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충남문화 찾아가기

충남문화 찾아가기

조동일, 허균, 이은숙 (지은이)
푸른사상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5,000원 -10% 1250원 21,250원 >

책 이미지

충남문화 찾아가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충남문화 찾아가기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에세이
· ISBN : 9791130816067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0-03-25

책 소개

푸른사상 한국문화총서 15권. 충청남도 지역의 찬란한 문화유산과 역사 유적, 진기한 전승, 맛집까지 망라한 <충남문화 찾아가기>. <전북문화 찾아가기>에 이어 국문학자, 미술연구자, 한국문화 교육자로 구성된 저자들이 답사한 충청남도의 다채로운 면면을 한 권의 책으로 만나볼 수 있다.

목차

계룡 / 공주 / 금산 / 논산 / 당진 / 대전 / 보령 / 부여 / 서산 / 서천 / 세종 / 아산 / 예산 / 천안 / 청양 / 태안 / 홍성

저자소개

조동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9년 경북 영양 출신 1958년부터 서울대학 불문․국문과 학사, 국문과 석․박사 1968년부터 계명대학․영남대학․한국학대학원․서울대학 교수 2004년부터 서울대학 명예교수, 2007년부터 대한민국학술원회원 《한국문학통사》, 《문학사는 어디로》, 《대등의 길》 등 저서 다수
펼치기
허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학미술사학을 전공해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편수연구원, 우리문화연구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국립문화재연구소 외 부용역과제 평가자문위원,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심사위원, KBS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민예미술연구소장과 한국민화학회 고문이다.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사찰 100美 100選』 『한국의 서원, 넓고 깊은 사색의 세계』 및 공저로 『전북문화 찾아가기』 『충남문화 찾아가기』 『전남문화 찾아가기』 등을 비롯해 다수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이은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국문학을 전공해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중국인민대학에서 공부하였다. 북경어언대학, 북경외국어대학, 순천향대학교 초빙교수를 거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화 교육에 종사하고 있다. 『신작구소설 연구』 『계서야담』(공역) 『한류와 한국어 교육』 및 공저로 『한국문화, 한눈에 보인다』 『전북문화 찾아가기』 『충남문화 찾아가기』 『전남문화 찾아가기』 등을 비롯해 다수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책머리에 중에서

충남은 경기도 남쪽에 바로 이어져 있다. 아주 가까운 곳이며, 교통이 편리하다. 서울에서 천안이나 신창까지 전철이 다닌다. 경부선 고속열차는 수도권을 벗어난 첫 역 천안아산까지 35분, 다음 역 대전까지 1시간에 이른다. 장항선으로 3시간 남짓 달리면 충남 맨 남쪽 장항에 이른다. 고속도로가 이리저리 연결되고, 일반 국도도 잘 닦여 있다.
아주 편리한 교통편을 이용해 충남 일대를 휙 돌아보면 상쾌할 수는 있으나 얻는 것이 적다. 기억에 남는 것이 얼마 되지 않고, 남들에게 들려줄 말이 없다. 여행이란 길을 간다는 것인데, 길을 가는 수고가 경감되어 여행의 의의가 상실될 수 있다. 풍요가 빈곤이고, 행운이 불운임을 절감한다. 이 시대에 사는 것을 옛사람들에게 자랑할 것인가 되도록 많이 걸어야 상실을 회복할 수 있다. 차를 타고 가는 동안에도 전에는 걸어서 다니고, 기껏해야 말을 타면서 어떤 고생을 했는지 생각해 보아야 여행을 진지하게 하는 흉내라도 낼 수 있다. 여행은 만남이다. 산천과 만나고, 유적을 다시 보면서 과거와 만나고, 어떤 방식으로든 고금의 대화를 해야 여행을 제대로 한다. 문화유산과 만나는 깊은 체험을 해야 여행을 하는 보람이 있다.
옛사람은 어떻게 길을 갔는가? 이에 대해 알아야 고금의 만남이 시작되고, 문화유산 체험에 들어선다. 옛사람과 만나려면 남긴 글을 찾아 읽어야 한다. 윤기(尹?)라는 분이 남긴 「호서기행(湖西紀行)」을 읽어보기로 하자. 서울에서 출발해 충남 해미로 친척을 만나러 가는 여행기를 적은 장시이다.
작자 윤기(1741~1826)는 오랫동안 어렵게 지내다가 1792년(정조 16)에야 가까스로 과거에 급제해 관직에 진출했다. 예사 사람들보다 조금 나은 위치에 있었다. 시를 읽어보면, 정조가 1793년부터 몇 년 동안 수원성을 쌓아 도시를 다시 만들고 1800년 세상을 떠난 사이에, 해미까지 가는 여행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200여 년이 지난 지금 그 여행을 다시 한다고 생각하면서 시를 읽어보자.
번역만 읽으면 실감이 부족하므로 원문 일부를 제시한다. 거부감을 가지지 말고 살펴보자. 다 읽고 모두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난삽하다고 생각되는 것에 험한 길을 간 수고가 나타나 있다고 여기면 좋은 구경거리이다. 한문을 외면하고 전통문화와 만날 수는 없으니, 조금이라도 친해지기 바란다.


금산을 읊은 한시

금산 동헌에서(錦山東軒韻) 이숙감(李淑瑊)
길은 양의 창자처럼 돌아가는데, 路轉羊腸去
산은 말 머리를 좇아 나오네. 山從馬首來
물음과 의논 공연히 자부했구나, 咨諏空自負
품은 생각 누구에게 털어놓으리. 懹抱向誰開
가을은 늦어 단풍잎 나부끼고, 秋晩飄紅葉
못이 거칠어 자태만 길게 자랐다. 池荒長紫苔
이 고을의 서재는 진실로 절경이라, 郡齋眞絶境
눈에 보이는 모두가 시의 소재로구나. 觸眼摠詩材

● 미리 말한 것은 공연한 수작이고, 찾아가서 발견한 산중의 절경이 놀랍다고 했다. 사람 사는 모습은 달라졌어도 산세는 그대로 있다. 찾아가면 이 시인의 감회를 느낄 수 있다


기지시 줄다리기
송악면 기지시리에서 당굿을 지내고 하는 줄다리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서당에 가는 학동을 유혹하는 처녀에게 할미꽃을 던졌더니 처녀가 지네로 변해 죽었는데, 그 재앙을 막기 위해 윤년마다 줄다리기를 해왔다고 한다. 이른 봄에 우선 마을 동남방에 있는 국사봉에서 당제를 올린다. 다음 순서로 신암사 주지의 산신경(山神經) 독축이 있고, 서낭당에서 서낭굿, 못에서는 못굿, 공동우물에서 샘굿, 마을 동서남북에서 장승굿, 그리고 당주집에서 당주굿을 차례로 했다.
다음 날에는 줄다리기를 한다. 미리 만들어놓은 줄을 둘러싸고 농악을 울리며 밤을 새운다. 줄다리기는 도로를 중심으로 물 위와 물 아래의 두 편으로 나누어 거행한다. 줄다리기를 할 때는 암줄과 수줄을 비녀장으로 연결시켜놓고 양편에서 수천 명이 서로 당길 자세를 갖춘 다음 신호 총성이 나면 일제히 함성을 지르며 줄을 당긴다. 일정시간 줄다리기를 계속한 뒤 승부를 가린다.
● 전국 도처에 있던 줄다리기 가운데 이렇게 잘 보존된 것이 드물어 많은 참가자가 모여든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817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