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3404210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7-08-21
책 소개
목차
서론 동아시아의 예외공간, (경제)특구?| 박배균, 이승욱 6
1부 이론과 개괄
1장 동아시아에서 국가의 영토성과 예외공간: 동아시아 특구의 보편성과 특수성 | 박배균 16
2장 동아시아 특구 전략의 변화와 개괄: 조성찬, 이승욱, 김은혜, 박배균 53
2부 발전주의 특구
3장 마산수출자유지역: 냉전 지경학과 지정학의 교차점 | 최영진, 박배균 102
4장 타협과 실험의 공간으로서의 특구: 대만 가오슝가공수출구 | 쉬진위, 박배균 136
5장 중국의 개발구 발전전략 이해: 수조우 공업원구 | 조성찬 158
3부 체제전환형 특구
6장 체제전환과 중국의 선전 경제특구 | 윤종석 190
7장 개성공단의 지정학: 예외공간, 보편공간 또는 인질공간? | 이승욱 240
8장 북·중 접경지역 경제특구의 지리정치경제학: 라선, 황금평 특구 | 이승욱, 조성찬 264
9장 중국 발전모델전환형 특구의 형성: 충칭 량장신구에 대한 다중스케일 분석 | 박철현 279
4부 신자유주의 특구
10장 국가에 의해 상상되다: 기업가주의 도시화와 송도 신도시 만들기 | 신현방 325
11장 제주국제자유도시, 신자유주의 예외공간 그리고 개발자치도 | 이승욱, 조성찬, 박배균 343
12장 개혁기 중국 ‘국가 신자유주의’ 공간: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와 그 외부 | 박철현 375
13장 2000년대 이후 일본의 국가 스케일 재편과 특구 전략 | 김은혜, 박배균 415
결론 극복의 대상으로서의 특구? 대안적 가능성의 공간으로서의 특구? | 이승욱, 박배균 443
참고문헌
필진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