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관심의 시장](/img_thumb2/9791130445595.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45595
· 쪽수 : 410쪽
· 출판일 : 2016-10-31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저자 서문
01 관심의 시장
디지털 미디어
관심
시장
수용자
균형 잡힌 평가
02 미디어 이용자
미디어 이용자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미디어 선택
미디어 이용자의 딜레마
사회적 네트워크의 역할
입소문 타기
일상생활의 구조
미디어 선호의 복잡성
03 미디어
관심경제
미디어 제작
수용자 형성
관심을 확보하기 위한 치열한 노력
04 미디어 측정치
미디어 측정치의 등장
미디어 측정치의 창출
측정치에 내재한 편향
‘빅데이터’를 통해 세상 보기
05 수용자 형성
수용자 파편화
선호기반 충성도
구조 기반 수용자 충성도
지역 뉴스와 정보
대규모 중첩 문화
06 관심시장의 형성
구조화
미디어 구조의 차원
미디어 구조 도해
구조와 행위자 사이의 상호작용
이용자 선호의 구조화
캐스팅보트를 쥔 이용자
07 대중관심과 사상의 시장
사상의 시장
희망의 이야기와 절망의 이야기
이론적 가정은 과연 옳은가?
다가올 미래의 모습
미주
참고 문헌
책속에서
미디어 콘텐츠와 서비스의 압도적 총량이 어떤 미디어 콘텐츠에 관심을 쏟을까를 결정하는 인간의 자율적 능력을 압도해 버릴 것이라는 생각은 그다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의존도가 점차 증가하는 세상에서, 관심이 희소해진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대중적 관심이 경제·정치·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필수적이지만, 대중적 관심을 얻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관심의 희소성으로 인해 관심의 분배가 매우 중요해지면서, ‘관심경제(attention economy)’라는 새로운 말이 등장하고 있다.
-"관심의 시장"에서
두 번째 접근방법을 택하는 사람들은 왜 어떤 미디어나 미디어 콘텐츠는 인기를 끄는데 다른 미디어나 미디어 콘텐츠는 관심을 얻지 못하는지 혹은 문화적 소비 패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등과 같이, 첫 번째 접근방법을 따른 연구들과는 상이한 연구문제를 제기한다. 이 접근방법에서는 때때로 제도가 수용자를 관리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도 하고, 사회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평가를 목적으로 하기도 한다.
-"관심의 시장"에서
집합적 수준에서의 미디어 이용자는 고유한 역동성을 갖는 거대하고 복잡한 시스템을 뜻한다. 집합적 수준에서 미디어 이용자 구성원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은 개개인의 선유경향을 연구하는 방식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방식을 통해 상호작용한다. 오늘날의 수용자 개념은 군집과 네트워크 구성원 두 가지 모습이 섞여 있는 것이 보통이다. 둘 중 무엇이든, 집합적 수준에서의 미디어 이용자는 고유한 역동성을 갖는 거대하고 복잡한 시스템을 뜻한다.
-"미디어 이용자"에서
미디어 조직들은 콘텐츠 생산방식이나 웹사이트를 수정하기 위해, 인기가 없는 프로그램을 폐지하고 인기 있는 콘텐츠를 모방하기 위해 수용자의 행동을 추적하며, 종종 실시간으로 추적하기도 한다. 관심의 시장에서 수용자의 행동이야말로 미디어 이용자의 힘을 가장 결정적으로 보여 주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미디어 이용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