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빅 픽스

빅 픽스

(기후 위기에 대처하는 경제학적 생존 전략 7가지)

저스틴 길리스, 핼 하비 (지은이), 이한음 (옮긴이)
알레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5개 1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000원 -10% 800원 13,600원 >

책 이미지

빅 픽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빅 픽스 (기후 위기에 대처하는 경제학적 생존 전략 7가지)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에너지/환경/우주
· ISBN : 9791141127510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4-01-25

책 소개

7가지 주제를 기초 경제 이론을 토대로 개인과 시민은 물론 정부와 국가, 더 나아가 전 세계가 기후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에 객관적이고 구체적이며 체계적으로 대응하도록 실질적인 실천 방안과 행동 강령을 제시한다. 변화를 불러일으킬 힘을 지닌, 기후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 열쇠가 되어줄 실현 가능하고 실행 가능한 계획들이 우리 앞에 펼쳐진다.

목차

이 책에 쏟아진 찬사
들어가는 말 : 우리에게는 아직 시간이 남아 있다

제1장 기후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기본 경제 법칙: 학습 곡선
라이트의 법칙 | 달빛 주지사 | 큰 물음

제2장 기후 위기에 대처하는 경제학적 생존 전략 1: 청정에너지를 통한 청정 전력으로의 전환
현대의 기적 | 전기는 어디에서 얻을까 | 가스 열풍 | 변화의 바람 | 레버 당기기

제3장 기후 위기에 대처하는 경제학적 생존 전략 2: 건축 규정을 통한 청정 공간으로의 전환
장기적 관점에서의 건축 | 새로운 법규 | 가전제품 | 집수리 | 레버 당기기

제4장 기후 위기에 대처하는 경제학적 생존 전략 3: 배럴 너머 청정 연료로의 전환
배기관 밖으로 | 돈을 둘러싼 싸움 | 전기화한 미래 | 레버 당기기

제5장 기후 위기에 대처하는 경제학적 생존 전략 4: 지속 가능한 청정 도시로의 전환
무엇이 잘못되었을까 | 빠른 버스 | 도시 재생 | 도시 건설 방식 | 레버 당기기

제6장 기후 위기에 대처하는 경제학적 생존 전략 5: 식량 체계 균형을 통한 청정 지대의 확보
열대 구하기 | 세계의 식량 | 레버 당기기

제7장 기후 위기에 대처하는 경제학적 생존 전략 6: 저탄소 배출을 향한 청정 산업으로의 전환
일하는 방식 | 새로운 연료, 새로운 화학 | 설계의 힘 | 레버 당기기

제8장 기후 위기에 대처하는 경제학적 생존 전략 7: 신기술을 통한 청정화와 새로운 도약
수소, 과대 광고에서 유망한 미래로 | 원자력이라는 난제 | 돌려보내기 | 어디에나 있는 뜨거운 암석 | 혁신의 문화 | 레버 당기기

제9장 기후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모두의 노력: ‘예’라고 말하기
원대한 야심 | 어려운 선택 | 행동 요구 | 세상을 개선하기 위해서

감사의 말
역자의 말
미주
참고문헌
그림 출처
찾아보기

저자소개

핼 하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에너지 및 환경 정책 자문 회사인 에너지이노베이션(Energy Innovation)의 설립자. 스탠퍼드대학교에서 기계 공학을 전공,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전기차가 상용화되기 훨씬 전인 30년 전에 태양 전지판으로 충전되는 출퇴근용 전기 자동차를 만들고, 태양광 주택을 설계하거나 건설하는 등 환경을 생각하는 에너지 개발에 꾸준한 관심을 기울이고 실용화에 앞장서고자 노력해왔다. 현재는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 지도자와 정책 입안자에게 온실가스 배출 저감 방법을 자문하는 등 고품질의 연구 및 분석 결과를 제공하며 에너지 정책 결정에 도움을 주고 있다. 2002년 에너지이노베이션의 CEO 자리에서 내려온 그는 유럽기후재단(European Climate Foundation), 중국에너지재단(Energy Foundation China) 등의 설립을 도왔다. 2008년까지 미국에서 가장 큰 자선 단체 중 하나인 휼렛재단(Hewlett Foundation)에서 환경 관련 프로그램 관리자를 역임했으며, 조지 부시,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임명한 에너지위원회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현재는 베를린기후연구소 MCC(Mercator Research Institute on Global Commons and Climate Change)의 과학자문위원회 부위원장, 폴슨연구소(Paulson Institute)의 에너지 및 환경 담당 선임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에너지 정책에 관한 꾸준한 노력과 전략적 리더십의 결과로 2016년에는 예술, 경제, 환경 분야에 공헌한 개인에게 수여하는 하인즈상(Heinz Awards) 환경 부문 표창을, 2018년에는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이 대기 오염을 줄이는 프로젝트나 프로그램, 정책 등 기후 행동에 공헌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기후 및 청정 공기상(The Climate and Clean Air Awards), 기후 정책이 나아가야 할 길을 밝히는 데 일조한 공으로 캘리포니아대기자원위원회(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가 대기 오염 통제 권위자인 아리 얀 하헌스밋(Arie Jan Haagen-Smit) 박사를 기리는 뜻에서 제정한 하헌스밋 청정 공기상(Haagen-Smit Clean Air Awards)을 받았다. 기후 위기에 관해 지은 책으로는 《기후 해결책 설계(Designing Climate Solutions)》가 있으며, 《빅 픽스》는 전문적인 통찰력을 바탕으로 기후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시민, 국가, 더 나아가 전 세계의 이해를 돕고 행동을 이끌어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펼치기
저스틴 길리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40년 경력의 기자, 칼럼니스트. 조지아대학교에서 저널리즘을 전공했다. 〈워싱턴 포스트〉, 〈마이애미 헤럴드〉, 〈AP 통신〉 등 주요 일간지를 거쳐 2010년부터 10년간 〈뉴욕 타임스〉에서 환경, 과학 분야 선임 기자로 일했고, 특히 기후 변화에 중점을 두었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연재한 ‘온도 상승(temperature rising)’ 시리즈를 통해 혹독한 기상 현상과 지구 온난화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 기후 과학의 발전사를 읊었다. 복잡한 문제를 쉬운 언어로 설명하기 위해 노력해온 그는 이 특집 기사로 환경 이슈에 관한 대중의 이해에 기여했다는 공을 인정받아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수여하는 존 B. 오크스상(John B. Oakes Award) 환경 저널리즘상을 수상했다. 2014년에는 기후 변화에 관한 해결책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빅 픽스(big fix)’ 시리즈를 집필했으며, 2015년에는 지구 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한 전 세계의 야심 찬 합의를 끌어낸 파리기후협약을 취재하였고, 2016년에는 두 차례 남극을 방문하며 남극의 빙하 붕괴가 가져올 위험에 관한 기사를 통해 경각심을 일깨워 주었다. 하버드대학교 환경센터에서 연구원으로 지내기도 했으며, 현재는 〈뉴욕 타임스〉의 오피니언 기고가로서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끊임없이 목소리를 내고 있다.
펼치기
이한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한 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과학 전문 번역가이자 저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과학 지식과 인문적 사유를 바탕으로 리처드 도킨스, 케빈 켈리, 에드워드 윌슨, 리처드 포티, 제임스 왓슨 등 저명한 과학자의 대표작을 번역했다. 지은 책으로는 『바스커빌가의 개와 추리 좀 하는 친구들』, 『생명의 마법사 유전자』, 『청소년을 위한 지구 온난화 논쟁』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노화의 종말』, 『생명이란 무엇인가』, 『바디: 우리 몸 안내서』, 『빅 히스토리』, 『불멸의 유전자』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는 경제를 일곱 개 분야로 나눔으로써 이 책의 얼개를 짰다. 여섯 가지는 현재의 온실가스 배출 문제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경제 분야다. 나머지 하나는 앞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발명 분야로 기술과 금융 양쪽을 아우른다. 기후를 구하려면 우리는 탄소 배출량을 0에 가깝게 줄일 때까지 이 일곱 개 분야 각각에서 실질적인 발전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 우리가 변화를 꾀해야 하는 목표들 중에는 이미 명확히 드러난 것들도 많은 반면, 이제야 겨우 눈에 뜨일락 말락 하는 것들도 있다. 따라서 사회가 변화들을 촉진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차례로 살펴볼 것이다. 이런 조치들이 어떤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일어나야 할 필요는 없다. 사회는 이 모든 조치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
_ ‘들어가는 말: 우리에게는 아직 시간이 남아 있다’ 중에서


이런 기술들은 학습 곡선(learning curve)이라는 비탈길을 따라 죽 내려가는 양상을 보인다. 시장이 커질수록 점점 저렴해진다. 우유나 미용 서비스처럼 우리가 구매하는 것들은 대부분 이런 식으로 가격이 대폭 하락하지 않는다. 사실 일상생활에 쓰는 것들은 대체로 가격이 떨어지기보다는 올라가는 쪽이다. 방금 언급한 기술들과 이제 막 창안되고 있는 새로운 기술 양쪽 모두에 적용되는, 특정 에너지 기술들의 이 특수한 경제를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기후 변화의 피해로부터 세계를 구하는 열쇠다.
_ ‘제1장 기후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기본 경제 법칙: 학습 곡선’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41132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