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산 정약용의 사례가식

다산 정약용의 사례가식

정약용 (지은이), 전성건 (옮긴이)
사람의무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1,25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산 정약용의 사례가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산 정약용의 사례가식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91155501085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5-05-20

책 소개

재단법인 실시학사에서 펴내는 ‘실학번역총서’의 여섯 번째 책으로, 정약용의 <사례가식>를 현대어로 처음 옮긴 번역서다. 상세한 역주를 달았으며, 또한 해제를 붙였다. 후미의 부록에는 그 원문을 표점과 함께 실어, 학인들에게 제대로 된 독서 환경을 제공하고자 했다.

목차

· 간행사 - 실학번역총서를 펴내며
· 해제

Ⅰ. <관례작의(冠禮酌儀)>
1. 고묘(告廟) | 2. 계빈(戒賓) | 3. 숙빈(宿賓) | 4. 세(洗)·복(服)·즐(櫛)·관(冠)의 진설 | 5. 초례(醮禮) 도구의 진설 | 6. 주인·빈·찬·장관자의 위치 | 7. 빈·찬·장관자의 시가례 이전 의절 | 8. 시가례(始加禮) | 9. 재가례(再加禮) | 10. 삼가례(三加禮) | 11. 초례(醮禮) | 12. 부(父)·제부(諸父) 등을 알현(謁見) | 13. 자관(字冠) | 14. 예빈(醴賓) | 15. 모(母)·고자(姑?) 등을 알현(謁見)

Ⅱ. <혼례작의(婚禮酌儀)>
1. 납채(納采) | 2. 문명(問名)과 예빈(醴賓) | 3. 납길(納吉) | 4. 청기(請期) | 5. 납징(納徵) | 6. 전안례(奠雁禮) | 7. 합근례(合?禮) | 8. 초자(醮子) 및 친영(親迎) | 9. 공뢰(共牢) | 10. 현구고(見舅姑) | 11. 예부(醴婦) | 12. 관궤(?饋) | 13. 향부(饗婦) | 14. 현묘(見廟) | 15. 현조묘(見祖廟) | 16. 척제비리지속(滌除鄙俚之俗)

Ⅲ. <상의절요(喪儀節要)>
1. 시졸(始卒) | 2. 습함(襲含) | 3. 소렴(小斂) | 4. 대렴(大斂) | 5. 성복(成服) | 6. 성빈(成殯) | 7. 계빈(啓殯) | 8. 조전(祖奠) | 9. 발인(發引) | 10. 폄(?)·반곡(反哭) | 11. 우제(虞祭) | 12. 졸곡(卒哭)·부(?) | 13. 소상(小祥) | 14. 대상(大祥) | 15. 담제(?祭) | 16. 분상(奔喪) | 17. 거상지제(居喪之制)

Ⅳ. <제례고정(祭禮考定)>
1. 「제법고(祭法考)」 | 2. 「제기고(祭期考)」 | 3. 「제의고(祭儀考)」 | 4. 「제찬고(祭饌考)」

<부견가례지식(附見嘉禮之式)>
<부견가례지식(附見嘉禮之式)>

<길제설(吉祭說)>
길제(吉祭) | <시용길제의(時用吉祭儀)>

· 부록
Ⅰ. <관례작의(冠禮酌儀)> 원문 | Ⅱ. <혼례작의(婚禮酌儀)> 원문 | Ⅲ. <상의절요(喪儀節要)> 원문 | Ⅳ. <제례고정(祭禮考定)> 원문 | <부견가례지식(附見嘉禮之式)> 원문 | <길제설(吉祭說)> 원문

· 찾아보기

저자소개

정약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말기의 실학자. 정조 때의 문신이며, 정치가이자 철학자, 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사암·탁옹·태수·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다산(茶山), 당호는 여유(與猶)이며, 천주교 교명은 요안,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1776년 정조 즉위 호조좌랑에 임명된 아버지를 따라 상경, 이듬해 이익의 유고를 얻어 보고 그 학문에 감동받았다. 1783년 회시에 합격, 경의진사가 되었고, 178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고 가주서를 거쳐 검열이 되었으나, 가톨릭 교인이라 하여 탄핵을 받고 해미에 유배되었다. 10일 만에 풀려나와 지평으로 등용되고 1792년 수찬으로 있으면서 서양식 축성법을 기초로 한 성제(城制)와 기중가설(起重架說)을 지어 올려 축조 중인 수원성 수축에 기여하였다. 1794년 경기도 암행어사로 나가 연천현감 서용보를 파직시키는 등 크게 활약하였고, 1799년 병조참의가 되었으나 다시 모함을 받아 사직하였다.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1801년 신유교난 때 장기에 유배, 뒤에 황사영 백서사건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이배되었다. 다산 기슭에 있는 윤박의 산정을 중심으로 유배에서 풀려날 때까지 18년간 학문에 몰두, 정치기구의 전면적 개혁과 지방행정의 쇄신, 농민의 토지균점과 노동력에 의거한 수확의 공평한 분배, 노비제의 폐기 등을 주장하였다. 저서로 『목민심서』 『경세유표』 『정다산전서』 『아방강역고』 『마과회통』 『자찬묘지명』 『맹자요의』 『논어고금주』 『춘추고징』 『역학제언』 『상서지원록』 『주역심전』 『사례가식』 『상례사전』 『악서고존』 『상서고훈』 『매씨서평』 『모시강의』 『삼미자집』 등이 있다.
펼치기
전성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다산의 예치사상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안동대학교 동양철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퇴계학파 형성과정과 조선시대 가례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정약용의 철학사상과 체제개혁론(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14)이 있으며, 번역서로 다산 정약용의 사례가식(사람의무늬. 2015)이 있으며, 공저로 퇴계학파의 사람들(예문서원. 2017)이 있으며, '다산 정약용의 경학과 경세유표'(다산학 31. 2017)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내가 상례(喪禮)를 전석(箋釋: 글의 의미에 대한 풀이)한 지 이미 몇 해가 되었다. 널리 고증하였으나 간략하지 못하여 보는 이들이 병통으로 여겼으며 의식절차에 대한 요약본이 있기를 원하였다. 겸양만 하고는 감히 이를 실천하지 못한 것은 진실로 사회적 신분이 다르고, 경제적 능력이 다르며, 과거와 현재의 상황이 다르고, 중국과 조선의 풍속이 다르며, 성격과 기호가 편중되고, 지식과 취향이 각각 달라 이것저것을 참작하여 회통하는 일이 정말 어렵기 때문이었다. 가경(嘉慶: 순조 15, 1815) 을해(乙亥) 겨울, 맏아들 학가(學稼)가 병시중을 들러 와서 거듭 청하였다. 나는 “동시대에 공개하는 것은 감히 할 수 없지만, 자손들을 훈계(訓戒)하기 위한 것이라면 어찌 사양하겠는가?”라고 말하고는 마침내 다음과 같이 기록하여 한 집의 행사를 갖추었다. 기꺼이 함께하고자 하는 자와 더불어 윤문하고 의론하여 함께 시행해 보았으니 또한 사양하지 못한 것이다.
|본문 100쪽, ‘<상의절요(喪儀節要)>’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