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디지털 뉴스 소비자

[큰글씨책] 디지털 뉴스 소비자

(시민기자부터 슬로 미디어까지)

김경희, 문연주, 상윤모, 신우열, 오연주, 진민정, 홍주현 (지은이), 김경희 (엮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3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7,000원 -0% 0원
1,110원
35,890원 >
37,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3,700원
33,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디지털 뉴스 소비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디지털 뉴스 소비자 (시민기자부터 슬로 미디어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0935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0-07-10

책 소개

ICT 사회 연구 총서 9권. 디지털 시대의 뉴스와 소비자는 어떤 모습인가. 이를 점검하는 일은 저널리즘의 건강한 미래를 준비하는 첫 단계다. 이를 위해 각기 다른 형태의 디지털 뉴스 생태계를 가진 7개 국가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를 통해 지금 우리의 위치와 방향성을 모색한다.

목차

서문

01 시민 저널리즘을 일군 한국의 뉴스 생비자와 포털 정책에 요동치는 뉴스 생태계
요동치는 한국 사회, 그 중심에 있는 인터넷
인터넷 독립 언론과 시민 저널리즘의 성장
포털 중심 뉴스 생태계의 정착
포털 유입량과 바꾼 저널리즘 원칙 
시사 유튜버의 부상과 가짜뉴스의 유통
한국 인터넷 뉴스 생태계에 영향을 준 이정표적인 사건들
뉴스인 듯 뉴스 아닌 뉴스 속에서 헤매는 한국인들이 실천할 일  

02 검열 속에 성장한 중국의 모바일 뉴스 소비:
ICT 발달과 인터넷 뉴스 이용자의 이용 행태 변화
스마트 시티와 정보 통제가 공존하는 사회
중국의 두 얼굴: 강력한 정보 통제와 인터넷ㆍ모바일 강국
중국의 인터넷ㆍ모바일 이용자 특성
정보 검열과 통제의 부메랑: 정보로부터 고립된 중국
하드웨어에 강한 중국, 소프트웨어에 강한 한국

03 싱가포르 정부의 인터넷 미디어 규제와 대안 언론으로서 인터넷 뉴스의 가능성
순응과 저항 사이
규제의 관점으로 보는 싱가포르 인터넷 언론
싱가포르를 이해하는 키워드 세 가지
싱가포르의 전통 미디어 산업 구조
싱가포르 인터넷 뉴스의 지형
싱가포르 인터넷 뉴스의 가능성과 한계
싱가포르와 한국의 사회적 · 정치적 역동성과 인터넷 대안 뉴스의 성장

04 일본 사회의 변화하는 뉴스 지형과 뉴스 이용의 세대 격차
미디어로서의 존재감 부각시킨 ≪야후재팬≫의 재난 보도
변화하는 뉴스 지형: 전통 미디어의 강세 혹은 쇠락
데이터로 보는 일본인의 뉴스 이용과 뉴스 인식의 변화
인터넷 기반 뉴스 서비스의 확산과 명암
변혁을 지향하는 행동주의 한국, 안정을 지향하는 안전주의 일본

05 균형을 잃은 뉴스 시장에서 미국인이 이용하게 된 인터넷 뉴스의 특징
덴버 토박이 수잔에게 생긴 일  
미국 미디어 산업 구조의 형성  
미국 뉴스 시장의 실패  
비영리 매체의 약진과 그 그늘  
플랫폼 기업의 미디어 시장 재구성  
미국보다 더 답이 없는 한국 언론

06 프랑스의 뉴스 소비 지형 변화와 언론의 고군분투
‘무료 정보는 함정’이라는 아이들
프랑스 언론의 현황 및 특징
인터넷 이후, 언론과 뉴스 소비 지형의 변화  
모바일 시대, 새로운 뉴스 소비 지형과 언론의 대응
독자에 집중하는 프랑스, 독자는 뒷전인 한국

07 심화되는 미디어 소유 집중, 뉴스에 관심이 적은 호주인들
호주 다문화 사회, 풀어야 할 숙제들 산적
호주 뉴스 미디어 지형: 심화되는 미디어 소유 집중
호주의 인터넷 보급률과 ICT 이용 현황
인터넷 뉴스의 성장
이용자 특성별 인터넷 뉴스 이용 행태  
인터넷 뉴스의 공유와 최근 이용 행태  
뉴스에 관심이 적은 호주인들, 뉴스를 불신하는 한국인들

저자소개

김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교수다. 한국언론학회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일보≫에서 대통령 선거 조사·국민 의식 조사 등 여론조사 보도를 담당했으며, 뉴스속보부에서 인터넷 뉴스를 기획·편집했다. 저서로는 『젠더와 미디어 경험: 뉴스, 게임, 커뮤니티, 리터러시』(기획, 2023), 『디지털 뉴스 소비자: 시민기자부터 슬로 미디어까지』(편저, 2020), 『소셜 콘텐츠의 흥망성쇠: 싸이월드에서 배틀그라운드까지』(편저, 2018), 『뉴스 안과 밖의 여성』(2017) 등이 있으며, “한국 언론의 저널리즘 가치 연구”(2023), “The Differential Consequences of Fear, Anger, and Depression in Response to COVID-19 in South Korea”(2022)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진민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이다. 한국외대 불어과를 졸업했으며, 파리10대학에서 정보커뮤니케이션학 석사학위를, 파리2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 연구 분야는 참여 저널리즘, 언론 산업, 소셜 미디어 시대의 집합행동 등이고, 현재 청소년 미디어 이용 방식에 적합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 중이다. 저서로는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뉴스 전략>(공저, 2019), <솔루션 저널리즘의 현황과 가능성>(2019), <저널리즘의 품질: 평가기준과 모델>(공저, 2014), 논문으로는 “Repertoires d’action collective a l’ere de la masse individualisee: le cas des manifestations aux bougies et du mouvement OWS”(2019) 등이 있다.
펼치기
문연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기획조정실 심리상담팀장이다. 일본 조치(上智)대학교에서 언론학을 전공하고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논문인 “일본 서적출판편집자의 전문적직업화과정에 관한 연구”는 직업사회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 출판 저널리즘 연구이자 편집자론이다. 대학에서 저널리즘과 매스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강의를 했으며, 아주대학교 세계학연구소의 연구원 등을 거쳐 현재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근무하고 있다.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정책과 법제, 미디어 윤리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저서로는 『일본 편집자의 탄생』(2010)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출판천재 간키 하루오』(2011) 등이 있다.
펼치기
홍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조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석사학위와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후 베이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1년간 연구학자를 했다. 서울특별시청 여론조사 전문직, 분산공유형건설연구인프라 구축사업단에서 연구원 등을 거쳤다. 인터넷 여론, 소셜 미디어에서의 루머 확산, 소셜 네트워크 분석이 주요 연구 분야다. 저서로 <소셜콘텐츠의 흥망성쇠: 싸이월드에서 배틀그라운드까지>(공저, 2018), <한국사회와 뉴미디어 확산>(공저, 2018)이 있다. “트위터에 나타난 미투(#Me Too)운동과 젠더 갈등이슈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의미분석을 중심으로”(2019), “루머의 사실성·파급력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형성된 공중의 관계: 사드배치 관련 루머의 확산 네트워크 분석”(2017), “사드 루머(THADD rumor) 보도에 나타난 한국 언론의 정파성-네트워크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2017)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신우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이 시대의 저널리즘을 공부한다. 저널리즘 현장에 잠시 몸담았던 경험이 그 원천이다.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뉴스타파’ 전임연구원으로서 탐사보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한국방송기자대상(2018), 미디어공공성포럼언론상(2018) 등을 받았다. 저서로는 Digital Korea: Digital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Social Life(공저, 2018), <한국의 언론과 언론 운동 성찰: 1987년 민주화 이후 30년>(공저, 2018) 등이 있으며 Journalism,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sian Studies Review, ≪한국언론학보≫ 등의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상윤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Univ. of Texas at Austin)에서 미디어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하워드대학교(Howard University) 교수, 호주 캔버라대학교(University of Canberra) 교수를 거쳐 현재 성신여자대학교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Media Law in South Korea』(공저, Kluwer Law International, 2021),『 디지털 뉴스 소비자』(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20)가 있다. 디지털 미디어 이용자 및 미디어법 관련 다수의 SSCI급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현재 Digital Journalism, Social Media + Society, Communication Law and Policy, 미디어와 인격권 등 국내외 주요 저널의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오연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책본부 책임연구원이다. 볼링그린 주립대학교(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에서 프리·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커뮤니티의 젠더 역학과 노동에 관한 논문으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기술사회학과 비판연구 관점에서 디지털 사회 혁신, 디지털 주권과 리터러시, 디지털 거버넌스를 연구한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체평가위원회 및 행정안전부의 열린정부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림대학교에서 정보기술과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와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에서 리서치 펠로로 근무했다. 주요 저서로 Cyberfeminism 2.0(2012, 편저·공저),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dia Studies(2013, 공저), 『디지털 뉴스 소비자: 시민기자부터 슬로 미디어까지』(2020, 공저)가 있다.
펼치기
김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교수다. 한국언론학회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일보≫에서 대통령 선거 조사·국민 의식 조사 등 여론조사 보도를 담당했으며, 뉴스속보부에서 인터넷 뉴스를 기획·편집했다. 저서로는 『젠더와 미디어 경험: 뉴스, 게임, 커뮤니티, 리터러시』(기획, 2023), 『디지털 뉴스 소비자: 시민기자부터 슬로 미디어까지』(편저, 2020), 『소셜 콘텐츠의 흥망성쇠: 싸이월드에서 배틀그라운드까지』(편저, 2018), 『뉴스 안과 밖의 여성』(2017) 등이 있으며, “한국 언론의 저널리즘 가치 연구”(2023), “The Differential Consequences of Fear, Anger, and Depression in Response to COVID-19 in South Korea”(2022)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런 역사적 교훈을 통해 볼 때, 1인 뉴스 생방송의 활성화와 가짜뉴스가 유통되는 이 시점에도 이용자, 언론인, 유통 플랫폼 행위자, 정책 입안 및 집행자들이 어떤 선택을 하고 실천하느냐에 따라 인터넷 뉴스 생태계는 달라질 것이다. 뉴스를 소비하는 이용자들이 좋은 뉴스를 판별해서 소비하는 뉴스 리터러시를 키워 나가는 일이 이 모든 것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이제는 우리 모두의 실천이 필요한 때다.
_ “01 시민 저널리즘을 일군 한국의 뉴스 생비자와 포털 정책에 요동치는 뉴스 생태계 중에서


그렇다면 중국의 모바일 이용자 수는 얼마나 될까?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와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매년 증가해 2017년 말에는 각각 7.7억 명과 7.5억 명에 달했다. 2011년까지만 해도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가 전체 인터넷 이용자보다 1억5000만 명이나 적었으나 2018년에는 2000만 명까지 차이가 좁혀질 전망이다. 2017년 6월 현재 스마트폰에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중국인은 6억2000만 명에 달한다.
_ “02 검열 속에 성장한 중국의 모바일 뉴스 소비: ICT 발달과 인터넷 뉴스 이용자의 이용 행태 변화 ” 중에서


싱가포르 정부의 사회 통제와 언론 규제는 흔히 계산된 강압(calibrated coercion)이라 불린다. 시대적 흐름에 따른 변화를 인식하면서 강압의 방식을 기민하게 조정하고 국민들의 저항을 막는 수준에서 불만을 잠재워 왔기 때문이다. ‘언론출판법’ 이전의 언론인에 대한 물리적 탄압에서, 언론인의 도덕성과 전문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으로 언론 규제를 강화해 온 것도 이런 계산된 강압의 한 예다.
_ “03 싱가포르 정부의 인터넷 미디어 규제와 대안 언론으로서 인터넷 뉴스의 가능성”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