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96147572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0-03-15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문제는 삶의 탄력성이다!
1장 인생이 우리에게 커브볼을 던질 때
상황은 천차만별, 반응도 제각각 |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의 다섯 가지 특성
2장 누구도 피할 수 없는 회복탄력성의 시험대, 인생의 계단
회복탄력성의 뿌리가 닿은 곳, 어린 시절 | 인생의 모든 결정을 내려야만 할 것 같은 청년기 |인생을 바로잡고 싶어지는 때, 중년
2부 회복탄력성을 결정하는 여덟 가지 요소
3장 자존감과 자기효능감 “나는 내가 맘에 든다”
자존감의 일곱 가지 영역 | 확신과 욕망의 발견, 자기효능감 |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려면
4장 낙관주의와 위기활용주의 “나는 할 수 있다, 해낼 것이다”
행복의 조건, 낙관주의 | 진정한 낙관주의는 현실적이다 | 나는 낙관주의자일까? | 낙관주의자 vs 위기활용주의자
▶ 내 인생의 리질리언스 | 두 팔이 있었어도 나는 화가가 되었을까? (석창우 화백)
5장 자기주도력 “내 감정과 행동은 내가 책임진다” _
상황을 인식하는 차이 | 통제소재를 내 안으로 옮겨오는 법 | 감정의 균형잡기
6장 “이것도 결국 끝이 날 일이야” _스트레스 반응도
긍정적 스트레스 vs 부정적 스트레스 | A, B, C 유형의 스트레스 반응도 | 스트레스와 싸워 이길 순 없지만
▶ 내 인생의 리질리언스 | 책임감이 없다면, 다시 일어설 이유도 없을 것! (임오경 서울시청 여자핸드볼팀 감독)
7장 “내가 판단하고, 내가 결정한다” _결정과 로스컷
결정 방식의 다섯 가지 유형 | 융통성을 발휘하기까지 | 직관적 판단력은 점점 강화된다 |
감정적인 사람이 이성적인 결정을 내려야 할 때 | 로스컷의 순간
8장 “나는 점점 더 발전하고 있다” _끊임없는 학습 욕구
실수에서 배우기 | 무엇으로부터든 배울 수 있다 | 평가 없이 발전은 없다
▶ 내 인생의 리질리언스 | 실패는 인생의 그림자일 뿐이다 (김철호 본아이에프 대표)
9장 “나를 도와줄 분을 알고 있다” _도움 구하기와 네트워킹
자기 책임감 vs 도움 구하기 | 우리는 사람들로부터 무엇을 얻으려는 걸까? | 타고난 네크워커들의 관계맺기의 ABC
10장 “내 생각은 다릅니다만…” _갈등 관리
누구에게는 토론, 누구에게는 싸움 | 갈등이 건강한 것이라고? |토마스-킬만의 갈등관리 유형 |
내 성격대로가 아닌 갈등의 성격에 맞게
3부 탄력적인 인생을 위한 삶의 기준 높이기
11장 RQ 높이기 10단계 실천법
맺는 말
감사의 말
부록
참고도서
리뷰
책속에서
미시건 대학의 심리학 교수인 제니퍼 크로커는 사람들이 일곱 가지 영역에서 자존감을 이끌어낸다고 말한다. 미덕, 신의 사랑, 가족의 지원, 학업 능력, 신체적인 매력,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는 것, 경쟁에서 이기는 것. 이 일곱 가지 영역을 통해 무엇이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만드는지, 무엇이 내 자존감을 낮추는지를 살펴보자. ……흥미로운 점은, 자존감이 높으면 회복탄력성도 높을 수 있지만 반드시 더 성공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마치 자존감이 높은 학생이 자기만족에 빠지게 될 경우 공부를 등한시하는 것처럼 말이다. 즉 성공을 하면 자존감이 높아질 수 있지만, 자존감이 높아진다고 해서 반드시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_3장 자존감과 자기효능감
《하버드 비즈니스리뷰》의 수석편집자이자 심리학자인 다이앤 쿠투는 현실적 낙관주의의 실례로, 모건 스탠리가 월드트레이드 센터에 입주할 때의 사연을 든다. 모건 스탠리는 9.11 테러로부터 한참 전에 그곳이 테러리스트들의 목표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그는‘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좋겠지’라고 안일하게 생각하는 대신, 직원들에게 긴급상황 대피훈련을 철저하게 시켰다. 그리고 운명의 날, 모건 스탠리의 2,700명의 직원들 중 일곱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건물에서 빠져나왔다. 낙관주의는 현실적일 때에만 강력한 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 현실에 근거하지 않은 맹목적인 낙관주의나 터무니없이 긍정적인 관점만 고수하는 지나친 낙관주의는 차라리 없느니만 못하다.
_4장 낙관주의와 위기활용주의
자기주도의 능력과 욕망은‘통제소재’에서 비롯된다. 통제소재가 외부에 있는 사람은 자신이 외부적 사건과 다른 사람들에 의해 움직인다고 믿기에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란 없다. 그 결과 행동은 하지 않으면서 노심초사하고 다른 사람의 행운을 시기하며 세상이 불공평하다고 불평하게 된다. 그에 비해 내부에 통제소재를 갖고 있는 사람은 행동과 신념을 통해 자신의 운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통제할 수 없는 일에 대해 불평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에 초점을 맞춘다. 내부적 통제소재를 가진 사람은 자신이 행운아라고 말할지 모르지만 사실 그들은 스스로 행운을 만든다. _5장 자기주도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