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세사(원~ 아편전쟁)
· ISBN : 9791155505564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2-10-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표 목록ㆍ그림 목록
|서론|
<제1부 화폐 유통과 농민소득의 변화>
|제1장| 명말청초부터 청대 후기까지 화폐 유통량
명말 은 유입과 동전 주조량 추계|청대 전중기 은 유입 추계|청대 전중기 동전 주조량 추계
|제2장| 경기변동과 농민소득의 변화
근세 강남 농민의 소비구조 변화|근세 강남 농민의 수입구조 변화
<제2부 청대 시장구조와 경기변동>
|제1장| 전국시장과 지역경제
전국시장의 형성과 강남지역|전국시장망과 지역경제의 형성|지역시장의 자립과 지역경제
|제2장| 건륭연간의 화폐와 물가
건륭 후기 은전비가와 물가|건가성세와 경기변동
|제3장| 도광불황의 구조
명조의 유산: 거대한 지역차|18세기 강남지역: 스미스적 성장|18세기 장강 중상류지역: 맬서스적 함정|19세기 초 강남지역: 맬서스적 함정
<제3부 청대 시장구조와 프로토공업화>
|제1장| 동아시아 속의 청대 농촌시장
16-18세기 중국의 시장구조|거울로서 에도시대 시장구조|서로 다른 농촌 수공업|소결: 서로 다른 경제성장
|제2장| 강남 농촌시장의 세계
들어가며|강남지역 시진의 공간구성|강남시진의 인구와 주민구성|강남시진의 화폐와 도량형 관행|농민경제: 경제의 여러 층위들
|제3장| 농촌 수공업 선대제 생산문제
|결론|
참고문헌ㆍ찾아보기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ㆍ국가는 과연 시장의 어디까지 개입하고 어디까지 방임할 것인가. 이는 문제를 바라보는 인식의 차이일 뿐, 어떤 지역과 국가에 구속된 영속적 속성이라 단정 지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그 개입의 정도는 중국사에서 각 시대마다 달랐다는 것이 이 책의 주장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이 책은 현대와 다른 경제질서들이 과연 어떤 사회질서의 산물이었으며, 그것이 이 책이 주목하려는 청대의 경제발전에 과연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나름대로 소상히 밝혀보려 노력한 결과이다. ―본문 ‘책머리에’ 중에서
ㆍ이처럼 중국 화폐의 세계는 다양한 플레이어가 참여하는 세계로서, 각각의 플레이어들은 독자적 가치를 갖는 각각의 주인공들이었다. 그들이 만들어낸 화폐 또한 각각의 퀄리티를 갖는 각각의 주인공들이었다. 각각의 플레이어들이 독자적이었기 때문에 다른 플레이어와의 연결은 심히 미약해서 서로간의 환산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유하건대 중국의 화폐세계는 오늘날의 시점으로 보면 ‘주인공들이 너무 많은 무협지’와도 같은 세계였다.
―본문 ‘서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