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91156121572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19-11-2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민청련의 탄생
1_창립총회 열리던 날
2_창립총회 성공하다
3_민청련 출범의 시대적 배경
4_구월동의 도망자들
5_공개 정치투쟁을 조직하라
6_누구나 인정할 의장을 찾아라
7_김근태, 의장직을 수락하다
8_누가 먼저 교도소에 갈 것인가
2장 초창기의 조직과 투쟁
1_공개 활동의 거점, 사무실 확보 투쟁
2_비공개 회원 조직의 구축
3_첫 투쟁, 레이건 미국 대통령 방한 반대투쟁
4_줄을 잇는 공개정치투쟁의 깃발
3장 민주화운동의 선봉
1_“녹화사업 의문사, 진상을 밝혀라”
2_청년운동론의 정립
3_제2차 총회와 민청련의 여성운동론
4_공개운동 영역의 확대
5_《민주화의 길》 창간
6_연합운동을 주도하다
7_CNP논의와 2?12총선 대응 전술
8_1985년 2?12총선과 민청련
9_제4차 총회와 5월 투쟁
4장 민청련 탄압사건
1_대탄압의 먹구름
2_폭풍 전야: 학원안정법 파동과 민청련 제5차 총회
3_집행부의 연이은 구속과 고문
4_김근태 전 의장 고문 폭로와 공동대책위원회
5_고문 폭로에서 인권운동으로, 민청련 여성들의 활약
6_비상체제의 민청련
5장 시련을 이겨내고 6월항쟁으로
1_제6차 총회와 AB논쟁
2_5월 투쟁에 헌신한 청년들
3_1986년 헌법특위 반대 운동
4_제7차 총회와 새 집행부
5_탄압에 희생된 박종철, 일어서는 민청련
6_항쟁 전야, 어둠 속에서 횃불을 든 민청련
7_6월항쟁과 민청련
6장 대통령선거 국면의 민청련
1_6?29선언과 민청련의 대응
2_제9차 총회와 공개 지도역량의 회복
3_민청련의 조직 정비와 야권 후보 단일화운동
4_지역 민청련 조직 활동
5_대통령선거 전술 논쟁과 김근태 옥중 메시지
6_민청련, ‘4자 필승론’에 빠져들다
7_민청련은 왜 김대중을 지지했나
8_아, 김병곤!
9_대통령선거 패배와 민청련의 좌절
7장 청년 대중운동의 기수
1_제10차 총회와 집행부의 세대교체
2_운동권에 등장한 새로운 기류, 민족해방 계열
3_민족해방 계열과 거리 둔 민청련 집행부
4_청년대중운동의 진전: 청년학교와 성남 민청련
5_김근태가 바라본 ‘두 개의 전선’
에필로그
책속에서
의장으로 내정된 김근태가 창립선언문을 낭독했다. 〈민주, 민중, 민족통일을 우리 모두에게〉라는 제목의 창립선언문 서두에서 김근태는 “우리 민주청년은 민주?민권의 승리를 위한 지금까지의 반독재투쟁 경험과 운동의 성과를 계승하면서 운동 이론을 체계화하고, 운동 주체를 조직화해야 한다는 역사적 요구에 좇아 민주화운동(전국)청년연합 결성을 선언한다”고 창립 취지를 밝혔다.
민청련 집행부는 이러한 민청련의 상황을 설화 속의 독사와 두꺼비에 비유했다. 두꺼비는 비록 독사에게 잡아먹히지만 두꺼비를 잡아먹은 독사도 두꺼비의 독으로 죽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잡아먹힌 두꺼비는 독사의 몸을 자양분으로 삼아 품고 있는 알을 부화시켜 새끼들을 탄생시킨다. …… 이 두꺼비의 비유는 사회부장 연성수가 전래 민담에 나오는 두꺼비 설화에서 따온 이야기인데, 이후 민청련 정신의 상징이 되었다.
강제 징집과 녹화사업 그리고 의문사에 대한 문제 제기는 용기를 필요로 하는 일이었다. 당시 군은 일종의 불가침 영역이었고, 군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경우 보안사 분실 같은 곳으로 연행되어 조사를 받지나 않을까 두려워하는 분위기였다. ‘서빙고 호텔’이라 불리던 서울 서빙고동의 보안사 분실은 상상을 초월하는 공포의 고문으로 유명했다. 따라서 정치권의 야당은 물론 어떤 사회단체도 이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 민청련이 이원주를 앞세워 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조사활동을 벌이는 등 총대를 메고 나선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