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편지 2

편지 2

조르주 상드 (지은이), 이재희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27,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410원 -5% 0원
830원
25,580원 >
25,02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502원
22,518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26,41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240원 -10% 910원 15,500원 >

책 이미지

편지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편지 2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에세이
· ISBN : 9791128822643
· 쪽수 : 534쪽
· 출판일 : 2022-05-28

책 소개

<편지>는 그 분량에서 루소, 볼테르, 괴테의 서간집보다 많으며 생트뵈브와 위고의 서간집을 훨씬 능가한다. 조르주 상드는 평생 4만여 통의 편지를 썼고 2000여 명에게 쓴 1만 8000통이 남아 있다. 이재희 교수는 30년 넘게 조르주 상드를 연구했고, 20년 동안 <편지>를 연구하고 우리말로 옮겼다. 그가 가려 뽑은 510통의 <편지>를 6권의 책에 담았다.

목차

73 샤를 뒤베르네에게, 1830년 12월 2일(*)
74 샤를 뒤베르네에게, 1830년 12월
75 에밀 르뇨에게, 1831년 4월 18일
76 에밀 르뇨에게, 1831년 5월 16일
77 에밀 르뇨에게, 1831년 6월 13일
78 샤를 뒤베르네에게, 1831년 7월 19일
79 마리 도르발에게, 1833년 7월 18일일과 24일(*)
80 생트뵈브에게, 1833년 7월 24일(?)(*)
81 생트뵈브에게, 1833년 8월 25일(*)
82 모리스 뒤팽 부인에게, 1834년 1월 29일
83 피에트로 파젤로에게, 1834년 2월 말(*)
84 피에트로 파젤로에게, 1834년 2월 말 혹은 3월 초
85 프랑수아 뷜로즈에게, 1834년 3월 4일(?)(*)
86 이폴리트 샤티롱에게, 1834년 3월 6일
87 알프레드 타테에게, 1834년 3월 22일(*)
88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3월 27일(?)(*)
89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3월 30일
90 쥘 부쿠아랑에게, 1834년 4월 6일(*)
91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4월 15일
92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4월 29일
93 귀스타브 파페에게, 1834년 5월 8일(*)
94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5월 12일
95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5월 24일(*)
96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5월 30일(*)
97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6월 15일
98 에밀 폴트르에게, 1834년 6월 25일
99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6월 26일(*)
100 생트뵈브에게, 1834년 7월 24일
101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8월 19일
102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9월 7일경
103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4년 10월 말(*)
104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5년 1월 초(*)
105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5년 1월 말
106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5년 1월(?)(*)
107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1835년 2월 22일 혹은 23일(?)
108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날짜 미상
109 아돌프 게루에게, 1835년 4월 12일
110 하이네에게, 1835년(?) 9월
111 모리스와 솔랑주 뒤드방에게, 1835년 9월 10일
112 프란츠 리스트에게, 1835년 10월 18일(*)
113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5년 10월 22일경(*)
114 프랑수아 롤리나에게, 1836년 2월 4일(*)
115 외젠 펠르탕에게, 1836년 2월 28일(*)
116 에마뉘엘 아라고에게, 1836년 3월 12일(*)
117 하이네에게, 1836년(?) 4월
118 프란츠 리스트에게, 1836년 5월 15일
119 마리 다구에게, 1836년 7월 10일(*)
120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6년 10월 15일경
121 시피옹 뒤 루르에게, 1836년 12월 12일 혹은 13일
122 프랑수아 뷜로즈에게, 1836년 12월 18일
123 외젠 펠르탕에게, 1837년 1월 중순
124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1월 21일
125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2월 1일
126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3월 25일
127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4월 22일
128 마리 다구에게, 1837년 4월 26일(?)(*)
129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5월 27일
130 미셸 드 부르주에게, 1837년 5월 31일
131 엑토르 베를리오즈에게, 1837년 6월 중순
132 루이 조제프 뱅상에게, 1837년 10월 8일
133 프란츠 리스트와 마리 다구에게, 1837년 12월 26일(?)
134 프란츠 리스트에게, 1838년 12월 28일
135 프랑수아 뷜로즈에게, 1838년 2월 4일
136 오노레 드 발자크에게, 1838년 2월 21일(*)
137 프랑수아 뷜로즈에게, 1838년 5월 7일경
138 알베르트 그지말라에게, 1838년 5월 말(*)

조르주 상드 연보(1831년∼1837년)
참고 자료

저자소개

조르주 상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여성 작가. 아버지는 폴란드 왕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귀족적인 가문 출신이고, 어머니는 파리 세느 강변의 새장수의 딸로 가난한 서민 출신이다. 일찍 아버지를 여윈 상드는 프랑스 중부의 시골 마을 노앙에 있는 할머니의 정원에서 루소를 좋아하는 고독한 소녀 시절을 보냈다. 18세 때 뒤드방 남작과 결혼했으나 순탄치 못한 생활 속에 이혼하고, 두 아이와 함께 파리에서 문필 생활을 시작하여 <피가로>지에 짧은 글들을 기고하며 남장 차림의 여인으로 자유분방한 생활을 했다. 이때 여러 문인, 예술가들과 친교를 맺었는데, 특히 6살 연하인 시인 뮈세와 음악가 쇼팽과의 모성애적인 연애 사건은 그 당시 상당한 스캔들을 일으켰다. 또한 화가 들라크루아, 소설가 플로메르와의 우정은 너무나도 유명하다. 상드는 이처럼 72년의 생애동안 우정과 사랑을 나눈 사람들이 이천 명이 넘는 신비와 전설의 여인이었으며 ‘정열의 화신’이었고 프랑스 낭만주의 시대의 ‘사랑의 여신’이었다. 남녀평등과 여성에 대한 사회 인습에 항의하여 여성의 자유로운 정열의 권리를 주장한 데뷔작으로 ≪앵디아나≫(1832)를 발표하여 대성공을 거두었고 같은 계열의 작품으로 ≪발랑틴≫(1832), 90여 편의 소설 중에서 대표작인 자서전적 애정소설 ≪렐리아≫(1833)와 ≪자크≫(1834), ≪앙드레≫(1835), ≪한 여행자의 편지≫(1834∼36), ≪시몽≫(1836), ≪모프라≫(1837), ≪위스코크≫(1838)등 연이어 나온 소설들도 호평을 받았다. 다음으로 장 레이노, 미셸 드 부르주, 라므네, 피에르 르루 등과 교제하여 그 영향으로 인도주의적이며 사회주의적인 소설을 썼는데, 이 계열의 작품으로 ≪프랑스 여행의 동료≫(1841), ≪오라스≫(1841∼42), ≪앙지보의 방앗간 주인≫(1845), ≪앙투완 씨의 죄≫(1845), 대표작이며 대하소설인 ≪콩쉬엘로≫(1842∼43), ≪뤼돌스타드 백작 부인≫(1843∼44), ≪스피리디옹≫(1838∼39), ≪칠현금≫(1839), ≪테베리노≫(1845) 등이 있다. 상드는 다시 1844년 ≪잔느≫를 필두로 해서 일련의 전원 소설들을 발표했는데, 이 계열의 작품으로는 소박하고 아름다운 전원소설 ≪마의 늪≫(1846), ≪소녀 파데트≫(1848∼49), ≪사생아 프랑수아≫(1849), ≪피리부는 사람들≫(1853) 등이 있다. 노년에는 방대한 자서전인 ≪내 생애의 이야기≫(1847∼55), 손녀들을 위한 동화 ≪할머니이야기≫를 쓰면서 초기의 연애 모험소설로 돌아가 ≪부아도레의 미남자들≫(1857∼58)과 ≪발메르 후작≫(1860), ≪검은 도시≫(1861), ≪타마리스≫(1862), ≪캥티니양≫(1863), ≪마지막 사랑≫(1866), ≪나농≫(1872)등을 발표했으며 25편의 희곡과 시, 평론, 수필, 일기, 비망록, 기행문, 서문, 기사 등 180여 편에 달하는 많은 글을 남겼다. 특히, 그녀가 남긴 편지들은 파리의 클라식 가르니에 출판사에서 조르주 뤼뱅이 26권으로 편집 완성한 방대하고 기념비적인 서간집으로 세계 문학사에서 서간 문학의 최고봉으로 꼽히고 있다. 그 동안 교환 서간집으로는 ≪상드와 플로베르≫(1904), ≪상드와 뮈세≫(1904), ≪상드와 아그리콜 페르디기에≫, ≪상드와 피에르 르루≫, ≪상드와 생트 봐브≫, ≪상드와 마리 도르발≫, ≪상드와 폴린 비아르도≫등이 간행되었다.
펼치기
이재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남에서 태어났다. 한국외국어대학 불어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프랑스 그르노블 대학에서 조르주 상드 연구로 불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프랑스와 유럽의 상드 문학 현장을 여러 차례 답사했고, 노앙에서 개최된 상드와 쇼팽 애호가 모임이나 상드 국제회의에 여러 번 참가했다. 뉴욕 상드 협회 ≪상드 연구≫지 국제 편집인이었고, 프랑스 파리, 에시롤, 노앙 상드협회 회원이었다. 저서로는 자서전 연구서로 ≪조르주 상드, 문학 상상력과 정원≫, 편저 ≪상드 연구 1, 2, 3≫이 있고, 상드 번역서로는 자전적 애정 소설 ≪렐리아≫, ≪상드 편지≫(전 6권, ‘문체부 우수교양도서’ 2011년), 전원 소설 ≪마의 늪≫, ≪소녀 파데트≫, ≪사생아 프랑수아≫ 등과 동화 ≪용기의 날개≫, ≪픽토르뒤성≫, ≪장밋빛 구름≫, ≪개와 신성한 꽃≫, ≪말하는 떡갈나무≫가 있으며, 그 밖에 ≪쇼팽과 상드≫, ≪상드 전기≫, ≪상드 문학 앨범≫ 등이 있다. 2008년 ≪문학나무≫ 등단, 2015년 장편소설 ≪아름다운 무지개≫를 발간했다. 현재 한국외대 명예교수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대에게 하룻밤의 휴식과 평안을 주기 위해 내 모든 피를 바칠 수도 있었던 내가 어쩐 일로 당신에게 고통과 재앙과 괴물 같은 존재가 되었나요? 그 심술궂은 추억들이 날 에워싸면(그 추억들은 언제쯤에 날 평안하게 내버려 둘까요?) 난 거의 미칠 지경이에요. 눈물로 베개를 적시고, 밤의 적막 속에서 날 부르는 당신의 목소리가 들려와요. 이제 와서 날 부를 사람이 대체 누군가요? 날 잠 못 들게 하려는 사람은 대체 누군가요? 당신을 위해 축적했지만 이제는 나 자신을 거역하고 있는 힘을 어디에 사용할까요? 오 내 사랑, 내 사랑! 내 얼마나 그대의 따뜻한 사랑을 필요로 하고, 그대의 용서를 바라고 있는지 당신은 알고나 있는지! 내 용서를 구한다는 말은 하지 말아요. 당신이 내게 잘못을 저질렀다는 말도 절대 하지 말아요. 알면 뭐 하겠어요? 우리가 이렇게 불행해져 있다는 사실과 우리가 헤어졌다는 기억을 제외하고는 그 이상 아무것도 난 생각할 수가 없어요. 하지만 난 알고 있고, 또 느끼고 있어요. 우리는 거룩한 사랑의 힘으로 서로의 상처를 치유해 주려고 노력할 것이고, 우리 둘의 마음과 지성을 합쳐서 평생토록 서로 사랑하리라는 것을요. 아 아니야! 그건 우리 잘못이 아니었어요. 우리는 우리에게 정해진 운명을 따랐어요.
-91번, 알프레드 드 뮈세에게 보내는 편지 중


제 말씀을 들으시고 명쾌하고, 단호하고, 정확한 답변을 주세요. 쇼팽이 진심으로 그러는 건지, 아니면 의무감에서 그러는 건지, 아무튼 사랑하고 있는 그 여자(마리 오친스카)가 쇼팽을 행복하게 해 줄 수 있는 사람일까요, 아니면 쇼팽에게 고통과 슬픔만 안겨 줄 사람일까요? 쇼팽이 마리를 사랑하고 있는지, 그 여자의 사랑을 받고 있는지, 저보다 더, 혹은 덜 사랑하는지 따위를 묻고 있는 것이 아니에요. 제 내부에서 일고 있는 변화, 또 쇼팽의 가슴속에서도 분명 일고 있을 변화에 의거해서 저도 대충은 알고 있습니다. 쇼팽이 그 여자와 저, 둘 중에서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하는지, 쇼팽의 휴식, 행복, 결국은 인생 전체를 위해 어느 쪽을 포기해야 하는지를 알고 싶은 겁니다. 쇼팽의 삶은 너무나 위태롭고 불안정해서, 커다란 고통을 견디지 못할 것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악역은 맡고 싶지 않아요. 저는 메예르베르의 베르트람이 아니에요. 그 여자가 아름답고 순수한 알리스라면, 어린 시절의 친구와는 절대 맞서지 않을 겁니다. 쇼팽에게 이미 마음을 주고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았더라면, 저는 다른 제단을 위해 준비된 향료를 들이마시기 위해 몸을 굽히지는 않았을 겁니다. 마찬가지로, 쇼팽 역시 제가 이미 결혼한 몸이라는 사실을 알았더라면, 저의 첫 키스를 피했을 테지요. 우리는 서로를 속인 것이 없어요. 스쳐 가는 바람에 휩쓸려 잠시 다른 세계로 실려 온 겁니다. 그러나 그 천상의 열정이 지나가고 창공을 가로지른 여정이 끝났을 때, 우리는 여기 지상으로 다시 내려와야 했습니다. (...) 저는 쇼팽 곁을 결코 떠나지 않을 겁니다. 쇼팽은 1년 가까이 저와 지내면서 단 한 번도, 단 한순간도, 자신의 잘못으로 저를 고통스럽게 한 적이 없는 유일한 사람이니까요. 또한 쇼팽은 과거에 대해 미련을 갖거나, 미래를 대해 몸을 사리는 법이 없이 자신의 전부를 제게 바친 유일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게다가 워낙 심성이 선량하고 지혜로워서, 시간이 가면 갈수록 그 사람에게 모든 것을 납득시키고 이해시킬 자신이 없습니다. 쇼팽은 유순한 밀랍 인형이고, 그 위엔 이미 제 각인이 찍혀 있습니다.
-138번(478쪽), 쇼팽에게 다른 여자가 생긴 건지, 쇼팽의 친구에게 묻는 편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22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