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사
· ISBN : 9788993056006
· 쪽수 : 271쪽
· 출판일 : 2008-03-28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활동사진의 도래 그리고 한국영화의 탄생(1897~1923)
1.활동사진의 시대
2.활동사진의 흥행 공간,극장
3.연쇄극의 등장,<의리적 구토>
4.극영화의 탄생,<월하의 맹서>
2장 무성여화의 르네상스(1924~1934)
1.<춘향전> 대 <장화홍련>
2.나운규의 <아리랑>
3.무성영화 시대의 감독
4.카프KAPE 영화운동
3장 발성영화의 시대 그리고 국책영화(1935~1945)
1.발성영화의 등장
2.'조영','고영'의 스튜디오 시대
3.2세대 영화인의 등장
4.국책영화의 제작
4장 해방 그리고 6·25전쟁(1945~1953)
1.해방공간의 영화계
2.해방기의 한국영화
3.6·25전쟁 시기 영화 활동
4.전쟁 중의 영화제작
5장 한국영화의 성장과 중흥(1954~1961)
1.한국영화 성장기,그 다채로운 풍경
2.1950년대 후반 영화 스튜디오의 건립
3.중흥기의 형성 과정
4.중흥기의 장르 경향
6장 한국영화의 르네상스(1962~1969)
1.영화법 제정과 기업화 정책
2.다양한 장르의 만개
3.시네마스코프의 시대
4.김독계보 그리기-한국영화의 세대교체
7장 통제와 불황의 악순환,1970년대 한국영화(1970~1979)
1.저질영화 양산체계
2.1970년대 대표 장르들
3.청년영화/문화 그리고 '영상시대'
4.테크니스코프 영화
8장 암흑 속의 모색,1980년대 한국영화(1980~1989)
1.제작 자유화 그리고 할리우드 직배 저지 투쟁
2.1980년대 대표 장르
3.영화 문화의 변화
4.영화운동과 독립영화
5.1980년대 한국영화의 세대교체-코리안 뉴웨이브
9장 다시 르네상스,1990년대 한국영화(1990~1999)
1.대기업의 영화산업 진출
2.'기획영화'의 등장
3.1990년대 장르 공식,로맨틱코미디와 코믹 액션
4.1990년대 작가주의
5.영화청년의 시대
6.한국형 블록버스터
10장 2000년대의 한국영화(2000~)
1.체질 개선에 들어간 영화산업
2.'웰 메이드'영화
3.장르영화의 가능성
4.디지털 시네마
참고문헌
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영화사가 이영일은 나운규가 '아리랑'을 발표한 1926년부터 발성영화 '춘향전'이 등장한 1935년까지를 무성영화의 전성시대라 칭한다. 해방 전까지 한국영화사를 통틀어 영화 제작이 가장 활발한 시기였기 때문이다. - 본문 24쪽에서
2000년대 역시 재능 있는 신인감독들의 러시가 이어졌다. 탁월한 대중적 감수성으로 상업영화 시스템을 영리하게 활용하는 젊은 감독들은 소재와 장르를 다각화하며 충무로의 활력이 되었고, 웰 메이드 시스템을 주도해갔다. 2005년 전국 515만과 800만 관객동원으로 상반기와 하반기의 흥행을 주도한 '말아톤'과 '웰컴 투 동막골'은 모두 신인감독의 데뷔작이었다. 같은 해 '마파도'(전국 309만)의 추창민, '연애의 목적'(전국관객 174만)의 한재림 역시 대중영화의 친숙한 화술로 사회적인 관심을 이끌어냈다. - 본문 24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