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93166262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0-10-01
책 소개
리뷰
책속에서
"공론장의 숙명에 대한 하버마스의 주장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약점을 갖고 있지만, 그가 미디어 산업이 19세기와 20세기의 주요한 변화를 겪었다는 사실에 주목하도록 만든 것은 확실히 옳았다. 앞에서 보았듯이, 그러한 변화에 대한 하버마스의 설명-무엇보다도 미디어 상업화의 증대를 강조하는 것-은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했으며 그가 제시한 함의 또한 의문의 여지가 많았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할 때 미디어 산업의 변환적 특성에 대한 제도적 분석이 필수적임은 분명하다." (121쪽)
"미디어 생산물의 지구화된 확산은 최근의 여러 극적 갈등을 유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80년대 중국 전역에 방송된 국내외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해 사람들은 전통가치와 정부의 판단에 이의를 제기하거나 대안적 삶의 방식을 강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존과는 다른 시각들에 관한 문화적 축적을 이룰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이 그 자체로 천안문 광장의 대담한 시위나 그 후에 발생한 충돌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러나 텔레비전이 없었다면 천안문 사태는 알려지지 않았을 것이고, 중국과 전 세계에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거기에 주목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251쪽)
"매개된 경험이 자아에 대한 권리와 멀리 떨어진 사람과 사건에 대한 책임감을 초래할 수 있다는 도덕적 환경이 이렇게 광범위한 현상이 된 것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일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도덕적·정치적 사고의 전통적 틀 내에서는 쉽게 해결될 수 없는 일련의 주제-무엇보다도 인간행위에 대한 광범위한 영향과 갈수록 상호 연결되어가는 세계의 위험성 높은 관여에 관한-가 강조되었다." (32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