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92055437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4-03-10
책 소개
목차
서문_ 중심이 되는 국가·조너선 머스키
중국이 보여준 폭발적 성장의 위험·도로시-그레이스 게레로
Part 1 배경
01 개요
국토|국민|마을과 농촌|인구
Part 2 역사
02 공화국의 탄생
03 인민공화국
대약진운동|문화대혁명|마오쩌둥의 쇠퇴|마오쩌둥 사후|홍콩 반환|21세기의 중국
Part 3 오늘날의 중국
04 정부와 사회
오늘날의 중국 정부|헌법 체계|공산당의 역할|행정|변화하는 사회
05 경제
개요|1950년대의 경제 정책|농업|자원과 에너지|금융과 무역|운송과 통신
Part 4 문화
06 종교
유교|도교|불교|파룬궁
07 미술
일반적인 특징
08 서예와 회화
역사적인 맥락|1912년 이후의 인쇄와 회화
09 건축
역사적인 맥락
10 음악
11 문학
12 현대 중국인들의 일상생활
음식|무술과 운동|중국 의학|영화
Part 5 명소
13 방문해봐야 할 도시
베이징|상하이와 양쯔 강 삼각주|홍콩|시안|티베트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책속에서
이 엄청난 속도 변환은 중국이 시대적·지역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국민의 필요와 요구에 부합하는 동시에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해 자신만의 정의를 내릴 수 있는 정부라는 자화상이 합당하다는 새로운 이론이 생겨나게 만들었다. 정부는 인권에 관련된 국제조약 대부분에 서명을 했지만, 인권보호란 거대한 인구에게 안전, 음식, 옷, 집을 보장하는 것이라며 자신만의 언어로 정의를 내린다. 공산당은 중국식 민주주의가 ‘의회주의 모델’을 기본으로 한 것이 아니라 마을, 도시, 성 단위로 단계적인 선거가 도입되고 정부가 국익이라고 규정한 것과 관련된 정책 방향에 관해 많은 이익 단체와 즉각적인 상담을 걸쳐 정부가 결정을 내리는 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권리 확대에 관한 외국인의 충고를 ‘중국 주권에 대한 모욕’이라고 인식한다.
1949년 공산당의 승리는 농촌지역에서 통치 기법을 익혔으되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를 채택하고 계급투쟁과 빠른 산업 발전을 신뢰했던 농민 정당에게 권력을 가져다주었다. 내전 기간 동안 주둔지를 관리하고 계속되는 전투를 경험한 공산당은 철저히 전술에 따라 행동하는 기질을 갖게 되었다. 새 국가를 탄생시킨 긴 내전은 부유한 도시민에게 대항해 농민이 거둔 승리이자 낡은 지배 계급의 파괴를 의미했다.
공산당이 인민공화국의 성립을 선포했을 때 대부분의 중국인은 새 지도부가 산업화에 집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공산당의 정치적 선행 목표는 중국을 강대국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이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공산주의 정책의 ‘중심점’은 농촌에서 도시로 전환되었지만 마오쩌둥 주석은 농촌 투쟁을 통해 서서히 태동한 개혁적인 사고가 당 전체를 인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