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정치뉴스 리터러시](/img_thumb2/9791128856525.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56525
· 쪽수 : 346쪽
· 출판일 : 2024-06-24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정치뉴스 아는 시민 되기
1장 뉴스의 생산
뉴스 생산 과정
게이트키핑
뉴스가치
보도 관행과 뉴스 프레임
전통 미디어 뉴스 조직의 특성과 문화
2장 정치뉴스
정치뉴스의 정의
언론의 기능과 정치뉴스의 필요성
취재보도 규범과 정치뉴스
정치뉴스의 효과
시민이 읽는 정치뉴스
3장 민주주의 사회를 위한 정치뉴스 리터러시
진화하는 개념, 리터러시
정치뉴스 리터러시 1: 접근과 인지 역량
정치뉴스 리터러시 2: 비판적 분석, 평가 및 이해 역량
정치뉴스 리터러시 3: 생산과 참여 역량
정치뉴스 리터러시 4: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따른 리터러시
목적이자 수단으로서 정치뉴스 리터러시
2부 뉴스 플랫폼 아는 시민 되기
4장 포털
포털의 등장
요동치는 뉴스 생태계, 그 중심에 있는 포털 뉴스
여론 형성의 중심이 된 포털
포털, 뉴스 편집에서 기사 배열로
정치뉴스의 공정성 논란과 알고리즘 배열
포털에서 정치뉴스 제대로 읽고 공유하기
5장 소셜미디어
소셜미디어의 등장과 유형
소셜미디어의 특징
소셜미디어에서 뉴스 생산과 유통
소셜미디어에서 뉴스 소비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을 위한 리터러시
6장 숏폼 미디어
숏폼 미디어의 대두
숏폼 미디어와 정치뉴스
숏폼 미디어의 사용자 참여 유도
숏폼 미디어의 알고리즘 기반 뉴스 유통
숏폼 미디어의 뉴스 수용
숏폼 미디어의 도전 과제
숏폼 미디어의 개선 방향
3부 정치뉴스 깊이 들여다보기
7장 정치권 뉴스 리터러시
정치권 뉴스의 정의
정치가 난해한 이유
오보의 메커니즘: 보도의 시간 대 취재의 시간
효과적인 정치권 뉴스 리터러시 읽기
8장 선거 정보 리터러시
선거 보도의 중요성과 평가
디지털 환경에서의 선거 관련 콘텐츠 전파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요구되는 선거 정보 리터러시
정보의 자기 검열 과정과 해석 보도의 가치
9장 여론조사 정보 리터러시
여론조사 보도의 범위
여론조사 보도 리터러시의 중요성
조사 방법 관련 기초 지식 쌓기
정보의 비판적 수용
평가 기준 인식 전환: 잘못된 믿음 버리기
해석적 보도의 가치에 눈뜨기
10장 공공정책 뉴스 리터러시
공공정책 개념과 수립 과정
공공정책 수립의 필요성과 중요성
공공정책 뉴스 보도의 문제점
공공정책 뉴스 이용을 위한 리터러시
11장 국제뉴스 리터러시
국제뉴스의 영역과 유형
국제뉴스와 해외 통신사
특파원 현황과 역할
국제뉴스에 담긴 뉴스가치
국제뉴스 리터러시 측면에서 경계할 것
효과적인 국제뉴스 리터러시
4부 참여하는 시민 되기
12장 대화하는 시민
시민적 역량으로서 정치뉴스 리터러시
정치뉴스 리터러시와 숙의민주주의
숙의적 의사 결정을 위한 규칙과 자원
일상적 정치대화의 가치
숙의 기반 시민 참여 사례
13장 활용하는 시민
미디어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
지능형 미디어의 시대
지능형 미디어의 도전 과제
생성형 AI 리터러시
14장 참여하는 시민
정치 참여와 시민적 참여 행동
시민적 참여를 장려하는 미디어 환경
디지털 공간에서 정치 참여와 참여 행동의 위계
시민적 참여 행동을 위해 밟아야 할 단계
새로운 미디어 생태계를 상상하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여전히 ‘정치 영역’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사안이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다. 언론사의 뉴스 사이트에서 정치라는 범주를 클릭해 보면 대통령실, 국회·정당, 행정, 북한, 국방, 외교, 정치일반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언론사가 분류하는 정치뉴스는 국가 운영과 관련된 사건이나 사안을 의미하는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정치뉴스가 되는 정치 영역은 국가 운영과 관련된 활동으로 한정되는 것인가?
‘수평적 읽기’란 어떤 웹사이트나 소셜미디어 게시물에서 정보를 취득했다면, 일단 해당 페이지가 아닌 다른 브라우저 창을 열어서 정보를 취득한 사이트나 제작자가 누구인지, 뉴스나 정보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나 개념·사건·이슈에 대해 다른 사이트나 사람들은 무엇이라 말하는지 등을 점검하는 적극적 태도가 필요함을 강조한 기법이다.
포털에서 좋은 언론사를 구독하는 일부터 시작하자. 시민들이 알아야 할 좋은 뉴스를 편집해서 일목요연하게 전달하는 언론사를 선택해서 등록해 놓자. 언론사를 하나만 선택하지 말고 최소 네다섯 개를 선택해서 언론사별 뉴스를 비교하며 읽어 보자. 또 좋은 뉴스를 생산하는 좋은 기자들을 팔로우하자. 기자들이 좀 더 좋은 뉴스를 생산하려는 의지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