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

(전정판)

한용섭 (지은이)
박영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0원
32,0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9,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 (전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91130302478
· 쪽수 : 609쪽
· 출판일 : 2015-12-10

책 소개

2005년에 출간된 수정판에다가 그동안 악화된 남북한관계와 중국의 부상 이후 한층 복잡해진 국제적 상황을 감안하고 변화된 국제비확산 및 군비통제 환경 속에서 한반도에서 평화와 군비통제를 이루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목차

제1부 한반도의 평화

제1장 평화와 군사안보 3
Ⅰ.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의 관계? 3
Ⅱ. 집단안보와 안보 개념의 광역화 4
Ⅲ. 억지이론과 평화 11
Ⅳ. 군사안보 개념의 심층화와 평화 14
Ⅴ. 결 론 24

제2장 한반도 평화체제: 내용과 추진전략 26
Ⅰ. 평화체제의 필요성 26
Ⅱ. 한반도 평화체제에 관한 남북한의 입장 28
Ⅲ. 미국의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입장 37
Ⅳ. 평화체제의 의의와 내용 39
Ⅴ. 결론: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을 위한 전략 53

제3장 국방과 군비통제 56
Ⅰ. 군비통제에의 새로운 접근 56
Ⅱ. 군비통제 논의의 이론적 배경 59
Ⅲ. 군비통제의 국가 안보전략적 위상 68
Ⅳ. 군비통제의 발달과 개념정의 78
V. 군비통제의 분류 81
Ⅵ. 군비통제와 다른 이슈들과의 상호관계 85
Ⅶ. 군비통제의 현대적 활용 90

제4장 군비경쟁의 이론과 한반도의 실제 92
Ⅰ. 군비경쟁의 정의 92
Ⅱ. 군비경쟁의 원인 93
Ⅲ. 군비경쟁과 전쟁 가능성 100
Ⅳ. 세계적 차원의 군비경쟁 102
Ⅴ. 한반도에서 군비경쟁 110
Ⅵ. 결 론 119

제2부 유럽의 헬싱키 프로세스와 군축

제1장 헬싱키 프로세스와 유럽의 군사적 신뢰구축 123
Ⅰ. 군사적 신뢰구축(Military Confidence Building)의 정의 123
Ⅱ. 군사적 신뢰구축의 접근방법 126
Ⅲ. 군사적 신뢰구축조치(Military CBM) 134
Ⅳ. 결 론 136

제2장 유럽의 재래식 군축 139
Ⅰ. 유럽의 재래식 군축협상 139
Ⅱ. 유럽에서 군축의 방법 146
Ⅲ. 유럽의 제한조치와 군축에 대한 비교 분석 149
Ⅳ. 결 론 154

제3장 OSCE의 경험과 동북아의 평화 156
Ⅰ. 서 론 156
Ⅱ. OSCE의 전개과정 158
Ⅲ. 다자안보협력과 관련한 유럽과 동북아의 비교: 차이점, 유사점, 시사점 164
Ⅳ. 동북아의 평화: 역내 다자안보협력체제의 필요성 171

제4장 검증(Verification) 177
Ⅰ. 검증의 필요성 177
Ⅱ. 검증의 개념과 기능 179
Ⅲ. 검증의 과정 182
Ⅳ. 검증의 역사적 사례 184
Ⅴ. 각종 검증제도의 교훈 201
Ⅵ. 한반도에서 검증 논의 203
Ⅶ. 북한에 대한 검증제도의 전망 207

제3부 한반도의 재래식 군비통제

제1장 한반도 군사적 신뢰구축 213
Ⅰ. 군사적 신뢰구축의 필요성 213
Ⅱ. 한반도 군사적 신뢰구축: 내용과 실현 방안 215
Ⅲ. 결 론 221

제2장 한반도 재래식 군축 협상대안과 평가 223
Ⅰ. 군축의 필요성 223
Ⅱ. 한국의 안보문제와 군비통제 정책목표 225
Ⅲ. 남북한 군비통제 협상대안 및 평가 228
Ⅳ. 결론 및 정책 제안 247

제3장 한반도 군비통제의 과거와 현재 250
Ⅰ. 현재까지의 논의 250
Ⅱ. 남북한의 군비통제 목표와 협상전략 253
Ⅲ. 2000년대 남·북한·미국의 군비통제에 대한 입장 259
Ⅳ. 앞으로의 한반도 군비통제 262

제4장 남북한 긴장완화와 신뢰구축 방안 265
Ⅰ. 서 론 265
Ⅱ. 과거 남북한 간 신뢰구축과 군비통제 회담 266
Ⅲ. 신뢰구축과 군비통제의 원칙과 목적 276
Ⅳ. 결 론 281

제4부 국제 대량살상무기 통제체제와 한반도

제1장 NPT와 IAEA 287
Ⅰ. 핵확산금지체제: 어디까지 왔나 287
Ⅱ. NPT체제 288
Ⅲ. NPT 평가회의 302
Ⅳ. 국제원자력기구(IAEA) 308
Ⅴ. NPT체제의 보완장치들 314
Ⅵ. NPT, IAEA와 한국외교 319
Ⅶ. 결 론 321

제2장 글로벌 핵안보레짐의 탄생과 전개과정 323
Ⅰ. 머리말 323
Ⅱ. 제1차 워싱턴 핵안보정상회의의 성과와 한계 325
Ⅲ.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의 성과와 핵안보거버넌스에서의 한국의 역할 328
Ⅳ. 2014 헤이그 핵안보정상회의의 성과 338
Ⅴ. 글로벌 핵안보거버넌스의 쟁점과 과제 341
Ⅵ. 향후 한국의 역할 344

제3장 동북아의 핵무기와 핵군축 346
Ⅰ. 동북아 각국의 핵능력과 핵정책 346
Ⅱ. 동북아시아의 핵군비통제 367
Ⅲ. 한국의 동북아지역 핵통제 정책 370

제4장 21세기 UN과 국제군축활동 376
Ⅰ. 국제군축의 메카 UN 376
Ⅱ. 군축관련 UN기구들과 활동내역 377
Ⅲ. 21세기 UN의 군축활동 387
Ⅳ. 결 론 395

제5부 북한 핵문제의 전개과정과 해법

제1장 1990년대 북한 핵문제의 기원과 전개과정 399
Ⅰ. 핵이란 무엇인가 399
Ⅱ. 북한의 핵개발 어디까지 왔는가 402
Ⅲ. 핵사찰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410
Ⅳ. 한국의 대응책 416

제2장 제네바 핵합의와 한국의 국가이익 420
Ⅰ. 북핵문제와 한국의 국가전략 420
Ⅱ. 국가이익과 국가전략 421
Ⅲ. 북한 핵문제 전개과정에서 한국의 국가이익 428
Ⅳ. 제네바 핵합의와 관련국의 국가이익 436
Ⅴ. 한국의 국가이익 추구 태도의 특징 444
Ⅵ. 결 론 448

제3장 남북한, 미.북한 핵협상에서 북한의 협상전략과 전술 450
Ⅰ. 진성협상 대 의사협상 논쟁 450
Ⅱ. 북한의 핵협상 452
Ⅲ. 상이한 상황변수의 협상결과에 대한 영향 460
Ⅳ. 북한의 협상전략과 전술 466
Ⅴ. 결론: 북한의 핵 확산금지와 군비통제에 대한 함의 474

제4장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북핵문제 해결 방식 477
Ⅰ. 서 론 477
Ⅱ. 북핵 문제에 대한 군비통제적 접근 479
Ⅲ. 안보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3단계 신뢰프로세스 구축방안 487
Ⅳ. 대북한 협상 전략 492
V. 결 론 496

부 록

1. 핵무기확산금지조약 501
2. 남북간 군사 관련 합의서 506
3. 북한 비핵화 관련 주요 합의문 540
4. 북한 핵개발 관련 일지 576

참고문헌 581
찾아보기 603

저자소개

한용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정치학과 학사·석사 미국 하버드대 정책대학원 석사 미국 랜드대학원 안보정책학 박사 제21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해군장교(OCS 70기) 국방부 한미연례안보협의회 담당 국방부 핵정책담당관 및 남북핵통제공동위 남측 전략수행요원 국방장관 정책보좌관 국방대 교수 국방대 부총장,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장 통일부, 외교부, 국방부, 보훈처, 합참, 육군, 해군, 공군 정책자문위원 한국핵정책학회 회장, 한국평화학회 회장 한중 싱크넷 부회장, 한·미·중 전략대화 부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노르웨이 국제문제연구소와 미국 몬테레이 비확산연구소 객원연구원 미국 랜드연구소와 유엔군축연구소 연구위원 미국 포틀랜드대학교 및 샌디에고 대학 교환교수 중국 상하이 푸단대 및 중국 외교학원, 일본 게이오대학 교환교수 현재 한국국가전략학회 회장, 국제안보교류협회 회장, 국방대 명예교수 수상 황조근정훈장(2020), 홍조근정훈장(2012), 국무총리상(1992)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2023, 핵비확산의 국제정치와 한국의 핵정책, 박영사), 한국연구재단 우수학자(2015-2020),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2013, 국방정책론, 박영사), 세종문화상(외교안보통일분야, 2008), 문화관광부 우수도서 선정(2004, 자주냐 동맹이냐), 국제정치학회 저술상(2004) 주요저서 『핵비확산의 국제정치와 한국의 핵정책』(2022), 『우리 국방의 논리』(2019), 『북한 핵의 운명』(2018),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전정판)』(2015), 『국방정책론』(2012),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2004), 『동북아시아의 핵무기와 핵군축』(2001) 등 공저 및 편저 『현대의 전쟁과 전략』(2020, 공저), 『신외교안보방정식』(2020, 공저), 『미일중러의 군사전략』(2018, 공저), 『한국의 외교 안보와 통일 70년』(2015, 공저), 『미중경쟁시대의 동북아평화론』(2010, 편저), 『동아시아 안보공동체』(2005, 공저), 『자주냐 동맹이냐』(2004, 편저) 등 영문 논저 South Korea’s 70 Year Endeavor for Foreign Policy, National Defense, and Unification(2018), Peace and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2005), Sunshine in Korea(2002), Nuclear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in Northeast Asia(1995), Conventional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1991)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