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0928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0-07-10
책 소개
목차
서문
01 시민 저널리즘을 일군 한국의 뉴스 생비자와 포털 정책에 요동치는 뉴스 생태계
요동치는 한국 사회, 그 중심에 있는 인터넷
인터넷 독립 언론과 시민 저널리즘의 성장
포털 중심 뉴스 생태계의 정착
포털 유입량과 바꾼 저널리즘 원칙
시사 유튜버의 부상과 가짜뉴스의 유통
한국 인터넷 뉴스 생태계에 영향을 준 이정표적인 사건들
뉴스인 듯 뉴스 아닌 뉴스 속에서 헤매는 한국인들이 실천할 일
02 검열 속에 성장한 중국의 모바일 뉴스 소비:
ICT 발달과 인터넷 뉴스 이용자의 이용 행태 변화
스마트 시티와 정보 통제가 공존하는 사회
중국의 두 얼굴: 강력한 정보 통제와 인터넷ㆍ모바일 강국
중국의 인터넷ㆍ모바일 이용자 특성
정보 검열과 통제의 부메랑: 정보로부터 고립된 중국
하드웨어에 강한 중국, 소프트웨어에 강한 한국
03 싱가포르 정부의 인터넷 미디어 규제와 대안 언론으로서 인터넷 뉴스의 가능성
순응과 저항 사이
규제의 관점으로 보는 싱가포르 인터넷 언론
싱가포르를 이해하는 키워드 세 가지
싱가포르의 전통 미디어 산업 구조
싱가포르 인터넷 뉴스의 지형
싱가포르 인터넷 뉴스의 가능성과 한계
싱가포르와 한국의 사회적 · 정치적 역동성과 인터넷 대안 뉴스의 성장
04 일본 사회의 변화하는 뉴스 지형과 뉴스 이용의 세대 격차
미디어로서의 존재감 부각시킨 ≪야후재팬≫의 재난 보도
변화하는 뉴스 지형: 전통 미디어의 강세 혹은 쇠락
데이터로 보는 일본인의 뉴스 이용과 뉴스 인식의 변화
인터넷 기반 뉴스 서비스의 확산과 명암
변혁을 지향하는 행동주의 한국, 안정을 지향하는 안전주의 일본
05 균형을 잃은 뉴스 시장에서 미국인이 이용하게 된 인터넷 뉴스의 특징
덴버 토박이 수잔에게 생긴 일
미국 미디어 산업 구조의 형성
미국 뉴스 시장의 실패
비영리 매체의 약진과 그 그늘
플랫폼 기업의 미디어 시장 재구성
미국보다 더 답이 없는 한국 언론
06 프랑스의 뉴스 소비 지형 변화와 언론의 고군분투
‘무료 정보는 함정’이라는 아이들
프랑스 언론의 현황 및 특징
인터넷 이후, 언론과 뉴스 소비 지형의 변화
모바일 시대, 새로운 뉴스 소비 지형과 언론의 대응
독자에 집중하는 프랑스, 독자는 뒷전인 한국
07 심화되는 미디어 소유 집중, 뉴스에 관심이 적은 호주인들
호주 다문화 사회, 풀어야 할 숙제들 산적
호주 뉴스 미디어 지형: 심화되는 미디어 소유 집중
호주의 인터넷 보급률과 ICT 이용 현황
인터넷 뉴스의 성장
이용자 특성별 인터넷 뉴스 이용 행태
인터넷 뉴스의 공유와 최근 이용 행태
뉴스에 관심이 적은 호주인들, 뉴스를 불신하는 한국인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런 역사적 교훈을 통해 볼 때, 1인 뉴스 생방송의 활성화와 가짜뉴스가 유통되는 이 시점에도 이용자, 언론인, 유통 플랫폼 행위자, 정책 입안 및 집행자들이 어떤 선택을 하고 실천하느냐에 따라 인터넷 뉴스 생태계는 달라질 것이다. 뉴스를 소비하는 이용자들이 좋은 뉴스를 판별해서 소비하는 뉴스 리터러시를 키워 나가는 일이 이 모든 것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이제는 우리 모두의 실천이 필요한 때다.
_ “01 시민 저널리즘을 일군 한국의 뉴스 생비자와 포털 정책에 요동치는 뉴스 생태계 중에서
그렇다면 중국의 모바일 이용자 수는 얼마나 될까?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와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는 매년 증가해 2017년 말에는 각각 7.7억 명과 7.5억 명에 달했다. 2011년까지만 해도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가 전체 인터넷 이용자보다 1억5000만 명이나 적었으나 2018년에는 2000만 명까지 차이가 좁혀질 전망이다. 2017년 6월 현재 스마트폰에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중국인은 6억2000만 명에 달한다.
_ “02 검열 속에 성장한 중국의 모바일 뉴스 소비: ICT 발달과 인터넷 뉴스 이용자의 이용 행태 변화 ” 중에서
싱가포르 정부의 사회 통제와 언론 규제는 흔히 계산된 강압(calibrated coercion)이라 불린다. 시대적 흐름에 따른 변화를 인식하면서 강압의 방식을 기민하게 조정하고 국민들의 저항을 막는 수준에서 불만을 잠재워 왔기 때문이다. ‘언론출판법’ 이전의 언론인에 대한 물리적 탄압에서, 언론인의 도덕성과 전문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으로 언론 규제를 강화해 온 것도 이런 계산된 강압의 한 예다.
_ “03 싱가포르 정부의 인터넷 미디어 규제와 대안 언론으로서 인터넷 뉴스의 가능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