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아, 족보 없는 자

고아, 족보 없는 자

(근대, 국민국가, 개인)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허병식, 홍양희, 박선주, 오경환, 권은혜, 김아람, 김청강 (지은이), 홍양희, 박선주, 오경환 (엮은이)
책과함께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고아, 족보 없는 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아, 족보 없는 자 (근대, 국민국가, 개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97735396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4-05-08

책 소개

트랜스내셔널 인문학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여러 이론적 과제들을 정리한 'RICH 트랜스내셔널인문학총서' 1권. '고아'가 역사적 사실로서, 혹은 추상적인 메타포로서, 가족 내러티브, 규범적 자아(시민, 국민, 인간), 근대국민국가의 인식적, 정치적 체제 등에 대해 제기하는 문제들을 탐구한 책이다.

목차

머리말_불가능한 비교: ‘고아’라는 비유

고아와 혼혈, 근대의 잔여들_허병식
1. 고아와 혼혈, 근대의 가족로망스
2. 고아 청년들의 등장
3. 혼혈의 정치
4. 귀환하는 아이들
5. 타인의 얼굴

인조인간, ‘벌거벗은 생명’, 포스트휴머니즘_박선주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과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고아와 인간
1. 시작하며
2. ‘인간’의 근원에 놓인 부정, 고아
3. ≪프랑켄슈타인≫: 고아아버지아들과 ‘근대 시민’의 모순
4. ≪나를 보내지 마≫: 국가권력의 글로벌한 재편과 포스트휴먼
5. 마치며

1950년대 한국 사회의 혼혈인 인식과 해외 입양_김아람
1. 한국 현대사의 중심에 있는 혼혈인
2. 한국전쟁이 낳은 자녀들
3. 혼혈인을 둘러싼 겹겹의 모순들
4. 민간의 혼혈인 해외 입양: ‘ 다다익선’의 대리 입양
5. 더 복원될 이야기들

2차 세계대전 일본계 미국인 강제수용 시기 일본계 미국인 고아 및 혼혈아의 인종 정체성_권은혜
1. 시작하며
2. ‘모든 일본인 후손’이라는 문구의 모호함
3. 혼종결혼정책이 규정하는 일본계 미국인 고아 및 혼혈아의 인종정체성
4. 마치며

보이지 않는 혼혈인_김청강
<내가 낳은 검둥이>로 본 대한민국 ‘검은 피부’의 정치학
1. 흑인 혼혈 한국인, 그들은 누구인가
2. 대한민국 흑인의 표상
3. ‘구별된다’는 것, 그 폭력적 인식
4. ‘위험한 교차’의 법적 장치
5. 혼혈인들이 속할 땅, 미국
6. 마치며

‘애비 없는’ 자식, 그 낙인의 정치학_홍양희
식민지 시기 ‘사생아’ 문제의 법적 구조
1. 시작하며
2. ‘사생아’의 탄생
3. 애비 없는 자식이라는 ‘낙인’
4. 사생아 낙인의 정치학
5. 마치며: 식민지적 인식론을 넘어

‘다른 이름으로 불리지 않은 자’_오경환
근대 프랑스 고아 개념의 변천
1. 시작하며
2. 드러난 아이들
3. 버려진 아이들
4. 돌봄을 받는 아이들
5. 마치며

저자소개

허병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에서 태어났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200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 당선했고, 동국대학교에서 한국 근대문학과 문화에 대해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홍양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 했다. 현재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 다. 식민지 가족법과 젠더론에 주목하여 가족사와 여성사를 연구해 왔다. 편저서로 『고아, 족보 없는 자: 근대, 국민국가, 개인』, 『성스 러운 국민: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근대 국가의 법과 과학』 등 이, 공저로 『신사임당, 그녀를 위한 변명: 시대와 권력이 만들어낸 신사임당의 이미지』, 『한국과 타이완에서 본 식민주의』, 『일제의 식 민지배와 재조일본인 엘리트』 등이, 역서로 『조선풍속집: 제국의 경 찰이 본 조선풍속』이 있다. 논문은 「‘상실’과 ‘훼손’의 문화정치학: 식 민지 조선의 ‘강간’죄 구성과 ‘수치심’」, 「식민지시기 ‘의학’ ‘지식’과 조선의 ‘전통’: 쿠도(工藤武城)의 “婦人科學”적 지식을 중심으로」, 「“애 비 없는” 자식, 그 ‘낙인’의 정치학: 식민지시기 ‘사생아’ 문제의 법적 구조」, 「조선총독부 판사, 노무라 초타로(野村調太郞)의 조선 사회 인 식」, “A Dangerous Tradition: Chohon Discourses and Population Management in Colonial Korea” 등이 있다.
펼치기
홍양희의 다른 책 >
박선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현대영미문학, 번역이론, 비교문학 전공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쳤으며,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t Amherst에서 Transnational Fiction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박선주의 다른 책 >
오경환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이다. 근대 유럽 사상사 전공자이며 냉전의 장기지속성과 지식 생산 구조 사이의 관계에 천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가난의 과학: 19세기 프랑스 정치경제학의 풍경』(2014), 논문으로는 “The State, Science and Planification: The Co-production of the French State and Science”(2018), 「냉전사 연구의 궤적: 정통주의에서 담론적 전회에 이르기까지」(2018) 등이 있다.
펼치기
권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 인종민족젠더가 20세기 아시아계 미국인 역사에서 교차적으로 드러나는 방식 연구. 논문으로는 “Interracial Marriages Among Asian Americans in the U. S. West, 1880~1954”(박사학위논문), <인종간 결혼에 대한 법적 규제와 사회적 금기를 넘어서: 1880년에서 1945년까지 미국 서부에서 아시아계 남성과 결혼한 백인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아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문학과를 다니면서 작가들의 인생에 관심이 많았으며, 작가란 참 힘겨운 예술가의 길이라고 생각해서 작가의 꿈을 접었었는데 세월이 흐르다 보니 자연스레 글속에 머물게 되었고 늘 글들과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오랜 습작 후에 2006년 순수문학지에서 시로 등단하게 되었고, 2011년 계룡 문학상 시조부문 본 상을 받았습니다. 반딧불, 마음세상에서 꽃이 지고 나면 눈물이 난다, 순수, 빨강 우체통, 생의 침묵, 사랑한다면 기다려라, 마음이 흐르는 강, 낙엽에도 가시가 있다, 게으른 것이 아니라 느린 것이다,마른 담장에도 잎은 돋아 나더라, 희망 촌에도 봄은 왔다, 빈손, 낙엽에도 가시가 있다, 흙이 되어 나무가 되어, 열매,이야기 등 다수를 출간 하였습니다. 이후에도 작고 보잘것없는 것들에 대한 따뜻한 애정과 진솔한 삶을 살아왔고 인생에 대한 깊은 고민과 자연에 대한 사랑을 담아 많은 글들을 쓰게 되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를 통해 글들을 올리고 있으며 서로 간에 즐거운 소통을 나누고 있습니다.
펼치기
김청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동아시아언어문화학과에서 박사학위 취득. 한국문화사 전공. 논문으로 “Nation, Subculture, and Queer Representation : The Film Male Kisaeng and the Politics of Gender and Sexuality in 1960s South Korea”, 〈보이지 않는 혼혈인 : 〈내가 낳은 검둥이〉로 본 대한민국 ‘검은피부’의 정치학〉, 〈악극, 헐리우드를 만나다 : 1950년대 한국 대중영화의 혼종성에 드러나는 식민성과 탈식민적 근대성의 문제들〉 등이 있다.
펼치기
홍양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 했다. 현재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 다. 식민지 가족법과 젠더론에 주목하여 가족사와 여성사를 연구해 왔다. 편저서로 『고아, 족보 없는 자: 근대, 국민국가, 개인』, 『성스 러운 국민: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근대 국가의 법과 과학』 등 이, 공저로 『신사임당, 그녀를 위한 변명: 시대와 권력이 만들어낸 신사임당의 이미지』, 『한국과 타이완에서 본 식민주의』, 『일제의 식 민지배와 재조일본인 엘리트』 등이, 역서로 『조선풍속집: 제국의 경 찰이 본 조선풍속』이 있다. 논문은 「‘상실’과 ‘훼손’의 문화정치학: 식 민지 조선의 ‘강간’죄 구성과 ‘수치심’」, 「식민지시기 ‘의학’ ‘지식’과 조선의 ‘전통’: 쿠도(工藤武城)의 “婦人科學”적 지식을 중심으로」, 「“애 비 없는” 자식, 그 ‘낙인’의 정치학: 식민지시기 ‘사생아’ 문제의 법적 구조」, 「조선총독부 판사, 노무라 초타로(野村調太郞)의 조선 사회 인 식」, “A Dangerous Tradition: Chohon Discourses and Population Management in Colonial Korea” 등이 있다.
펼치기
홍양희의 다른 책 >
박선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현대영미문학, 번역이론, 비교문학 전공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쳤으며,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t Amherst에서 Transnational Fiction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박선주의 다른 책 >
오경환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이다. 근대 유럽 사상사 전공자이며 냉전의 장기지속성과 지식 생산 구조 사이의 관계에 천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가난의 과학: 19세기 프랑스 정치경제학의 풍경』(2014), 논문으로는 “The State, Science and Planification: The Co-production of the French State and Science”(2018), 「냉전사 연구의 궤적: 정통주의에서 담론적 전회에 이르기까지」(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97735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