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90093
· 쪽수 : 161쪽
· 출판일 : 2024-12-31
책 소개
목차
1장 기후 위기 시대, 생존을 위한 대전환
기정사실이 된 기후 재난
대전환, 석유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
생태 문명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
2장 분절된 존재와 교육: 근대 교육 패러다임
분절된 세계, 단절된 관계
부정되는 학습자의 경험, 배제되는 특수성
구분, 타자화와 동일자 포섭의 메커니즘
연대 없는 평등주의와 능력주의적 각자도생
신자유주의와 결합한 능력주의
개인의 능력에만 집중하는 역량 중심 교육
3장 지속적 성장과 환경 관리: 근대적 환경 교육의 한계
환경 위생, 깨끗하고 편리한 자연 만들기
환경 관리, 오랫동안 잘 이용하기
녹생 성장,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한 환경 교육
인류세, 기후 위기 시대의 환경 교육
4장 얽혀 있는 존재와 교육: 생태 문명을 향한 교육 원리
인간 주체성에서 행위성으로
분절된 주체에서 연결된 존재로
지배와 착취에서 정동 기반의 책임과 연대로
홀로서기에서 함께 돌보는 의존성으로
성취 역량에서 응답과 생성 역량으로
체계적, 객관적 교육에서 아상블라주적 실천으로
뫼비우스의 띠, 존재?인식?윤리
5장 인디고 서원 이야기: 생태 문명을 위한 교육 실천
일상에서 관계 속 인간을 발견하기
생태적 삶의 기술과 태도를 기르기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새로운 이야기를 찾기
6장 서로 함께 세계 만들기: 새로 그리는 교육 지형도
참고문헌
부록: 인디고 서원에서 청소년과 함께 읽은 도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경제 성장 중심의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현재의 기후 위기를 막을 방법은 없다. 이 체제의 핵심은 대량 생산이며 그것을 떠받드는 것은 소비 욕망이다. 생산력 지상주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노동 착취뿐만 아니라 자연 착취가 동원되었다. 따라서 기후 위기에 대응하려면 전 지구적으로 뿌리 깊이 내재되어 인간 사회를 지배해 온 세계관의 전면적 전환이 필요하다. 즉, 새로운 가치관과 철학을 토대로 우리 삶의 근간을 새롭게 해야 한다.
성장은 언제나 선인가?
하우저(Neil Houser)는 교육학 및 각 교과 영역의 큰 발전에도 지금까지의 교육은 본질적으로 확실히 인간 중심적이라고 평가한다(Houser, 2009:205). 또한 그는 교육이 인간과 세계를 분리하는 경향이 있고 환경 이슈를 다룰 때도 인간에게 독점적 역할을 부여해 왔다고 설명한다. 즉, 인간이 아닌 모든 것을 주변화하고 축소하는 강박적인 관념은 초기부터 교육에 구조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인간을 다른 모든 것보다 우월한 위치에 두는 위계적 사고방식으로 교육 전반을 설계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