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관심의 시장

[큰글씨책] 관심의 시장

(디지털 시대 수용자의 관심은 어떻게 형성되나)

제임스 웹스터 (지은이), 백영민 (옮긴이)
커뮤니케이션북스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0,000원 -0% 0원
1,200원
38,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관심의 시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관심의 시장  (디지털 시대 수용자의 관심은 어떻게 형성되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45595
· 쪽수 : 410쪽
· 출판일 : 2016-10-31

책 소개

대중의 관심을 형성하는 원동력이 무엇이며, 이에 따라 어떤 미래가 펼쳐질 것인지를 다룬다. 수용자의 관심이 거래되는 시장을 살펴봄으로써 언급한 상반된 주장과 전망들을 이해하며, 사람들의 미디어 이용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

목차

한국어판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저자 서문

01 관심의 시장
디지털 미디어
관심
시장
수용자
균형 잡힌 평가

02 미디어 이용자
미디어 이용자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미디어 선택
미디어 이용자의 딜레마
사회적 네트워크의 역할
입소문 타기
일상생활의 구조
미디어 선호의 복잡성

03 미디어
관심경제
미디어 제작
수용자 형성
관심을 확보하기 위한 치열한 노력

04 미디어 측정치
미디어 측정치의 등장
미디어 측정치의 창출
측정치에 내재한 편향
‘빅데이터’를 통해 세상 보기

05 수용자 형성
수용자 파편화
선호기반 충성도
구조 기반 수용자 충성도
지역 뉴스와 정보
대규모 중첩 문화

06 관심시장의 형성
구조화
미디어 구조의 차원
미디어 구조 도해
구조와 행위자 사이의 상호작용
이용자 선호의 구조화
캐스팅보트를 쥔 이용자

07 대중관심과 사상의 시장
사상의 시장
희망의 이야기와 절망의 이야기
이론적 가정은 과연 옳은가?
다가올 미래의 모습
미주
참고 문헌

저자소개

제임스 웹스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노스웨스턴 대학 커뮤니케이션학과 정교수이다. 인디애나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노스웨스턴 대학 커뮤니케이션학부장을 역임했다.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와 Journal of Communication의 편집이사를 맡기도 했으며 닐슨, 터너, 토요타 등의 컨설팅을 하기도 했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미디어 이용이다. 연구 초기에는 주로 텔레비전 수용자 행태와 프로그램 선택에 집중했다. 수용자 측정과 미디어 산업, 뉴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도 연구해왔는데, 근래에는 디지털 플랫폼을 넘나드는 미디어 소비에 주목하고 있다.
펼치기
백영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현 언론홍보영상학부)에서 학사학위를,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아넨버그 스쿨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조교수를 지내고 현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Journal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Research, New Media & Society,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Health Communication, PLOS ONE, American Politics Research, Political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Nonprofit Management & Leadership,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등 언론학을 포함 다양한 학문분과 학술지에 현재까지 105편의 학술논문(2024년 10월 기준)을 출간하였다. 저술한 책으로 《R 기반 네트워크 분석: ERGM과 SIENA》, 《R 기반 데이터 과학: 타이디버스 접근》, 《R 기반 성향점수분석: 루빈 인과모형 기반 인과추론》, 《R을 이용한 결측데이터 분석: 최대우도 및 다중투입기법을 중심으로》, 《R 기반 복합설문 데이터 분석》, 《R를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R 기반 제한적 종속변수대상 회귀모형》, 《R를 이용한 사회과학데이터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론적 사유: 입말로 풀어쓴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등이 있다. 번역한 책으로는 《국민의 선택: 대통령 선거캠페인 기간에 유권자는 지지후보를 어떻게 결정하는가?》, 《포퓰리즘》, 《퍼스널 인플루언스》, 《소셜미디어와 공익: 가짜뉴스 시대의 미디어 정책》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미디어 콘텐츠와 서비스의 압도적 총량이 어떤 미디어 콘텐츠에 관심을 쏟을까를 결정하는 인간의 자율적 능력을 압도해 버릴 것이라는 생각은 그다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의존도가 점차 증가하는 세상에서, 관심이 희소해진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대중적 관심이 경제·정치·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필수적이지만, 대중적 관심을 얻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관심의 희소성으로 인해 관심의 분배가 매우 중요해지면서, ‘관심경제(attention economy)’라는 새로운 말이 등장하고 있다.
-"관심의 시장"에서

두 번째 접근방법을 택하는 사람들은 왜 어떤 미디어나 미디어 콘텐츠는 인기를 끄는데 다른 미디어나 미디어 콘텐츠는 관심을 얻지 못하는지 혹은 문화적 소비 패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등과 같이, 첫 번째 접근방법을 따른 연구들과는 상이한 연구문제를 제기한다. 이 접근방법에서는 때때로 제도가 수용자를 관리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도 하고, 사회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평가를 목적으로 하기도 한다.
-"관심의 시장"에서

집합적 수준에서의 미디어 이용자는 고유한 역동성을 갖는 거대하고 복잡한 시스템을 뜻한다. 집합적 수준에서 미디어 이용자 구성원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은 개개인의 선유경향을 연구하는 방식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방식을 통해 상호작용한다. 오늘날의 수용자 개념은 군집과 네트워크 구성원 두 가지 모습이 섞여 있는 것이 보통이다. 둘 중 무엇이든, 집합적 수준에서의 미디어 이용자는 고유한 역동성을 갖는 거대하고 복잡한 시스템을 뜻한다.
-"미디어 이용자"에서

미디어 조직들은 콘텐츠 생산방식이나 웹사이트를 수정하기 위해, 인기가 없는 프로그램을 폐지하고 인기 있는 콘텐츠를 모방하기 위해 수용자의 행동을 추적하며, 종종 실시간으로 추적하기도 한다. 관심의 시장에서 수용자의 행동이야말로 미디어 이용자의 힘을 가장 결정적으로 보여 주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미디어 이용자"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