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30679839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2-01-2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있는 모습 그대로 행복할 순 없을까?
프롤로그 | 열심히 살아도 당신이 계속 불안한 이유
1장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말라
: 자아 중독 끊어내기
내 안에 있는 진정한 나 | 자아 찾기를 거부하라 | 정말로 가치 있는 삶을 사는 법
❖건강한 나를 만드는 아우렐리우스의 지혜
2장 삶은 흠투성이라는 걸 받아들여라
: 인생의 부정적인 면 인정하기
긍정 심리학 vs 투덜거릴 권리 | 강요된 긍정 | 실패는 당신 탓이 아니다 | 더욱 적극적으로 투덜댈 자유 | 가끔 투덜거리면서, 그냥 하루하루를 살아내라
❖사랑스러운 투덜이가 되는 세네카의 지혜
3장 때로는 과감히 ‘아니요’라고 말하라
: 세상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기술
매사에 ‘예’라고 대답하는 건 노예뿐이다 | 오버부킹 권하는 사회 | 불안의 해독제 | 의심을 하면서도 굳건히 서는 법
❖마음의 평화를 얻는 에픽테토스의 지혜
4장 감정의 노예가 되지 말라
: 우리가 진정 의지해야 할 것들
부끄러움을 아는 건 왜 중요한가? | 당신이 우울증에 빠져드는 이유 | 차라리 그냥 ‘가면’을 써라 | 당신의 감정을 아껴라 | 스토아 철학자처럼 평화를 찾는 법
❖화를 다스리는 카토의 지혜
5장 멘토를 좇는 대신 우정을 쌓아라
: 건강한 삶을 위해 해야 할 일
당신의 인생을 코칭해 드립니다 | 주정뱅이의 딜레마 | 결코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단단한 우정을 쌓는 키케로의 지혜
6장 소설을 읽어라
: 좋은 삶을 살기 위해 꼭 필요한 도구
자기계발서는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 삶을 이해하는 가장 진실한 방법 | 나를 만드는 테크놀로지 | 그래서, 무슨 책을 읽으라고?
❖인생을 이해하는 소포클레스의 지혜
7장 당신이 뿌리내릴 곳을 찾아라
: 매일 반복해도 좋은 일상을 만드는 법
미래를 제대로 창조하는 법 | 나는 나 자신을 무슨 근거로 믿는가? | 인간은 약속하는 존재다
❖지나간 시간을 산책하는 세네카의 지혜
에필로그 | 조금 삐딱한 시선으로, 함께 행복을 찾는 법
부록 | 불행을 이기는 스토아 철학
본문의 주
리뷰
책속에서
왜 속도가 그 자체로 삶의 목적이 되었을까? 우리는 모두 이 지상에 머무는 짧은 시간에 할 수 있는 한 많은 것을 채워 넣으려 애쓴다. 물론 대부분 실패할 수밖에 없는 헛된 노력이다. 많은 이가 유례없는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인터넷과 SNS 등을 통해 타인과 상시 연결된 상태로 살아가지만, 행복은커녕 우울증과 번아웃이 유행병처럼 번지고 있다. 이건 오히려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빨라지는 현대의 가속화 문화 때문에 생겼는지도 모른다. 그 문화에서 속도를 늦추는 사람, 천천히 가거나, 혹은 가던 길을 아예 멈춰버린 사람은 설 자리가 없어 보인다. 도태되거나 어리석은 사람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사회 속에서 그의 자리가 배제되어, 결국 우울증 진단을 받을지도 모른다.
_프롤로그
현대인을 괴롭히는 불안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정신적 백신이 필요하다. 나의 처방전은 철학이다. 특히 가속화 문화에서 불안 없이 생존하는 법, 단단히 서 있는 법을 배우기 위해선 스토아 철학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 이 고대 철학이 강조하는 자기통제, 마음의 평화를 얻는 법, 존엄과 의무, 삶의 유한한 본성에 대한 성찰 같은 가르침은 우리에게 평안과 지혜를 준다. 스토아 철학의 덕목들은 끝없는 변화와 발전을 얄팍하게 강조하기보다는 우리가 일상적 삶에서 더 깊은 충만감을 느끼도록 한다.
_프롤로그
인생에서 마주하는 문제의 답을 개개인의 ‘내면’에서 찾아야 한다는 강박은 우리를 불안하게 만드는 대표적인 원인이다. 불안에 휘둘리지 않는 삶을 살려면, 우선 우리 안에 답이 없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자기 탐색이나 자아 찾기가 유용한 점도 있지만, 거기에만 몰두할 필요는 전혀 없다. (…) 우리는 안이 아니라 밖을 쳐다보는 법을 배워야 한다. 다른 사람들과 사회, 문화, 자연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 인생을 잘 사는 법에 대한 답은 내 안에 있지 않다. ‘진정한 자아’ 같은 건 실체가 아니라, 하나의 관념일 뿐이다. ‘진정한 나’를 찾고 싶으면, 내면이 아니라 밖을 주시하고 귀 기울여야 한다. 내가 바라보는 것, 행동하는 일, 내 주변 사람들을 돌아봐야 한다. 본질적으로 우리는 안이 아니라 밖에 있다.
_1장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