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혁신교육 미래를 말한다

혁신교육 미래를 말한다

(창의와 지성을 추구하는)

서용선, 김성천, 김혁동, 송승훈, 오재길, 홍섭근 (지은이)
맘에드림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8,400원 -10% 420원 7,140원 >

책 이미지

혁신교육 미래를 말한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혁신교육 미래를 말한다 (창의와 지성을 추구하는)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206117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3-05-01

책 소개

혁신교육을 새로운 흐름으로 만들어왔던 여러 주제들을 검토하고 교육 혁신을 이루기 위해 앞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의 주요 방향과 내용을 폭넓게 제시하고 있다. 저자들은 무엇보다 먼저 교육 철학의 토대로 복잡성 철학과 존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을 제안한다.

목차

저자 서문
추천사

복잡성 철학으로 교육을 새로 보다 · 17
혁신교육의 흐름과 복잡성과의 결합 · 17
복잡성 철학의 출발 · 18
융합으로서 복잡성 철학 · 20
복잡성 철학이 제시하는 원리들 · 22
복잡성 교육철학의 흐름 · 24
복잡성 교육철학에서 바라 본 학습 · 28
복잡성 교육철학의 공헌 · 33
복잡성 교육철학으로 혁신교육 바라보기 · 34

존 듀이가 말하는 혁신교육 · 36
다양한 혁신교육 철학과 존 듀이 · 36
교육의 본질: 시민성 교육 · 37
듀이는 누구인가? · 39
듀이의 사상: 프래그머티즘 · 40
실험학교: 혁신학교의 모태 · 42
『민주주의와 교육』다시 읽기 · 44
생활양식으로서의 민주주의 · 46
창조적 민주주의 교육으로 가는 길 · 48
혁신교육 토대 만들기 · 52

역량 중심 교육으로 펼치다 · 55
역량 중심 교육은 어떻게 도입되었는가? · 55
역량이란? · 57
역량 중심 교육의 주요 내용 · 60
역량 중심 교육의 쟁점 · 63
시사점 · 68

교육과정 재구성으로 학교를 바꾸다 · 73
수업, 교육과정, 평가는 하나다 · 73
교육과정 만들기를 위한 새로운 시선 · 74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 · 78
교육과정 재구성의 유형 · 82
교육과정 재구성의 방법 · 85
단위학교 교육과정 만들기 실천 사례 · 87
함께 교육과정 만들기 · 90

다른 나라의 핵심 역량 교육과정과 성공의 길 · 93
여는 글 · 93
핵심 역량 교육과정 해외 사례와 시사점 · 96
성공적인 핵심 역량 교육과정을 위한 제언 · 106
맺음말 · 110

교직 전문성과 교직 몰입 · 111
교직 몰입을 통한 학교 혁신의 가능성 탐색 · 111
조직 몰입과 교직 몰입의 차이점 · 113
교직 몰입의 특성 · 116
교직 몰입과 교육 개혁 · 120

꼭 필요한 변혁적 리더십 · 122
학교혁신의 주춧돌: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 122
거래적 리더십을 넘어서 · 124
왜 변혁적 리더십인가? · 126
변혁적 리더십의 특징들 · 129

학교는 거버넌스로 지속된다 · 135
거버넌스란 무엇인가? · 135
거버넌스는 어떻게 탄생했나? · 137
교육 민주화를 위해 거버넌스 구축하기 · 139
교육에서 거버넌스 구축하는 방법 · 141
좋은 거버넌스를 위하여 · 147
교육 거버넌스를 위한 제언 · 149
고교 평준화 2.0을 준비해야 한다 · 152
고교 서열화와 내 삶 · 152
외고와 자율형사립고 무엇이 문제인가? · 154
평준화와 고교선택제는 충돌하는가? · 161
그러면 어떻게 할 것인가? · 168

이것이 진정한 독서교육이다 · 171
독서교육 정책 개관 · 171
정부 정책에 담긴 내용과 검토 · 179
교육 현장의 반응 · 186
진단과 평가 · 190
성공을 위한 의견 · 199

평화교육의 깃발을 올려라 · 207
평화의 개념 · 207
평화교육이란? · 209
평화교육의 배경과 양상 · 211
평화교육의 성격과 내용 · 215
평화교육의 내용 · 218
시사점 · 224

다문화교육 정책, 이것이 필요하다 · 228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현 주소 · 228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 정책 · 232
학교 현장에서 본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 · 237
바람직한 다문화 교육 정책을 위하여 · 243

바람직한 스마트교육의 길 · 250
스마트교육의 개념 · 250
스마트교육의 내용 · 251
교육 효과성 · 254
스마트교육의 기대점 · 256
스마트교육에 대한 비판점 · 260
스마트교육에 관한 입장 · 265
스마트교육의 난점 · 267
시사점 · 269

참고문헌 · 274

저자소개

서용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육을 가장 민주적이고 창조적인 일이라고 생각하는 교육자이자 교육운동가이다. 혁신학교인 의정부여중에서 혁신부장으로 활동했고, 한국교원대, 충북대, 서원대 강사와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지금은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외래교수로 민주주의와 교육, 복잡성교육철학, 마을교육공동체 등을 강의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는 혁신교육 연구와 마을교육공동체 연구를 깊게 탐구했다. 현재는 경기도교육청 마을교육공동체 기획단에서 장학사로 마을교육공동체를 일구고 있다.
펼치기
김성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육과 연구와 운동을 통합한 삶을 지양하면서 혁신학교, 청소년 문화, 교육정책에 관심을 가진 고등학교 교사이다. 깨끗한미디어를위한교사운동 대표, 좋은교사운동 정책위원장과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 부소장을 역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교육사회학 및 교육행정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아름다운 배움 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경기도교육연구원 정책개발팀에서 근무하고 있다.
펼치기
김혁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육개혁은 사회 변혁의 원천이라는 믿음으로 경인교대와 한신대 교육대학원, 경희대 교육대학원에서 강의하였다. 「국가교육위원회 설립 타당성 및 유형에 관한 연구」,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습공동체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 논문)」 등의 개인 연구가 있다. 경기도교육연구원 근무 시 「지방분권화 시대의 단위학교자치 구현 방안」, 「사립학교 거버넌스의 공공성과 자주성 강화」 등의 공동 연구가 있다. 저서로는 『혁신교육의 미래를 말한다』, 『교사 학습공동체』, 『교육정책 스포트라이트』가 있으며, 현재 경기도교육청 장학사로 근무하고 있다.
펼치기
송승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80 사회에서 독서교육이 교육의 빈부격차에 대응하는 힘이 있다고 여긴다. 전국국어교사모임의 독서교육 분과 ‘물꼬방’과 경기도중등독서토론교육연구회 선생님들과 함께 정규수업시간에 교사가 지치지 않고 하는 독서교육에 대해 공부하고 실천해왔다. 경기도교육연구원 정책개발팀에서 교사 연수를 더욱 현장성 있게 하는 일을 기획하고 있다.
펼치기
오재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안성교육지원청 교육과장이다. 교육학 박사로 주 연구 분야는 학부모, 학교자치, 학교문화, 혁신교육 정책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원격수업상황에서의 학생자치 활성화 방안 연구”(2021), “학생의 시민주체화 방안 연구”(2017), “부탄 행복교육의 비밀은 뭘까?”(2017), “학부모 교육주체성 강화 방안 연구”(2016), “교육지원청 혁신 방안 연구”(2015)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보편적 학습설계 수업』(공저, 2021), 『학부모와 공교육』(공저, 2019), 『교육전문직의 모든 것』(공저, 2018), 『교사,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공저, 2015) 등이 있다.
펼치기
홍섭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육자치의 시작과 함께 교육청 정책부서 파견을 출발점으로 교육청 생활과 교육정책에 입문하였다. 교육정책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경기도교육청 장학사 시험에 합격했다. 공무원 연금개혁, 교육자치의 시작, 교권에 대한 시각 변화, 학령인구 급감, 고3 교원 양성과정 기피 현상, 시·도교육청 간 교육 환경의 간극, 코로나19 이후의 교육격차 증가 등 급변하는 시기의 교직 현실을 체감하면서 관련 연구에 다수 참여했다. 다양한 기관에서 교육정책 기획과 제도 개선에 역할을 하였고 100개 이상의 관련 TF에 참여하였다. 장학사가 된 후 경기도교육청 정책기획관실에서 정책기획·조정 역할하였으며, 학교정책과에서 학교혁신 업무를 담당하였다.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으로서 정책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현재는 용인교육지원청에 있다. 다수의 교육 저서와 논문, 칼럼 등을 저술하였으며 국회, 교육부, 연구기관 등에서 교육정책 자문 역할을 병행하고 있다. 또한 개인의 교육 경험을 공유하고 후배들의 성장을 돕기 위해 전공 강의를 하고 있다.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예비 교사 교육 강의를 하고 있으며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에서도 후배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97206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