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445762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6-07-07
책 소개
목차
차례
책을 펴내며 4
제1장
서론: 왜 중국 조선족 교육사인가? 13
제2장
중국 조선족 교육사 연구 설계 25
제1절 연구 방법 27
1.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28
1) 공시적.통시적 관점 28
2) 현지 조사를 통한 사례 연구 33
3) 구술 자료와 문헌 자료의 병행 활용 36
2. 구술 자료 수집 40
1) 구술 면담 과정 40
2) 각 학교별 구술 자료 45
제2절 조선족 교육사에 대한 이해와 시기 구분 52
1. 1945년 이전의 재만 조선인 교육 53
2. 1945년 이후의 조선족 교육 59
제3장
사례 1: 조선족 산거지구-장춘시 관성구조선족소학교
장춘 최고最古의 조선족 소학교,
역경을 딛고 꾸준한 발전을 이어가다 65
제1절 1945년 이전의 역사 67
1. 장춘 지역의 조선인 교육 68
1) 조선인 인구수와 조선인 초등학교의 개황 68
2) 조선인의 초등학교 취학 및 중등학교 진학 75
2. 관성구조선족소학교의 역사 78
1) 조선인 민회의 학교 설립과 학교 경영 참여(1922~1927) 78
2) 만철의 학교 운영권 회수(1927~1937) 82
3) 신경보통학교조합에 의한 학교 운영(1937~1945) 88
제2절 1945년 이후의 역사 92
1. 장춘 지역의 조선인 교육 93
1) 사회주의 성립기 및 확립기(1945~1965) 93
2) 문화대혁명 시기(1966~1976) 94
3) 개혁개방기(1978~현재) 95
2. 장춘시 관성구조선족소학교의 역사 95
1) 사회주의 성립기(1945~1950): 내전의 참화를 딛고 기사회생하다 95
2) 사회주의 확립기(1950~1965): 조선족 교육기관으로 우뚝 서다 107
3) 문화대혁명기(1966~1976): 민족교육이 또다시 난관에 처하다 110
4) 개혁개방기(1978~현재): 새로운 성장과 발전을 모색하다 112
제4장
사례 2: 조선족자치주-연길시 중앙소학교
연길 최상最上의 조선족 소학교,
평탄한 발전을 토대로 밝은 미래를 구상하다 121
제1절 1945년 이전의 역사 123
1. 연길 지역의 조선인 초등교육 124
1) 조선인 교육의 시작과 일제강점 전반기(1906~1930) 124
2) 만주국 시기(1931~1945) 135
2. 연길시 중앙소학교의 역사 143
1) 조선총독부의 학교 설립과 경영(1915~1937) 143
2) 만주국 간도성으로의 운영권 이양(1937~1945) 147
제2절 1945년 이후의 역사 149
1. 연길 지역의 조선족 초등교육 150
1) 사회주의적 개조 시기(1945~1965) 150
2) 문화대혁명 시기(1966~1976) 158
3) 개혁개방기(1978~현재) 161
2. 연길시 중앙소학교의 역사 168
3. 연길시 중앙소학교의 특징적 운영 172
1) 민족예술을 통한 적극적인 대외 활동 173
2) 교수의 질 제고 175
3) 민족 특색 교육의 실시 177
제5장
사례 3: 조선족 민족향-오상시 민락조선족향중심소학교
오상 최대最大의 조선족 소학교,
옛 번영을 간직한 채 서서히 사라지다 181
제1절 1945년 이전의 역사 183
1. 오상시 안가농장의 건립과 운영 184
1) 조선인들의 이주와 안가농장의 건립 184
2) 안가농장의 운영과 주민 생활 190
2. 오상시 민락조선족향중심소학교의 역사(1939~1945) 197
1) 안가농장의 학교 설립과 운영 197
2) 학교명의 의미 202
제2절 1945년 이후의 역사 204
1. 오상시 민락조선족향의 마을 역사와 교육 205
1) 민락조선족향의 마을 역사 205
2) 민락조선족향의 교육 현황 214
2. 오상시 민락조선족향중심소학교의 교사校舍 신축과 운영 218
제6장
보론 1: 중국 조선족 교육 경험과 교육 세계
1945년 이전 교육에 대한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225
제1절 재만 조선인의 교육 세계 227
1. 교육 환경: 집단 기억 형성의 토대 229
1) 삶의 쓰라림 그리고 학교 230
2) 전근대 의식과 중첩된 교육열 234
3) 움트는 민족적 반항심 238
2. 교육의 의미와 가치: 삶의 철학적 목표와 전략적 도구 240
1) 어두운 현실을 비추는 한줄기 빛 240
2) 삶의 희망을 만나는 공간 243
3. 교육 공간과 일상: 일상적 고통과 즐거움이 공존하는 곳 245
1) 틀어막힌 조선어 246
2) 사라져간 학생들 248
3) 잊을 수 없는 선생님의 기상 252
4) 순수한 동심과 낭만 253
제2절 구술 교육사를 위한 제언 256
제7장
보론 2: 중국 조선족 교육의 역사적 특성 265
제1절 도착국과 민족교육 간의 권력 역학 268
제2절 고국의 변화와 민족교육 실천 전략 273
제3절 민족교육의 토대, 교육 중시 문화와 친밀감 280
제8장
요약 및 제언
참고 문헌 294
표 차례 304
부록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