리아, 파이프오르간과 목 보조개
디테일의 과학
회화적 진리
재현의 상징
2부 - 붕괴된 그림
3장 역설
상징에서 정점으로
디테일의 이중적 붕괴
디테일의 계기와 회화의 사건
디테일 7. 풍경의 괄호 치기와 시선의 산책
동요
투명함과 장애물
4장 내밀성
두 얼굴
디테일 8. 레이스 뜨는 여자의 실 한 줄기
그림 속의 화가
디테일 9. 특별한 서명들
개인적 투여
디테일 10. 쿠르베의 미세한 위반들
지성의 침묵
후기 - 우화들
'마을의 약혼녀'의 문턱에서
부록
미주
옮긴이 해제 : 다니엘 아라스, 회화의 사유
찾아보기
책속에서
다양성(varietas)은 그림을 바라보는 이에게 즐거움의 원천이 되기 때문에 화가에게 권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에는 디테일상의 풍요를 통제하고 어느 정도는 제한해야 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알베르티의 인문주의적 접근은 여기서도 디테일에 상당한 전략적 중요성을 부여하는데, 왜냐하면 작품이 새롭게 만들어낸 의미를 집약시켜야 한다는 책임을 디테일이 떠맡고 있기 때문이다.
르네상스가 주제와 모티프에서 '종합의 회복'이라고 요약될 수 있는 것처럼, 르네상스는 또한 회화에 열려진 주제 영역의 확장으로, 그리고 과거의 것이든 현대의 것이든 다양한 모티프와 연계된 내용의 지적인 심화로도 특징지어질 수 있다. 작품의 디테일은 작품에서 잠재적인 새로운 의미를 획득한다.
사실상 알베르티적인 [디테일] 선택은 작품이 도해하는 프로그램 개념을 진작시키는 것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은 그림이 보여주는 것을 고갈시키지 않으며 그림은 프로그램을 작품화시키고 나서도 자기 고유의 메시지를 발전시킨다. 텍스트의 지식과 이미지의 지식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간극 때문에 미술과 화가가 누린 전례없는 위세의 조건들이 만들어진다. - 본문 169쪽, '디테일의 발명과 미술의 위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