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655550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17-02-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Part 1 역경이 가득한 학교
어떻게 도움을 줄 것인가?│상과 벌이 아닌 다른 방식이 필요하다
Part 2 아이들은 할 수 있으면 잘한다
문제는 대응하기 힘든 상황에서 발생한다│아이의 ‘뒤처진 능력’ 파악하기│처음부터 완벽한 아이는 없다│‘미해결 문제’ 파악하기│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렌즈│ALSUP 활용하기│문제에 맞서는 새로운 타이밍│뒤처진 능력과 미해결 문제 분석해 보기│‘벌’이라는 비논리적 결론
Part 3 미해결 문제를 다루는 방법
어른의 의견을 강요하는 플랜A│아이와 협력하는 플랜B│잠시 미루어두는 플랜C
Part 4 플랜B 시작하기
플랜B 1단계 : 공감하기│플랜B 2단계 : 어른의 생각을 밝히기│플랜B 3단계 : 초대하기 │긴급한 상황에 가능한 선택들
Part 5 플랜B가 실패하는 이유
플랜A로 돌아가는 실수│피상적인 공감│단계를 건너뛰는 실수│해결책 놓고 힘겨루기│단계가 뒤죽박죽되는 경우│긴급한 상황에 대처하는 경우
Part 6 한발 더 나아가기
문제 해결과 더불어 발전하는 능력│아이와 협력하며 지도하기│언어 능력이 뒤처진 아이와 문제 해결하기
Part 7 플랜B와 함께하는 교실
학급 전체와 함께하는 플랜B│공동체 형성 전략│플랜B를 학급의 표준으로 세우기│두 아이의 갈등 해결에 적용하는 플랜B│집단에 적용하는 플랜B│특수 학급에 적용하는 플랜B
Part 8 학교의 규율 문화 바꾸기
격려하는 리더십│변화의 원동력이 되는 구성원│변화를 뒷받침하고 지탱할 조직│학부모
와 협력하기
Part 9 아이와 함께 길을 찾는 법
미주 / 참고도서 및 추천도서
책속에서
우리 어른들은 그런 능력 면에서 모든 아이들이 동등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건 사실과 완전히 거리가 멀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문제행동은 삶이 아이에게 부족한 능력을 요구할 때 나타나며, 그 양상은 비교적 가벼운 정도에서 훨씬 심한 행동까지 다양하다.
여기서 하나만 더 짚고 넘어가자면, 뒤처진 능력을 ‘설명’으로 받아들이는 것과 ‘변명’으로 받아들이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변명으로 받아들일 때는 아이를 도울 방법을 모색하는 사고의 절차가 탁 닫혀버린다. 하지만 뒤처진 능력을 아이의 행동을 설명하는 요소로 받아들이면 도움으로 이어지는 길이 활짝 열린다. -
미해결 문제를 다루는 방법에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가 있다. 나는 그 세 가지 방법을 플랜A, 플랜B, 플랜C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플랜A는 대개 어른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강요함으로써 문제를 일방적으로 해결하는 방식을 뜻한다. 플랜A는 아이들이 문제를 일으키거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을 때 쓰이며, 활용 빈도가 단연코 가장 높다. 그건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그 밖의 장소에서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높은 인기에도 불구하고 플랜A는 다양한 측면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역효과를 초래하며, 문제를 해결할 이상적인 방법과는 거리가 멀다.
플랜C는 최소한 일시적으로라도 미해결 문제를 잠시 보류해 두는 방법이다. 얼핏 보기에 플랜C가 ‘항복하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플랜C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자세히 다룰 것이다.
플랜B는 어른과 아이가 함께 나서서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다. 곧 알게 되겠지만 문제를 초래하는 상황을 영구적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아이에게 뒤처진 능력을 가르치는, 가장 잠재력이 큰 접근 방법이다. -
플랜B를 쓰면 자신이 걱정하는 부분이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을까봐 두려워하는 어른들에게는 ‘서로에게 만족스러운 해결책’이라는 조건이 큰 위안이 될 것이다. 해결책이 서로 만족스럽다는 것은, 당연히 어른이 걱정하는 부분이 충실히 논의된다는 뜻이다. 아이들에게 규칙 등의 ‘제한을 두는’ 유일한 방법이 플랜A라고 흔히 생각할 수 있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플랜B로도 충분히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아이들은 그간의 경험을 통해 자신이 염려하는 부분을 어른들이 들어주거나 배려해 주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서로 만족스러운 해결책이어야 한다는 사실에 아이들도 안심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