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학교에서 섹슈얼리티를 말하라](/img_thumb2/9791128892523.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92523
· 쪽수 : 134쪽
· 출판일 : 2023-08-21
책 소개
목차
1장 들어가며
2장 학교 성교육의 역사와 쟁점
학교 성교육 제도화의 역사
학교 성교육을 둘러싼 쟁점들
3장 학교 성교육의 현실
주변화하는 성교육
성평등하지 않은 학교 문화
4장 학교 성교육의 방향과 내용
우리 문화가 바라보는 성
성에 대한 관계적 인식: 몸, 마음, 관계
관계적 성 인식에 근거한 성교육의 필요성
초·중등학교 성교육 방향으로서 포괄적 성교육: 정의, 목적, 원리
포괄적 학교 성교육 사례
5장 안전하고 평등한 학교 성교육의 조건: 학교 구성원 이야기
성적 권리에서 성 정치학까지
안전하고 평등한 성교육을 위하여
6장 나가며
참고 문헌
책속에서
현재 학교교육은 특정 영역의 문제가 부각될 때마다 개별적으로 추가되어 온 예방교육들이 과다해져 오히려 교육을 형식화하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중략) 통제보다는 안전하고 평등한 학교가 어떤 공간이고 어떤 공동체인지에 구성원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실질적인 상을 가지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폭력이 무엇인지를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하고 평등한 성을 향유하는 것이 왜 어렵고 힘든지, 그 과정에서 마주하는 문제들이 무엇인지를 함께 탐색하여 해결방안과 전략을 스스로 발굴하게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성적 권리는 안전을 보장받을 권리와 성과 관련한 사회 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정치적 권리도 포함힌다. 즉, 성적 권리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현재 삶 구석구석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학교 문화 전반이나 학생들이 학교에서 보내는 삶에서도 보장되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성교육, 특히 성평등교육은 학교를 보다 성평등하게 혁신하려는 움직임과 결합된다. 성교육 자체가 하나의 운동으로 여겨지기도 하고 성교육의 목표 자체가 성평등한 학교 문화 조성이라고 이야기되기도 한다.
성교육의 형식화와 결핍은 학생의 교육권을 보장하지 못하기도 하지만 성적 권리의 보장 역시 어렵게 한다. 모든 사람은 전 생애에 걸쳐 성적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 그럼에도 학생은 성적 주체로 인정받지 못하고 전반적인 성적 권리를 통제당해 왔다. 학교는 성적 실천을 할 권리뿐만 아니라 재생산권 역시 거의 고려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