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실크로드 다시보기 (신라의 비단, 로마로 가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동양사일반
· ISBN : 9791139215809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3-12-31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동양사일반
· ISBN : 9791139215809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3-12-31
책 소개
최근 홍산 문화의 옥기뿐만 아니라 순동 귀고리를 비롯하여 스키타이 기원으로 밝혀진 투바의 아르잔 유적이 발굴되었다. 또 내몽고 주개구 문화에서 BC 21~16세기 청동기 유물과 비파형 청동검이 대거 등장함에 따라 실크로드를 처음부터 다시 살펴봐야 하는 입장이 되었다.
목차
머리글
제1장 동서 문화 교류와 실크로드
제2장 실크로드의 노선과 물품
제3장 선사 시대 동서 문화의 교류
제4장 옥의 길
제5장 금속 문화의 전파
제6장 최초 종이 고조선 잠견지의 전파
제7장 『한서』 서역전의 실크로드 실태
제8장 실크로드의 주인공
제9장 한국 불교 문화의 일본 전파
제10장 동이 문화 및 하이테크놀로지의 서전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고대 실크로드는 우리 한민족 및 월지족의 역사이다.
하가점하층문화에서 발굴되는 빛살무늬토기는 어떠한 종류인가?
북방 초원로와 오아시스로의 관계는 어떠했을까?
수수께끼 월지족은 어디가 기원이고 현재 어디라고 볼 수 있는가?
실크로드는 ‘실꾸리의 길’이다. 그런데 ‘꾸리’란 쿠리, 구리, 고리, 즉 (발을) 감아올려서 빛이 (안으로) 들어오도록 한다納는 순우리말이며, 조이 동이족인 구리 및 구려를 뜻하는 단어이다.
그래서 고대로부터 우리는 온누리 빛나는 세상의 평화를 추구하는 민족이었다. 현재 고대 역사가 그 기준점을 못 찾고 헤매고 있을 때 고대 선조들의 높은 문화 수준에 의한 지배력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고대 한류의 증거들을 수집하였다. 실꾸리 실크로드 문명 교류사의 본 모습을 제대로 들여다봄으로써 동아시아의 진정한 문화 전달자가 누구였는지 발견하기 바란다.
- 머리글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