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파이드로스/메논

파이드로스/메논

플라톤 (지은이), 천병희 (옮긴이)
도서출판 숲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파이드로스/메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파이드로스/메논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고대철학 > 플라톤
· ISBN : 9788991290501
· 쪽수 : 213쪽
· 출판일 : 2013-05-20

책 소개

그리스 로마 고전을 원전에서 우리말로 옮기는 일에 매진하고 있는 천병희 교수가 번역한 플라톤의 <파이드로스/메논>. 이미 <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파이돈/향연>에 이어 <국가>를 내놓으며 뜨거운 반응을 얻은 바 있다.

목차

파이드로스
/차례
227a~230e 서두의 대화_일리소스 강변의 풍경
230e~234c 뤼시아스의 연설
234c~237b 뤼시아스의 연설에 대한 비판
237b~238c 소크라테스의 첫 번째 연설: 사랑에 대한 정의
238c~241d 소크라테스가 자신의 첫 번째 연설을 끝맺다
241d~243e 막간 대화_소크라테스의 두 번째 연설
243e~245c 소크라테스가 두 번째 연설을 시작하다_신들림의 세 가지 유형
245c~246a 혼의 불멸성
246a~247c 혼의 신화_마부와 말 두 필_혼들의 행렬
247c~248e 혼의 실재 관조_혼의 추락과 화신
248e~249d 혼의 화신과 최종 해방_철학자의 특권
249d~250d 이상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혼의 상기
250e~252c 사랑은 혼에 다시 날개가 자라나게 해준다
252c~253c 연인들의 여러 유형
253c~256e 육욕의 정복_사랑과 마중 사랑
256e~257b 소크라테스가 연설을 끝맺다_뤼시아스와 파이드로스를 위한 기도
257b~258e 연설문 작성에 관한 예비적 고찰
258e~259d 막간 대화_매미 신화
295e~261a 수사학과 전문지식
261a~264e 유사점과 차이점에 관한 지식
264e~266b 앞선 연설들에 나타난 문답법적 방법
266c~269c 현존 수사학의 기법
269c~272b 철학과 수사학_페리클레스가 아낙사고라스에게 빚진 것
272b~274b 수사학의 올바른 방법_그것의 어려움과 정당성
274b~278b 말이 글에 우선한다_문자 발명의 신화
278b~279c 뤼시아스와 이소크라테스에게 전하는 말

메논
/차례
70a~80d 미덕(arete)이 어떤 것이며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들
70a~71a 메논이 소크라테스에게 미덕은 배울 수 있는 것인지, 수련의 결과인지, 타고나는 것인지 묻다
71b~79e 그러자 소크라테스가 미덕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주제에 미덕이 어떤 것인지 어떻게 말할 수 있겠느냐며, 스승 고르기아스에게서 배운 것이 있으면 말해달라고 메논에게 부탁하다
① 71b~73c 미덕에 대한 메논의 첫 번째 정의의 실패
② 73c~73d 미덕에 대한 메논의 두 번째 정의의 실패
③ 73e~76a 미덕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지 형태의 정의를 통해 본보기를 보여주다
④ 76a~77a 이어서 색깔에 대해서도 정의하다
⑤ 77b~79e 미덕에 대한 메논의 세 번째 정의의 실패
79e~80d 메논이 난관(aporia)에 부딪쳐 소크라테스를 전기가오리에 견주다

80d~86c 상기(想起, anamnesis)_ 배움(mathesis)도 지식(episteme)도 상기이다
80d~82a 메논이 사람은 아는 것은 이미 알고 있기에 탐구할 필요가 없으므로 탐구하지 않을 것이고, 모르는 것은 자기가 탐구하는 것이 무엇인지조차 모르므로 결국 아는 것도 모르는 것도 탐구할 수 없다는 취지의 논쟁적인 주장을 펴다. 그러자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소크라테스가 상기를 제시하다
82a~86c 소크라테스가 메논이 데려온 노예 소년을 통해 기하학 문제를 상기에 의해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보여주다

86c~96d 미덕은 배울 수 있는 것인가?
86c~87c 가설(hypothesis)을 통한 문제해결 시도
87c~89c 미덕이 지식이라면 미덕은 배울 수 있는 것이다
89d~96d 미덕의 교사들이 실제로 있는가?
① 89d~92d 소피스트들이 미덕을 가르칠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 아뉘토스가 단호히 반대하다
② 92e~96d 아뉘토스가 훌륭한 정치가들이야말로 미덕을 가르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들 역시 자신들의 미덕을 누구에게도 전수하지 못했음이 드러나다

96e~100c 바른 의견, 지식, 신의 섭리
96e~99a 올바른 일 처리는 지식이 아닌 바른 의견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지식과 바른 의견의 차이
99b~100b 훌륭한 정치가들의 미덕은 신의 섭리에 의한 것이다
100b~c 미덕이 무엇인지에 관해서는 훗날 다시 논의하기로 하고 각자 제 갈 길을 가다

저자소개

플라톤 (지은이)    정보 더보기
Platon 기원전 427~347 B.C 플라톤은 기원전 427년경 그리스 아테네에서 태어나 젊은 시절부터 정계의 유망주로 기대받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다. 플라톤은 유명한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시작된 지 4년째 되는 해에 태어났으며, 전쟁은 기원전 404년에 아테네의 패배로 끝났으므로 전쟁 속에서 태어나 전쟁 속에서 성장하여 성인이 된다. 그는 맹목적인 삶보다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삶이 중요하다는 것을 소크라테스를 통해 배웠다. 플라톤의 집안은 비교적 상류계급이었고 그러한 배경을 가진 젊은이들이 대부분 그러하듯이 그 또한 한때 정치에 뜻을 두었지만, 그가 믿고 따르던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정치적인 배경이 있음을 확인한 후 정치에 회의를 느껴 철학에 매진하게 된다. 그는 정치적인 이유로 자주 외국 여행길에 올랐으며 교육에 대한 열의가 매우 높아 소크라테스 사후 많은 우여곡절 끝에 기원전 387년경 아테네 근교에 철학 중심의 종합대학인 아카데메이아라는 학원을 창설하였다. 그곳을 통해 뛰어난 수학자와 높은 교양을 갖춘 정치적 인재들,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많은 철학자를 양성하며 집필활동에 전념한다. 소크라테스는 아무런 글도 남기지 않았지만, 그가 죽은 후 제자인 플라톤의 작품을 통해 그의 철학적 삶이 알려지게 되었다. 플라톤의 저서 30여 편 가운데 한 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대화 형식을 취하고 있어 ‘대화편’이라고 불린다. 《국가》 《소크라테스의 변명》 《향연》 《파이돈》 《크리톤》 《프로타고라스》 등에서 주인공으로 모두 소크라테스를 내세우고 있다. 이로써 많은 저서는 스승인 소크라테스에 대한 기록들로 스승의 영향이 플라톤의 사상적 근간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플라톤의 사상을 한마디로 요약하기란 불가능하다. 고대의 사상가들이 그러하듯, 플라톤 역시 현대의 분과학문 체계로는 불가능할 법한 종합적 사상을 개진하였다. 그는 인식론적 측면에서 이데아를 제창함으로써 본질과 현상이라는 이분법적 사유를 발전시켰다. 《국가》는 플라톤의 정치관을 대변하는 저술로, 이 저서에서 플라톤은 민주적인 정치 체제보다는 지적 소양이 풍부한 귀족들에 의한 통치를 선호했다. 철인 군주론은 플라톤의 정치관을 잘 드러내는 개념이다. 그는 종종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와 비교되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이 다분히 현상 지향적이었다면 플라톤의 사상은 이상적이고 관념 위주였다는 평을 받는다.
펼치기
천병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5년 동안 독문학과 고전문학을 수학했으며 북바덴 주정부가 시행하는 희랍어 검정시험(Graecum)과 라틴어 검정시험(Großes Latinum)에 합격했다. 고전 번역가로 활동하며 그리스 문학과 라틴 문학을 원전에서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에 매진하며 고전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원문의 깊이와 의미를 충실히 전달하면서도, 한국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장으로 번역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적인 원전 번역으로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 『로마의 축제들』, 아폴로도로스의 『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 『아이스퀼로스 비극 전집』, 『소포클레스 비극 전집』, 『에우리피데스 비극 전집』,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메난드로스 희극』, 『그리스 로마 에세이』, 헤로도토스의 『역사』, 투퀴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전쟁사』, 크세노폰의 『페르시아 원정기』, 플라톤의 『국가』 『법률』 『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파이돈/향연』 『고르기아스/프로타고라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시학』 등 다수가 있으며, 주요 저서로 『그리스 비극의 이해』 등이 있다. . 2022년 12월 향년 8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