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사와 계급의식

역사와 계급의식

죄르지 루카치 (지은이), 조만영, 박정호 (옮긴이)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100원 -5% 0원
1,900원
3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0,400원 -10% 1520원 25,840원 >

책 이미지

역사와 계급의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사와 계급의식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마르크스주의
· ISBN : 9791130416748
· 쪽수 : 812쪽
· 출판일 : 2015-05-29

책 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죄르지 루카치가 1919년부터 1922년까지 헝가리 공산당에서 활동하면서 혁명 운동의 이론적 문제들에 관해 틈틈이 쓴 논문들을 모은 책이다.

목차

1967년 서문 ···················xi
1922년 서문 ··················lxxv


제1장 정통 마르크스주의란 무엇인가 ········1
1. 이론과 실천: 변증법적 방법의 의미 ······4
2. 사실과 총체성: 자연과학과 변증법 ······12
3. 변증법적 방법과 속류 마르크스주의의 방법 ··23
4. 현실의 문제: 헤겔과 마르크스 ········36
5. 의식과 존재: 사적 유물론과 프롤레타리아트 ··43

제2장 마르크스주의자로서 로자 룩셈부르크 ····55
1. 마르크스주의에서의 총체성 ·········56
2. 마르크스주의의 속류화 ···········61
3. ≪자본의 축적≫의 문제사적 서술 ······69
4. 룩셈부르크의 당과 혁명 ···········80

제3장 계급의식 ·················95
1. 계급의식이란 무엇인가 ···········98
2. 전자본주의 사회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계급의식 ····················115
3. 부르주아지와 소부르주아지의 계급의식 ···124
4. 속류 마르크스주의자의 계급의식 ······144
5. 프롤레타리아트의 계급의식: 경제투쟁과 정치투쟁 ··················150

제4장 사물화와 프롤레타리아트의 의식 ······175
제1절 사물화 현상 ················178
1. 상품 구조와 사물화 ············178
2. 사물화와 합리화 ··············196
3. 사물화와 과학 ···············217
제2절 부르주아 사유의 이율배반 ·········232
1. 인식 원리의 이율배반 ···········233
2. 실천 원리의 이율배반 ···········257
3. 예술 원리의 이율배반 ···········284
4. 모순의 변증법적 극복: 역사적 생성의 입장 ··299
제3절 프롤레타리아트의 입장 ···········317
1. 직접성과 매개의 변증법 ··········318
2. 질과 양 ··················337
3. 고정성과 과정성 ··············364
4. 경험적 사실과 발전적 경향 ·········381
5. 상대주의와 역사변증법 ···········389
6. 이론의 실천으로의 전화 ··········414

제5장 역사적 유물론의 기능 변화 ········439

제6장 합법성과 비합법성 ············501
1. 혁명 과정에서 이데올로기 문제 ·······504
2. 법률과 전술 ················513
3. 프롤레타리아 독재기의 합법성 문제 ·····522

제7장 로자 룩셈부르크의 ≪러시아혁명 비판≫에 대한 비판적 고찰 ··················533
1.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성격: 농업 문제와 관련하여 ······················539
2.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성격: 민족 문제와 관련하여 ······················546
3. 역사 발전의 유기적 성격과 폭력적 성격 ···551
4. 프롤레타리아 혁명에서 국가의 역할 ·····560
5. 당 조직의 문제: 기회주의와의 투쟁 문제 ···567
6. 조직 문제의 전술적·정치적 결과 ······577
7. 프롤레타리아 독재기의 자유 문제 ······584

제8장 조직 문제의 방법론 ············593
1. 조직 문제의 의의 ·············595
2. 자연발생성과 의식성: 필연성과 자유 ·····611
3. 당과 당원의 관계: 규율의 의의 ·······637
4. 당과 계급의 관계 ·············649
5. 전술과 조직 ···············667

해설 ······················685
지은이에 대해 ··················719
옮긴이에 대해 ··················723

저자소개

게오르크 루카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85년 4월 13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유대계 은행가 집안에서 태어난 루카치는, 한 사람에게서 나온 것이라 믿기 어려울 정도로 다채로운 언어와 폭넓은 사유를 이 세상에 남겼다. 약관을 갓 넘은 나이에 집필하기 시작한 글들로 구성된 『영혼과 형식』으로 현대 실존주의의 원형을 제시한 그는, 몇 년 뒤 발표한 『소설의 이론』을 통해서는 형식과 역사의 내적 연관성을 중시하는 소설론 계보의 초석을 놓았다. 그가 혁명적 공산주의자로 삶의 양식과 세계관을 통째로 바꾼 뒤 본격적으로 매진한 마르크스주의 연구와 정치적 실천 경험이 바탕에 놓인 『역사와 계급의식』은, 그에게 “서구 마르크스주의의 창시자”라는 위명을 부여했다. 1920년대 말 헝가리 공산당 내 분파투쟁에서 패한 뒤 정치일선에서 물러난 그는, 이론적.비평적 작업을 통해 공산주의 운동에 복무하는 이데올로그로서의 삶을 살아나갔다. 1930~40년대에 그는 “위대한 리얼리즘”에 대한 요구로 수렴되는 문학담론과 『청년 헤겔』, 『이성의 파괴』 등의 집필을 통해 명시적으로는 파시즘 및 그것으로 귀결되는 서구의 비합리주의 전통에 맞서면서, 은밀하게는 진정한 마르크스주의적 요소를 스탈린주의적 왜곡으로부터 지키고자 했다. 1950년대 중반부터 루카치는 스탈린주의와의 근본적 단절과 마르크스주의의 르네상스를 기치로 내걸고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이론적 작업에 들어갔다. 이에 따른 성과는 미학에서 『미적인 것의 고유성』과 『미학의 범주로서의 특수성』으로, 철학에서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을 위하여』와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을 위한 프롤레고메나』로 묶였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의 연장선상에서, 정치적 제안인 『사회주의와 민주화』와 문학비평인 『솔제니친』이 태어났다. 그의 “삶으로서의 사유”, “사유로서의 삶”은 1971년 6월 4일, 그의 죽음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펼치기
조만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독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독일 비애극의 원천≫(발터 벤야민 저, 새물결, 2008), ≪맑스·엥겔스 문학예술론≫(만프레트 클림 편, 돌베개, 1990), 엮은 책으로 ≪맑스주의 문학예술 논쟁: 지킹엔 논쟁≫(마르크스 외 저, 돌베개, 1989) 등이 있다.
펼치기
박정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희대, 서울대, 국민대, 서울시립대, 건국대, 한양대 등에서 강의했고, 뉴욕주립대(스토니브룩 대학) 객원교수를 지냈다. 현재는 인제대학교 인문학부 교수로 일하고 있다. 사회 정의와 인간 실존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그 밖의 여러 가지 문제를 공부하고 있다. 엮은 책으로는 ≪현대 철학의 흐름≫(공편저, 동녘, 1997), ≪지식의 세계≫ 1∼2권(동녘, 1998)이 있고, ≪철학대사전≫(한국철학사상연구회 편, 동녘, 1997) 편찬에도 관여했다. 옮긴 책으로는 ≪사회과학의 역사≫(J. D. 버날 저, 한울, 1984),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상·하(레닌 저, 돌베개, 1992)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정통 마르크스주의는 마르크스의 연구 결과를 무비판적으로 인정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이런저런 주장에 대한 ‘믿음’이나 어떤 ‘신성한’ 책의 해석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마르크스주의의 문제에서 정통성이란 오로지 방법에만 관련된다. 정통성은 변증법적 마르크스주의 속에서 올바른 연구 방법이 발견되었으며 이 방법은 오직 그 창시자들[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정신(Sinn)에 따라서만 확장되고 확대되고 심화될 수 있다는 과학적 확신이다. 또한 그것은 그 방법을 극복하거나 ‘개선’하려는 모든 시도는 결국 천박화, 진부함, 절충주의로 귀착(歸着)되어 왔고 또 그럴 수밖에 없었다는 과학적 확신이다.
-4쪽

생산 과정에서의 특정한 유형적 상황(Lage)에 귀속되는[돌려지는, zugerechnet], 합리적으로 적합한 반응이 바로 계급의식이다. 따라서 계급의식은 계급을 형성하는 개인들이 생각한다든가 느낀다든가 하는 바를 총합한 것도 평균한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체성으로서 계급의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행위는 궁극적으로 이 [계급]의식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지 개인의 사고 등에 의해 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것은 오직 이 [계급]의식에 의거해서만 인식될 수 있다.
-107~108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16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