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노자와 다석

노자와 다석

(다석 사상으로 다시 읽는 도덕경)

박영호, 류영모 (지은이)
교양인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3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노자와 다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노자와 다석 (다석 사상으로 다시 읽는 도덕경)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91799844
· 쪽수 : 620쪽
· 출판일 : 2013-05-23

책 소개

유교·불교·노장 사상과 기독교를 하나로 꿰뚫어 독창적인 사상 체계를 세운 다석 류영모의 <노자> 번역을 바탕으로 삼아 그의 제자 박영호가 풀이를 덧붙인 책이다. 류영모는 오산학교 교사로 있던 스무 살 때부터 <노자>를 즐겨 읽었다.

목차

머리말
길잡이 말

1장 이름할 수 없는 님이 하늘과 땅의 비롯이다
2장 말 않고 가르친다
3장 마음은 비우고 배는 든든히
4장 날카로움이 무디어지고 얽힘이 풀린다
5장 하늘과 땅 사이는 풀무 같다
16장 얼나는 죽지 않는다
17장 하늘은 길이 길이, 땅은 오래 오래
18장 가장 착함은 물 같다
19장 가멸고 높다고 제일인 척하면 허물을 끼친다
10장 씨알 사랑 나라 다스림에 함 없음
11장 빔이 알맞아서 그릇에 쓰인다
12장 다섯 빛깔이 사람의 눈을 어둡게 한다
13장 사랑함에도, 몰아세움에도 놀라고
14장 다시 아무것도 없는 데로 돌아간다
15장 오묘하게 하느님께로 뚫리어
16장 몸은 죽어도 얼은 괜찮다
17장 믿음이 모자라 못 믿는다
18장 슬기가 나와 큰 거짓이 있다
19장 제나는 작게 욕심은 적게
20장 하느님 말씀 먹기가 소중하다
21장 뚫린 속나의 얼굴은 오직 얼이다
22장 세상도 더불어 다툴 수가 없다
23장 말씀이 하느님이시다
24장 얼나를 깨달은 이는 제나에 머물지 않는다
25장 두루 다니는데 거치는 것이 없다
26장 무거움은 가벼움의 뿌리다
27장 조히 가면 바퀴 자국이 없다
28장 다시 하느님께로 돌아가리라
29장 세상은 하느님의 그릇이라 사람이 하지 못한다
30장 참이 아니면 일찍 그만두자
31장 이김을 좋아하지 않는다
32장 얼은 영원하여 없이 계신다
33장 몸은 죽어도 죽지 않는 것은 얼목숨이다
34장 한얼은 가없이 크다
35장 한얼을 간직하고 세상으로 간다
36장 부드럽고 무른 게 굳고 센 걸 이긴다
37장 얼은 함 없이도 늘 아니하는 게 없다
38장 높은 속알은 속알이 없는 듯하다
39장 하늘이 맑지 못하면 찢어지리라
40장 있음은 없음에서 났다
41장 참은 숨어 이름이 없다
42장 참이 살아계시니 하나다
43장 없음은 있음에 틈 없이 들어간다
44장 많이 갈무리면 크게 망한다
45장 맑고 고요해 세상을 바르게 한다
46장 죄는 하고자 할 만하다는 것보다 큰 것이 없다
47장 창을 내다보지 않아도 하느님을 본다
48장 얼나를 생각하면 제나를 날로 잃는다
49장 온 씨알의 맘을 내 맘으로 삼는다
50장 나오니 삶이요 들어가니 죽음이다
51장 얼이 내고 속알이 기른다
52장 몸은 죽어도 얼은 아무렇지도 않다
53장 사람들은 지름길을 좋아한다
54장 잘 안은 것은 풀지 못한다
55장 참이 아니면 일찍 그만두라
56장 아는 이라도 말로는 못한다
57장 바름으로써 나라를 다스린다
58장 빛나나 빛내려 하지 않는다
59장 사람 다스림과 하느님 섬김에 아낌만 한 게 없다
60장 큰 나라 다스리기는 작은 생선 지지듯
61장 암은 늘 조용함으로써 수를 이긴다
62장 얼이란 온갖 것의 속
63장 어려움을 꾀하되 그 쉬운 데서
64장 마치기를 비롯같이 삼가면 그르치는 일이 없다
65장 하늘 속알은 깊고 멀다
66장 가람이나 바다가 온 골의 임금이 될 수 있는 까닭은
67장 내게 세 보배가 있다
68장 잘 싸우는 이는 성내지 않는다
69장 서러워하는 이가 이긴 것이다
70장 베옷을 입고 구슬을 품는다
71장 모르고 아는 체가 탈이다
72장 씨알이 무서움을 겁내지 않으면 곧 큰 무서움이 닥친다
73장 함부로 날래면 (목숨을) 죽인다
74장 큰 목수를 대신해 깎는 이는 그 손을 다친다
75장 씨알 굶주림은 세(稅)가 많아서다
76장 산 사람은 부드럽고 물렁하다
77장 높은 것은 누르고 낮은 것은 들어준다
78장 부드러움이 굳음을 이긴다
79장 언제나 착한 사람과 더분다
80장 살기가 평안하고 풍속이 즐겁다
81장 말 잘하는 이는 착하지 않다

저자소개

류영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9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한문을 배웠으며 10세 때 수하동소학교에 입학했으나 중퇴했다. 1905년 기독교를 받아들이고 서울 연동교회에 나가기 시작했다. 1910년 남강(南岡) 이승훈(李昇薰)의 초빙으로 평북 정주의 오산학교에서 교사로 2년간 봉직하기도 했다. 22세 때인 1912년 일본 도쿄로 유학을 갔다가 재일본 YMCA에서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의 강연을 듣게 되었다. 귀국해 24세 때인 1914년부터 최남선(崔南善)과 가까이 지내면서 잡지 『청춘』에 여러 편의 글을 기고했다. 1919년에는 이승훈으로부터 3·1운동 거사 자금을 맡아 아버지가 운영하던 경성피혁 상점에 보관하다가 아버지 류명근이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1921년 조만식(曺晩植) 후임으로 정주 오산학교 교장으로 부임해 1년간 재직했으며, 이때 제자 함석헌(咸錫憲)을 만나 사제지간이 되었다. 1928년 중앙YMCA 간사 현동완(玄東完)의 요청으로 YMCA 연경반 모임을 1963년까지 지도했다. 1941년 예수 정신을 신앙의 기조로 삼기 시작했으며, 일일일식(一日一食)을 몸소 실천했다. 1942년 ‘성서조선 사건’으로 일제 치하 종로 경찰서에 구금되었다. 1943년 2월 5일, 북악 산마루에서 천지인(天地人) 합일의 경험을 했으며, 1956년 4월 26일에는 죽는다는 사망 가정일을 선포하고 그날부터 ‘다석일지’(多夕日誌)를 쓰기 시작했다. 『노자』(1959)를 완역했으며 다수의 경전 주요 부분을 우리말로 옮겼다. 1981년 9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박영호 (해설)    정보 더보기
6.25 전쟁 때 징집되어 수많은 죽음을 목격한 후 삶과 죽음의 문제를 고민하며 방황하던 중 톨스토이의 글을 읽고 마음의 평화를 찾았다. 《사상계》에 실린 함석헌의 글에 깊은 감명을 받고 그에게 편지를 쓴 뒤로 스승과 제자의 인연을 맺었다. 1959년부터 함석헌의 스승인 류영모의 강의를 듣기 시작했다. 1965년 어느 날 류영모가 이제 스승을 떠나 독립하라는 뜻으로 ‘단사(斷辭)’라는 말을 꺼냈다. 눈물을 흘리면서 스승을 떠난 그는 5년간 혼자 공부해, 정신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세 가지로 정리한 첫 책 《새 시대의 신앙》을 출간했다. 그 무렵 다석으로부터 ‘졸업증서-마침보람’이라 쓰인 봉함엽서를 받았다. 자신의 참제자로 인정한 것이었다. 그 뒤 류영모는 그에게 자신의 전기 집필을 맡겼다. 1971년부터 준비하기 시작한 전기는 1984년 책으로 나왔다. 박영호는 지금껏 다석에 관한 책을 열 권 넘게 써 스승을 세상에 알렸다. 류영모 전기인 《진리의 사람 다석 류영모》 외에도 《다석 류영모 어록》 《다석 류영모 명상록》 《다석 류영모의 얼의 노래》 《다석 마지막 강의》 등이 있고, 《다석사상전집》(전 5권)을 간행하였다. 그는 지금 ‘다석학회’ 고문과 성천문화재단 다석 사상 연구위원으로 있으며, 다석 사상을 연구하는 모든 이들에게 절실한 ‘다석 류영모 낱말풀이 사전’ 편찬에 매진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장
길 옳단 길이 늘 길 아니고
이를 만한 이름이 늘 이름이 아니라.
이름 없어서 하늘 땅이 비롯고
이름 있어서 잘몬의 어머니

道可道非常道(도가도비상도)
名可名非常名(명가명비상명)
無名天地之始(무명천지지시)
有名萬物之母(유명만물지모)


8장
썩 잘은 물과 같구나.
물은 잘몬에게 잘 좋게 하고 다투질 않으니
뭇사람 싫어하는 데서 지냄.
므로 거의 길이로다.

上善若水(상선약수)
水善利萬物而不爭(수선리만물이부쟁)
處衆人之所惡(처중인지소오)
故幾於道矣(고기어도의)


19장
거룩함을 끊고 앎을 버리면
씨알의 좋음이 온곱절일 거고,
어짊을 끊고 옳음을 버리면
씨알이 다시 따름과 사랑으로 돌아올 거고,
공교를 끊고 이로움을 버리면
훔침질이 없을 것을.

絶聖棄智(절성기지)
民利百倍(민리백배)
絶仁棄義(절인기의)
民復孝慈(민복효자)
絶巧棄利(절교기리)
盜賊無有(도적무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