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사임당, 그녀를 위한 변명

신사임당, 그녀를 위한 변명

(시대와 권력이 만들어낸 신사임당의 이미지 변천)

고연희, 이경구, 이숙인, 홍양희, 김수진 (지은이)
다산기획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사임당, 그녀를 위한 변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사임당, 그녀를 위한 변명 (시대와 권력이 만들어낸 신사임당의 이미지 변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테마로 보는 역사 > 한국인물사
· ISBN : 978897938107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6-11-30

책 소개

전문 연구자들이 최초로 밝힌 신사임당의 이미지 변천사. 1551년 신사임당이 마흔여덟 살에 세상을 떠난 뒤 그녀에게는 새로운 역사가 시작된다. 산수와 포도그림을 잘 그렸던 신사임당에게 당대 권력자들은 새로운 이미지들이 하나씩 덧붙였다.

목차

차례

서문
시대가 욕망하고 시대가 소환한 신사임당 _ 이숙인

1 신씨의 예술혼, 미궁에 떠돌다 _ 고연희

산수화로 이름을 떨친, 여성화가 신씨 … 21
사라진 신씨의 산수화 … 28
송시열이 칭송한 자그마한 원추리 그림 … 32
초충도의 대가로 자리잡은 신사임당 … 39
갑자기 등장하는 ‘사임당 초충도’들 … 44
18세기, ‘사임당 초충도’를 베끼고 또 베꼈다 … 46
송시열은 왜 초충도를 선택하였는가 … 48
정선 또한 초충도를 그리다 … 51
사임당이 그린 초충도는 전하지 않는다 … 54

2 김장생과 송시열, 신사임당과 이율곡을 재해석하다 _ 이경구

신사임당이 아니라 율곡의 부인 노씨에 주목하다 … 75
어머니 신사임당과 부인 노씨의 비중이 역전되다 … 79
사임당을 부각시킨 해석자, 율곡의 후예들 … 83
오늘날의 율곡을 만들어낸 제자 김장생 … 85
임란 후 피폐해진 조선을 예로 재건하고자 … 88
조선을 지키는 길은 주자학의 실현뿐이라 믿은 송시열 … 92
사임당의 산수화에 대한 송시열의 평가 … 100
사임당의 산수화를 평한 이경석의 또 다른 해석 … 108
사임당-율곡에 대한 송시열의 이상화 … 110
송시열의 재해석에 대한 우리의 재해석 … 116

3 아들 율곡과 함께 역사의 길을
- 18세기 문헌으로 살핀 신사임당의 이미지 _ 이숙인


그녀 사후, 진정한 의미의 역사가 시작되다 … 124
초충도에 갑자기 관심을 쏟는 송시열의 사람들 … 130
사임당을 칭한 가짜 그림이 창궐하다 … 137
유교적 부덕을 실천한 여성의 상징이 된 신사임당 … 146
‘율곡을 길러낸 어머니’에 주목하다 … 152
서인 노론의 프로젝트, 신사임당 … 160

4 신사임당, 현모양처의 상징이 되다 _ 홍양희

여성 예술인인가 현모양처인가 … 166
자녀 교육의 귀감, 여성 교육의 모델 … 168
신사임당과‘현모양처’의 조우 … 181
군국의 어머니, 총후부인 … 195
신사임당 담론의 동반자, ‘신여성’에서 ‘된장녀’까지 … 210

5 현모양처, 신여성, 초여인의 얼굴을 지닌 사임당_ 김수진

역사적 상상력, 변화하는 신사임당 … 216
박정희 체제에서 우리나라의 대표 여성으로 자리잡다 … 219
‘충’과 현모양처, 전통과 근대의 접합 … 225
사임당의 현대적 현신, 육영수 … 230
여성 운동이 만든 사임당상, 슈퍼우먼 … 233
일과 가정을 완벽하게 병행한 신사임당-초여인의 역설 … 238
절반의 성공, 최초의 여성 화폐 인물 … 241
표준 영정과 지폐 초상화 제정을 둘러싼 논란 … 243
착한 여자에서 유능한 여자로, 신 현모양처의 유혹 … 247

부록
율곡의 「선비행장」 … 254
신사임당 연보 … 260
출처 … 264
참고 문헌 … 280

저자소개

고연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동아시아학과 부교수. 이화여대 국어국문학과에서 조선후기 산수유람의 기행시문과 겸재 정선 산수화의 관련성을 밝힌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같은 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화조화의 정치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미국 시카고대 동아시아시각물질연구원, 서울대 규장각한 국학연구원, 중국 사회과학원, 대만 중앙연구원 등에 머물면서, 전근대기 그림의 향유자가 학자이자 위정자였던 상황에 입각하여 그림의 문학적 내면과 그림의 사회문화적 역할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펼치기
이숙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가족과 여성의 연구 시각으로 조선시대 사상사를 읽고 쓰는 중이다.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유교경전의 여성사상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시아 학술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연구교수를 지냈고, 여러 대학에서 동양철학 및 한국철학을 강의해 왔다. 지은 책으로 『유교와 여성, 근대를 만나다』, 『또 하나의 조선』, 『신사임당』, 『정절의 역사』,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열녀전』, 『여사서』, 『오륜행실도』 등이 있다.
펼치기
김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0년 현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관으로 재직 중이다. 『모성의 담론과 현실』(공저 1999), 『젠더연구의 방법과 사회분석』(공저 2006), 『신여성, 근대의 과잉』(2009), 『사회사/역사사회학』(공저 2016) 등을 저술하였다.
펼치기
이경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조선후기 안동 김문金門의 성장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선후기의 의 정치, 사상, 지식인에 대해 공부하고, 학술서와 교양서를 가로지르며 글을 썼다. 현재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에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는 《조선후기 안동김문 연구》, 《17세기 조선 지식인 지도》, 《조선 후기 사상사의 미래를 위하여》, 《정조와 18세기》(공저), 《조선, 철학의 왕국 – 호락논쟁 이야기》 등이다.
펼치기
홍양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 했다. 현재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 다. 식민지 가족법과 젠더론에 주목하여 가족사와 여성사를 연구해 왔다. 편저서로 『고아, 족보 없는 자: 근대, 국민국가, 개인』, 『성스 러운 국민: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근대 국가의 법과 과학』 등 이, 공저로 『신사임당, 그녀를 위한 변명: 시대와 권력이 만들어낸 신사임당의 이미지』, 『한국과 타이완에서 본 식민주의』, 『일제의 식 민지배와 재조일본인 엘리트』 등이, 역서로 『조선풍속집: 제국의 경 찰이 본 조선풍속』이 있다. 논문은 「‘상실’과 ‘훼손’의 문화정치학: 식 민지 조선의 ‘강간’죄 구성과 ‘수치심’」, 「식민지시기 ‘의학’ ‘지식’과 조선의 ‘전통’: 쿠도(工藤武城)의 “婦人科學”적 지식을 중심으로」, 「“애 비 없는” 자식, 그 ‘낙인’의 정치학: 식민지시기 ‘사생아’ 문제의 법적 구조」, 「조선총독부 판사, 노무라 초타로(野村調太郞)의 조선 사회 인 식」, “A Dangerous Tradition: Chohon Discourses and Population Management in Colonial Korea” 등이 있다.
펼치기
홍양희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