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57745753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7-11-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2018년 새로운 관점의 재테크가 필요하다
부동산 투자 | 아기곰
새 정부 부동산 정책에 주목하라
Trend 1 새 정부의 부동산 관련 조치들│Trend 2 부동산 시장을 바라보는 시선
아파트 투자 | 빠숑 김학렬
서울 지역 아파트에 주목하라
Trend 3 서울 지역 아파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Trend 4 서울의 아파트 시세, 거품일까│Trend 5 서울 인구 1,000만 명 시대의 종식│Trend 6 서울의 대형 아파트 접근 방법│Trend 7 대한민국 최고 아파트는 어디일까│Trend 8 서울이라는 시장에서 대단지 프리미엄이란│Trend 9 세대수 증감과 연차로 서울 아파트의 방향성 파악하기│Trend 10 서울에는 재건축, 재개발이 많은데 거주할 아파트 수는 왜 줄어들까│Trend 11 아파트의 핵심을 절대 놓치지 마라
금융 재테크 | 정철진
위기는 정녕 찾아오는가
Trend 12 2018년, 위기는 정말 피할 수 없는 것인가│Trend 13 트럼프 경제 정책의 실망감과 섣부른 긴축│Trend 14 달러와 국제유가, 그리고 비트코인│Trend 15 투자는 기다려라,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올 때까지│
세테크 전략 | 신방수
주택 중과세 제도를 완전 정복하라
Trend 16 2018년 세제 이슈들│Trend 17 주택 중과세 제도가 적용되면 세금이 얼마나 많이 나올까│Trend 18 주택 수를 조절하는 방법│Trend 19 1세대 1주택자의 대응 전략│Trend 20 1세대 2주택자의 대응 전략│Trend 21 1세대 3주택자의 대응 전략│Trend 22 준공공임대주택으로의 전환 실익│Trend 23 오피스텔 투자자의 대응 전략│Trend 24 재건축 입주권 보유자의 대응 전략
꼬마빌딩 투자 | 김윤수
임차인과 리모델링
Trend 25 꼬마빌딩의 전망│Trend 26 꼬마빌딩 투자 방법│Trend 27 꼬마빌딩 실제 투자 사례
저자소개
책속에서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킬 또 다른 규제책으로 정부는 분양가 상한제를 염두에 두고 있다. 그러면 분양가 상한제는 주택 시장 전체에는 어떤 영향을 줄까? 일단 공급이 줄어든다. 건설사의 입장에서 보면 자신들이 살아남으려면 싸게라도 많이 지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기 쉬워 전체 공급은 감소하지 않을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사업장의 수익이 같은 것이 아니다. 재건축이나 재개발 사업의 도급제와 같이 확실히 수익이 보장되는 사업이 있는가 하면, 분양 성공 여부가 불확실한 사업도 있는 것이다. 분양가 상한선이 적정 수준에서 균형을 이룬다면 수익을 줄여서라도 사업을 지속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후자와 같은 사업은 하지 않는 것이 기업의 생리이다
- ‘부동산 투자 _ 새 정부 부동산 정책에 주목하라’ 중에서
마곡엠벨리 7단지를 다시 말씀드리는 이유는 서울 아파트 시세의 거품 논란 때문입니다. 만약 서울이라는 지역의 평균 시세가 3.3㎡당 1,000만 원대였다면 아무리 마곡지구라 하더라도 3.3㎡당 3,000만 원이라는 가격은 논란의 여지가 많았을 겁니다. 그런데 2017년 10월 기준 서울시 평균 시세가 2,000만 원을 넘어섰습니다. 마곡지구의 새 아파트가 서울의 중간 수준 아파트보다 입지 경쟁력과 상품 경쟁력에서 떨어진다고 판단된다면 마곡엠벨리 7단지는 거품이 맞는 것이고요, 적어도 ‘평균 이상은 된다’라고 생각하신다면 마곡엠벨리 7단지는 정상 가격입니다.
- ‘아파트 투자 _ 서울 지역 아파트에 주목하라’ 중에서
2018년은 우선 하락장에 배팅하는 인버스 ETF(상장지수펀드)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물론 성급하게 나서면 안 된다. 2280선이 하향 돌파되는지를 확인한다면 1900선까지는 하락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일반 투자자들에게 ‘주식이 떨어질 것’이라는 데 투자하는 방식은 익숙하지 않다. 그래서 오히려 차라리 원자재 투자 쪽이 더 유망하다고 생각한다. 이때도 원자재 관련 기업을 묶어 놓은 원자재 펀드 스타일이 아니라 직접 원자재 가격 변동에 연동된 ETF로 접근하는 것이 현명해 보인다.
- ‘금융 재테크 _ 위기는 정녕 찾아오는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