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발로 찾아 쓴 조선족 근현대 교육사

발로 찾아 쓴 조선족 근현대 교육사

정미량 (지은이)
살림터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발로 찾아 쓴 조선족 근현대 교육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발로 찾아 쓴 조선족 근현대 교육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445762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6-07-07

책 소개

중국 현지 조선족 소학교 세 곳의 과거와 현재를 조사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중국 조선족 교육의 역사적 특징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조선족 민족교육의 올바른 미래를 위해 민족교육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제시하였다.

목차

차례
책을 펴내며 4
제1장
서론: 왜 중국 조선족 교육사인가? 13
제2장
중국 조선족 교육사 연구 설계 25
제1절 연구 방법 27
1.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28
1) 공시적.통시적 관점 28
2) 현지 조사를 통한 사례 연구 33
3) 구술 자료와 문헌 자료의 병행 활용 36
2. 구술 자료 수집 40
1) 구술 면담 과정 40
2) 각 학교별 구술 자료 45
제2절 조선족 교육사에 대한 이해와 시기 구분 52
1. 1945년 이전의 재만 조선인 교육 53
2. 1945년 이후의 조선족 교육 59
제3장
사례 1: 조선족 산거지구-장춘시 관성구조선족소학교
장춘 최고最古의 조선족 소학교,
역경을 딛고 꾸준한 발전을 이어가다 65
제1절 1945년 이전의 역사 67
1. 장춘 지역의 조선인 교육 68

1) 조선인 인구수와 조선인 초등학교의 개황 68
2) 조선인의 초등학교 취학 및 중등학교 진학 75
2. 관성구조선족소학교의 역사 78
1) 조선인 민회의 학교 설립과 학교 경영 참여(1922~1927) 78
2) 만철의 학교 운영권 회수(1927~1937) 82
3) 신경보통학교조합에 의한 학교 운영(1937~1945) 88
제2절 1945년 이후의 역사 92
1. 장춘 지역의 조선인 교육 93
1) 사회주의 성립기 및 확립기(1945~1965) 93
2) 문화대혁명 시기(1966~1976) 94
3) 개혁개방기(1978~현재) 95
2. 장춘시 관성구조선족소학교의 역사 95
1) 사회주의 성립기(1945~1950): 내전의 참화를 딛고 기사회생하다 95
2) 사회주의 확립기(1950~1965): 조선족 교육기관으로 우뚝 서다 107
3) 문화대혁명기(1966~1976): 민족교육이 또다시 난관에 처하다 110
4) 개혁개방기(1978~현재): 새로운 성장과 발전을 모색하다 112
제4장
사례 2: 조선족자치주-연길시 중앙소학교
연길 최상最上의 조선족 소학교,
평탄한 발전을 토대로 밝은 미래를 구상하다 121
제1절 1945년 이전의 역사 123
1. 연길 지역의 조선인 초등교육 124
1) 조선인 교육의 시작과 일제강점 전반기(1906~1930) 124
2) 만주국 시기(1931~1945) 135
2. 연길시 중앙소학교의 역사 143
1) 조선총독부의 학교 설립과 경영(1915~1937) 143
2) 만주국 간도성으로의 운영권 이양(1937~1945) 147
제2절 1945년 이후의 역사 149
1. 연길 지역의 조선족 초등교육 150

1) 사회주의적 개조 시기(1945~1965) 150
2) 문화대혁명 시기(1966~1976) 158
3) 개혁개방기(1978~현재) 161
2. 연길시 중앙소학교의 역사 168
3. 연길시 중앙소학교의 특징적 운영 172
1) 민족예술을 통한 적극적인 대외 활동 173
2) 교수의 질 제고 175
3) 민족 특색 교육의 실시 177
제5장
사례 3: 조선족 민족향-오상시 민락조선족향중심소학교
오상 최대最大의 조선족 소학교,
옛 번영을 간직한 채 서서히 사라지다 181
제1절 1945년 이전의 역사 183
1. 오상시 안가농장의 건립과 운영 184
1) 조선인들의 이주와 안가농장의 건립 184
2) 안가농장의 운영과 주민 생활 190
2. 오상시 민락조선족향중심소학교의 역사(1939~1945) 197
1) 안가농장의 학교 설립과 운영 197
2) 학교명의 의미 202
제2절 1945년 이후의 역사 204
1. 오상시 민락조선족향의 마을 역사와 교육 205
1) 민락조선족향의 마을 역사 205
2) 민락조선족향의 교육 현황 214
2. 오상시 민락조선족향중심소학교의 교사校舍 신축과 운영 218
제6장
보론 1: 중국 조선족 교육 경험과 교육 세계
1945년 이전 교육에 대한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225

제1절 재만 조선인의 교육 세계 227
1. 교육 환경: 집단 기억 형성의 토대 229
1) 삶의 쓰라림 그리고 학교 230
2) 전근대 의식과 중첩된 교육열 234
3) 움트는 민족적 반항심 238
2. 교육의 의미와 가치: 삶의 철학적 목표와 전략적 도구 240
1) 어두운 현실을 비추는 한줄기 빛 240
2) 삶의 희망을 만나는 공간 243
3. 교육 공간과 일상: 일상적 고통과 즐거움이 공존하는 곳 245
1) 틀어막힌 조선어 246
2) 사라져간 학생들 248
3) 잊을 수 없는 선생님의 기상 252
4) 순수한 동심과 낭만 253
제2절 구술 교육사를 위한 제언 256
제7장
보론 2: 중국 조선족 교육의 역사적 특성 265
제1절 도착국과 민족교육 간의 권력 역학 268
제2절 고국의 변화와 민족교육 실천 전략 273
제3절 민족교육의 토대, 교육 중시 문화와 친밀감 280
제8장
요약 및 제언
참고 문헌 294
표 차례 304
부록 306

저자소개

정미량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그동안 일제강점기 재일조선유학생사, 중국 조선족 교육사, 한국 다문화 교육 문제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해왔다. 향후 연구 관심 분야도 해외 유학생사, 중국 조선족 교육사 사례 연구, 한국 다문화 교육 및 외국인 학교 문제에 대한 정책적 방안 탐색 등이 될 것이다. 주요 저서로는 『1920년대 재일조선유학생의 문화운동: 개인과 민족, 그 융합과 분열의 경계』(2012), 『한국의 다문화주의: 가족, 교육 그리고 정책』(2011, 공저), 『열풍의 한국 사회』(2012, 공저), 『사건으로 한국 사회 읽기』(2011, 공저), 『인문학의 싹』(2011, 공저), 『우리나라의 1945년 이전 국가수준 교육과정』(2010,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