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비평
· ISBN : 9788993119923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5-07-2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한국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한국 역사
1. ‘조공’은 물물교환 형식의 무역 행위다
2. 사대를 한 경우보다 받은 경우가 더 많다
3. 고구려 태왕은 황제의 다른 표현이다
4. 역사에서 사라진 백제의 요서 점령
5. 백제 유민들이 운영한 신라방과 신라소
6. 한반도 본토 일부를 점령한 섬나라 탐라
7. 한민족 해적, 동아시아 바다를 지배하다
8. 그들은 왜 고조선 역사를 없앴을까
9. 세속오계는 불교가 아닌 신선교 전통
제2장 중국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중국 역사
1. 60년 동안 흉노에게 비단과 식량을 바친 한나라
2. 조공을 받는다는 것은 중국에게 때로는 고통이었다
3. 중국 역사의 절반도 되지 않는 한족 왕조
4. 몽골과 티베트 역사는 중국 역사인가
5. 수나라 멸망의 진짜 이유, 고구려 침공
6. 해적이 이끈 명나라 부흥운동
7. 중국은 세계 문명을 주도하지 않았다
제3장 일본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일본 역사
1. 한반도에서 문명을 전수받은 고대 일본
2. 일본 신국 건설과 백제 유민
3. 쇼군은 명나라 황제의 책봉을 받았다
4. 일본이 조선통신사를 환대한 이유
5. 일본 경제 도약의 밑거름이 된 임진왜란
6. 오키나와는 1879년까지 독립왕국이었다
7. 20세기 초 일본 근대화의 비밀
8. 정당방위로 포장된 일본의 침략 전쟁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일부 한국인들은 과거의 한국이 항상 조공만 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것을 일방적인 헌납으로 오해하고 있다. 그래서 국사 교과서에서는 조공무역을 제대로 기술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조공을 받은 사실까지도 덩달아 드러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조
공은 물물교환 형식의 무역이었으며 한국은 조공을 받는 나라였다. 그렇기 때문에 국사 교과서에서 조공무역을 감추는 것은 한국의 체면을 살리는 게 아니라 오히려 깎아내리는 셈이 된다. _ <‘조공’은 물물교환 형식의 무역 행위다> 중에서
백제의 영토는 중국에도 있었다. 이 점은 중국 역사서인 《송서(宋書)》·《양서(梁書)》·《남사(南史)》 등에 기록되어 있다. 《송서》 이만(夷蠻) 열전에서는 “고구려는 요동을 빼앗고 백제는 요서를 빼앗았다”고 했고, 《양서》 제이(諸夷) 열전에서는 “고구려가 요동을 빼앗자, 백제도 요서·진평 2군을 소유하고 직접 백제군을 두었다”고 했으며, 《남사》 이맥(夷貊) 열전에서는 “고구려가 요동을 빼앗자 백제도 요서·진평 2군을 소유하고 직접 백제군을 두었다”고 했다. _ <역사에서 사라진 백제의 요서 점령> 중에서
중국이 흉노족에게만 조공을 한 것은 아니다. (중략) 남송이 세워진 뒤에도 금나라의 압박은 계속됐으며 결국 남송은 금나라의 압박에 굴하고 만다. 금나라에게 신하의 예를 취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남송 군주는 금나라 황제의 책봉을 받는 한편, 매년 은 25만 냥과 비단 25만 필을 조공하기로 했다. 이처럼 중국인들이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송나라 시대에도 중국은 이민족에게 조공을 했다. 중국은 받기만 한 게 아니라 주기도 했던 것이다. _ <60년 동안 흉노에게 비단과 식량을 바친 한나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