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리학의 창으로 보는 중국의 근대

지리학의 창으로 보는 중국의 근대

(1815~1911년 중국으로 전파된 서양지리번역서)

쩌우전환 (지은이), 한지은 (옮긴이)
푸른역사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리학의 창으로 보는 중국의 근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리학의 창으로 보는 중국의 근대 (1815~1911년 중국으로 전파된 서양지리번역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세사(원~ 아편전쟁)
· ISBN : 9788994079967
· 쪽수 : 631쪽
· 출판일 : 2013-06-27

책 소개

1815년부터 1911년까지의 변화의 시기 백 년, 중국에 전래된 지리학을 다룬 역사서. 중국에서는 언제부터 지리학이 근대적 학문으로 변화하기 시작했을까?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물음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목차

옮긴이의 글
들어가기 전에―한때 선도 학문이었던 지리학을 되돌아보다_저우전허

들어가는 글
지리 지식과 지리학―연구 범위
학제사의 해상도―자료와 선행 연구
지식 전파와 사상의 변혁―방법과 의의

1장 명말청초 지리학 한문서서와 새로운 지식점의 유입
지리 지식과 지리학―명말청초 동양으로 전파된 주요 지리학 한문서서
지리학 한문서서가 가져온 새로운 지식점
명말청초 지리학 한문서서의 전래와 중국 사대부의 ‘세계 인식’
서양 예수회 선교사의 학술적 도전과 중국 사대부의 비학술적 응전

2장 19세기 서양 선교사가 그려낸 지리학 지식선
남양에서 불어오는 바람, 19세기 초 남양지역 출판물을 통해 유입된 서양 지리학
지식
귀츨라프와 《동서양고매월통기전》
브리지먼과 최초의 중문판 미국지지의 편찬
웨이의《 지구도설》과《 지구설략》
무어헤드와 《지리전지》
《 하이관진》과《 육합총담》 속의 지리번역서
프라이어와 강남제조국번역관의 지리번역서
에드킨스와 서학지리학의 계몽
19세기 중국‘ 지리적 대발견’의 문화적 의의

3장 무술에서 신해까지 근대 서양의 지리학 사상과 지식체계의 수입
일본 유학생운동의 활성화와 일어판 서양 지리서의 번역
광지서국의 지리번역서
상무인서관의 지리번역서와 그 영향
작신사, 금속재, 신학회사 및 기타 지리번역서
회문학사와《 보통백과전서》 속의 지리학
학부편역도서국의 세계지지 번역서
근대 서양의 지리 사상과 지식체계의 수입 및 영향

4장 청대 말 지리학 문헌 속의 서양 자연지리학 신어
청대 말 광범위하게 수용되는 명말청초의 주요 지리학 신어
19세기 중국어로 번역된 지리학 문헌 속의 지리학 신어
20세기 초 지리학 신어 중 일본에서 유입된 번역어

5장 청대 말 지리교육과 근대적 지리교과서의 편찬
교회 학교에서의 지리교육
청대 말 근대 학제의 변천과 지리교육체계의 확립
청대 말 민영출판사의 지리교과서 편찬
청대 말 향토지리교과서의 편찬과 만족 자존감의 재구축

6장 청대 말 지리학공동체의 형성과 근대 중국지리학의 학술적 전환
중국 근대 지리학 확립의 시기와 표식
청대 말 비제도권 지리학공동체의 형성
《 해국도지》와《 영환지략》을 중심으로 한 교류 네트워크
추대균과 청대 말 제도권 지리학공동체의 초보적 건립
장상문과 중국지학회
근대로의 학술적 전환과 근대 지리학의 확립

끝마치는 글
부록 1~부록 4
주석
찾아보기

저자소개

쩌우전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7년 상하이에서 태어났다. 푸단대학(復旦大學)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명청문화사, 역사문헌학, 서학동점사 등이 주요 연구분야이다. 한국 고려대학교 방문학자(1997), 독일 뉘른베르크대학 객좌교수(2001), 일본 간사이대학 아시아문화교류센터 공동연구원(2005~2010), 타이완 칭화대학 객좌연구원(2014) 등을 역임했다. 현재 푸단대학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疏通知譯史』(2012), 『晚明漢文西學經典:編譯,詮釋, 流傳與影響』(2011), 『西方傳教士與晚清西史東漸—以1815至1900年西方歷史譯著的傳播與影響為中心』(2007), 『晩淸西方地理學在中國: 以1815至1911年西方地理學譯著的傳播與影響爲中心』(2000), 『影響中國近代社會的一百種譯作』(1996) 등이 있다.
펼치기
한지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 사와 박사 학위(2008년)를 받았다. 주로 중국의 도시 및 공간과 관련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저서로는 <서울스토리>(2013, 공저), 번역서로는 <지리학의 창으로 보는 중국의 근대>(2013) 등이 있다. 2014년 현재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에서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