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중.일 한자문화, 어디로 가는가

한.중.일 한자문화, 어디로 가는가

리 소테츠 (지은이), 이동주 (옮긴이)
기파랑(기파랑에크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중.일 한자문화, 어디로 가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중.일 한자문화, 어디로 가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동양문화읽기
· ISBN : 9788991965157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10-01-21

책 소개

일본과 한국의 문화에는 중국 전통문화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동아시아 문화의 기초를 이루는 것도 이 중국 전통문화다. 그 영향의 핵을 이루는 것이 유교와 한자이다. 한자와 유교를 빼고 중국 전통문화나 동아시아 문화를 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책에서도 한자와 유(儒)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를 진행시켜 나간다. 이는 알기 쉬운 테마라서가 아니라 그것이 동아시아 문화를 이해하는 열쇠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한국, 중국, 일본문화의 특성은 각각 특유의 종교와 언어에서 나타난다고 보고 이야기를 풀어낸다.

목차

한국의 독자들께

머리말
왜 한자 문화를 논하는가?
문화 비판의 시점
유교와 한자에 주목한다
중국, 일본, 한국-나의 아이덴티티
이 책의 취지
참고 문헌에 관해

제1장, 문화의 해석
문화란 무엇인가
몇 개의 과제
문화의 선악
환경과 문화
사회와 문화
문화의 구조
상징행위와 문화
철학, 종교, 문화

제2장, 중국문화의 요체(要)
중국인과 종교
도(道)에 따라 산다는 것
농(農)에서 시작하는 중국인의 신앙
「하늘」의 관념
「천자(天子)」의 등장
인(仁)은 즉 인(人)이다
천하에 통하는 인간의 길
집(家)의 기능과 중국 사회
공자와 유교의 가르침
「효」는 모든 것을 초월한다
군자(君子)의 조건
군자는 그릇(器)이 되지 않는다
군자는 옛것을 좋아한다

제3장, 중국문화의 질(質)
중국인을 불행하게 하는 것
정신세계만은 언제나 자랑
바깥세상은 피해 가자
큰 것을 좋아한다
집은 모든 것에 우선한다
<칼럼> 황허(黃河)와 중국
공적인 것이 없는 중국 사회
「중국화」와 민족구성
중화(中華)의식이 만들어 낸 것
하늘의 바로 아래, 우주의 중심
살기 위해 연기를 한다
힘들게 산다
중국인이 완전히 파괴해 버린 것

제4장, 중국 문화의 형(形) <한자>
말과 문화
한자와 중국인의 세계관
말과 문자와 한자
왜 한자가 만들어졌을까
<칼럼> 갑골문자
한자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한자 형태의 변천과 중국 사회
한자의 속성은 난해함에 있다

제5장, 한국문화를 묻는다
문화 전파와 상호 작용
<칼럼> 한무제(漢武帝)
한글과 한국 문화
한국 문화의 지향성
한글의 금지와 보급
한글에서 보는 집의 문화
「우리」의식과 한국 사회
기층은 가족 중심의 문화
무속 신앙과 한국 문화
「신선놀음」과 한국인
「양반」과 한국인

제6장, 일본 문화를 묻는다
일본적이라고 하는 것
일본인의 문화 수용
미(美)는 선(善)이다
미(美)는 신(神)이다
극한에 이르는 것은 신의 길
신들에 대한 신앙과 불교
일본 사회의 구조와 문화
일본어와 일본문화
일본 문화의 지향성
일본어의 유연성
일본어의 친족 호칭
일본어의 질서

결론에 갈음하여
사회문제의 근원은 문화에 있다
새로운 문화 창조가 필요하다

옮긴이의 말

저자소개

리 소테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학자인 그는 현재 일본 류코쿠(龍谷)대학 사회학부 교수로 활동 중이다. 1959년 중국 헤이룽장성(黑龍江省)에서 태어나, 베이징에서 대학 공부를 마쳤다. 중국에서 신문기자를 지내다 1987년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조치上智대학 대학원에서 신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의 만주, 그리고 일본 식민지 시절 한반도 신문 역사와 현대의 한국과 북한 정세를 분석한 논문과 저서들이 있다. 주 요 저서로는 『일중한 미디어의 충돌』(2017년, 미네르바書房), 『김정일과 김정은의 정체』(文藝春秋), 『동아시아의 아이덴티티, 일중한은 어디가 다른가』(凱風社), 한국어 번역본 『한중일 한자문화 어디로 가는가』(기파랑) 등이 있다.
펼치기
이동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3년 충남 천안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였다. <경향신문> 도쿄 특파원, 국제부장, 논설위원. <일요신문> 편집국장을 역임하였다. 번역서로는 『생』(미키 기요시, 아침바다), 『후쿠시마 원전 대재앙의 진상』(후나바시 요이치, 기파랑)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