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언어/외국어 교육
· ISBN : 979118628631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0-11-16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언어 학습과 두뇌
제1장 언어의 개발
언어습득을 위한 신경 연결망의 구현과 유지- 24
옹알이의 진정한 의미-28
말하기를 도와주는 환경요소-29
언어습득 최적기-34
환경과 경험, 그리고 두뇌 발달-36
언어 개발의 시기와 단계- 37
언어 개발에 좋은 환경-40
언어 개발과 성별 상관관계- 45
두뇌 양반구를 모두 이용한 말하기-47
언어 개발을 돕는 주요활동-52
요약정리-55
제2장 언어학습과 두뇌
두뇌의 구조-60
두뇌 활동 관찰 방법-65
두뇌세포-69
세포는 어떻게 소통하는가?-73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의 오류-76
신경 재순환 과정-79
두 갈래의 신경 경로-82
학습과 기억: 정의-86
요약정리-91
제3장 두뇌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
음식, 영양가득한 음식!- 96
공부하는 두뇌에 좋은 식단-107
수면: 기억에 필수적인 조건-110
적절한 운동-118
똑똑한 두뇌를 위한 환경적인 요소-120
두뇌와 신체를 상하게 하는 스트레스-126
따돌림이 두뇌에 미치는 영향-132
요약정리-134
제4장 음소인지
음소인지-142
기본 중의 기본-148
거울 뉴런 시스템- 149
함께 발화하는 뉴런들-150
소리 내어 읽어주기-150
언어학습을 위한 교육 표준화-153
음소인지 교육의 필요성-155
효과적인 음소인지 지도활동-156
요약정리-167
제5장 알파벳 코드 패턴과 프로그램, 그리고 파닉스
패턴과 프로그램-172
알파벳 원리-178
1:1대응? 정확한가?-179
공통기준: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180
두뇌의 음운 해독능력개발-182
파닉스 교육-185
학습을 이끄는 요소들-187
효과적인 파닉스 지도활용-192
요약정리-195
제6장 유창성
유창성의 의미-202
유창성이 개발된 두뇌 경로-205
읽기는 즐거움이다!-207
노출 빈도가 높은 단어와 싸이트워드-209
유창성발전단계-211
유창성 지도에 효과적인 활동-216
요약정리-219
제7장 어휘력 쌓기
어휘의 두 가지 유형-225
어휘력 개발-227
교육 공통기준과 어휘-230
대학 및 직무준비 핵심 언어기준-233
보다 신중한 단어 선택-234
어휘 습득을 돕는 지도활동-240
요약정리-246
제8장 이해력
읽고 이해하는 시범 보여주기-252
이해력을 향상 시키는 전략-254
읽기 전, 읽기 중, 읽은 후: 두뇌와 관련된 효과적인 지도전략-270
이해력 향상에 효과적인 지도전략-274
요약정리-308
마치며 당부하는 글
부모에게-311
교사에게-312
두뇌 관련 학습의 지속-313
책속에서
지구상에는 약 7,000여 개의 언어가 존재하며, 아이들은 어디에서 태어나든 자신이 태어난 곳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습득하고 구사할 수 있는 선천적인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 하지만 성장하면서 아이의 두뇌는 환경에 적응하고 변화한다. 이로 인해 생존 환경에서 사용하는 언어(모국어)를 제외한 언어의 습득은 점점 더 어렵게 된다.
이 책 “자녀의 두뇌를 이해한 영어독서 지도법”이 두뇌과학과 교육학 연구를 접목시켜 학생들의 읽기 지도를 위한 최고의 실천 표준안에 대한 흥미롭고 중요한 정보를 전달한다.
제 1장에서는 아이가 모국어를 어떻게 습득하는지 살펴 보고, 나이에 따라 새로운 언어를 습득하는 두뇌의 접근방법이 어떻게 변화 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 볼 것이다.
제 2장에서는 읽기 경로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신경 재순환 과정이 필요성을 다룬다. 교육 담당자들이 신경 재순환 과정이나 두뇌 기능과 관련된 내용들을 이해하면, 학생들에게 더 효과적인 교수법을 적용할 수 있고 부모 또한 아이의 읽기 과정 개발에 보다 쉽게 참여할 수 있다.
읽기 준비 과정은 두뇌뿐만 아니라 신체와도 연관된다. 제 3장에서는 두뇌가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도록 돕는 여러 가지 신체 활동을 설명한다. 두뇌와 신체가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과학자들은 두뇌를 개발시키는 핵심은 다름 아닌 운동과 놀이라고 믿고 이유도 알아 본다.
제 4장에서는 두뇌의 읽기 경로가 어떻게 시작 되는지를 보여준다. 음소인식은 알파벳 코드를 학습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1학년 시절 특히 강조된다. 음소를 인식하고, 소리와 철자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아는 일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 장에서는 소리와 철자 연결법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지를 다룬다.
알파벳 코드의 비밀을 이해한 이후에는 그 코드 패턴을 두뇌가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제 5장에서는 파닉스를 다룬다. 읽기를 배우는 것은 책을 읽을 때,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를 적절하게 결합시키는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며, 소리와 철자 간의 관계와 단어의 음운을 해독 지도 방법을 말한다.
제 6장에서는 유창성이란 무엇이며, 유창성이 왜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는 지에 대해 살핀다. 적절한 표현을 넣어, 빠르고 정확하게 읽을 수 있는 학생이 읽는 내용에 더 잘 집중하고, 더 잘 이해하는 이유도 알아 간다.
제 7장은 단어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많은 단어를 아는 것이 왜 중요한지는 그 동안의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설명한다.
끝으로 제 8장에서는 읽은 내용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맞춘다. 작업 기억이 어떻게 이해전략에 도움을 주는지 살펴보고, 이해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독서 전략도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읽기 전, 읽기 중, 읽은 후 활동에 사용될 여러 가지 전략들에 관하여 논의할 것이다.
미국 교육 공통기준을 보면, 유치원에서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각 학년 단계에 해당되는 텍스트 내용을 학생들 스스로가 유창하게 읽어낼 수 있는 능력 배양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학생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는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이 누구인지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그 학생들을 도와줄 전략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책은 부모와 교사의 입장에서 읽기를 배우는 학생들의 책 읽는 두뇌 능력 개발을 돕고, 실천 가능한 읽기 지도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쓰여졌다. 학생들의 영어 읽기 지도에서는 ‘첫 단추’를 잘 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책은 자녀의 두뇌를 이해하는 영어독서 지도법 실천의 첫 단추가 되기를 희망하는 내용으로 가득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