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주 명청팔대가문초 3 : 매증량·증국번

역주 명청팔대가문초 3 : 매증량·증국번

이상하 (옮긴이)
전통문화연구회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0% 0원
1,140원
36,8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주 명청팔대가문초 3 : 매증량·증국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주 명청팔대가문초 3 : 매증량·증국번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57945467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명청팔대가문초』는 명나라 귀유광과 청나라 문인 7명의 산문 총 386편을 편선한 책이다. 전통문화연구회의 『역주 명청팔대가문초』는 동성파의 대표적 선집인 왕문유의 『명청팔대가문초』를 최초로 완역하고 역주한 것으로 총 4책으로 출간하였다.

목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凡 例
明淸八大家의 생애와 문학 -梅曾亮․曾國藩- / 11

제5권 梅伯言文鈔
01. 晁錯에 대한 論 晁錯論 / 21
02. ≪陰晉異函≫의 序 陰晉異函序 / 27
03. ≪黔記≫의 序 黔記序 / 30
04. ≪桑弢甫先生集≫의 序 桑弢甫先生集序 / 34
05. ≪恥躬堂文集≫의 序 恥躬堂文集序 / 36
06. ≪十經齋文集≫의 序 十經齋文集序 / 40
07. ≪舒伯魯集≫의 序 舒伯魯集序 / 43
08. ≪阮小咸詩集≫의 序 阮小咸詩集序 / 46
09. 閒園에서 읊은 시의 序 閒園詩序 / 49
10. <帝鑑圖詩>의 序 帝鑑圖詩序 / 53
11. 陳拜鄕의 詩에 대한 序 陳拜鄕詩序 / 57
12. ≪後漢書≫의 뒤에 씀 書後漢書後 / 60
13. ≪莊子≫ 뒤에 씀 書莊子後 / 65
14. ≪淮南子≫의 뒤에 씀 淮南子書後 / 69
15. ≪復社人姓氏≫의 뒤에 씀 書復社人姓氏後 / 71
16. 方植之의 ≪書林揚觶≫ 뒤에 씀 書方植之書林揚觶後 / 74
17. ≪守濬記≫의 뒤에 씀 書守濬記後 / 77
18. <石瑤臣傳>의 뒤에 씀 石瑤臣傳書後 / 79
19. ≪葉耳山遺稿≫의 뒤에 쓰다 葉耳山遺稿書後 / 83
20. 管異之의 문집 뒤에 쓰다 管異之文集書後 / 85
21. 朱丹木에게 답한 편지 答朱丹木書 / 87
22. 吳子序에게 답한 편지 答吳子序書 / 90
23. 雅州로 부임하는 余小坡에게 주는 序 贈余小坡之任雅州序 / 93
24. 張梧岡을 보내는 序 送張梧岡序 / 96
25. 總兵 劉公 淸의 家傳 總兵劉公淸家傳 / 99
26. 王剛節公의 家傳 王剛節公家傳 / 104
27. 栗恭勤公의 傳 栗恭勤公傳 / 109
28. 劉忠義의 傳 劉忠義傳 / 116
29. 艾方來의 家傳 艾方來家傳 / 119
30. 鮑氏의 어머니 謝孺人의 家傳 鮑母謝孺人家傳 / 122
31. 禮部侍郞 陳公의 墓誌銘 禮部侍郞陳公墓誌銘 / 124
32. 誥授朝議大夫 貴州 遵義府知府 胡君의 墓誌銘 誥授朝議大夫貴州遵義府知府胡君墓誌銘 / 131
33. 戶部郎中 湯君의 墓誌銘 戶部郎中湯君墓誌銘 / 135
34. 國子監學正 劉君의 墓表 國子監學正劉君墓表 / 140
35. 侯子有 선생의 墓誌銘 侯子有先生墓誌銘 / 143
36. 王惠川의 墓誌銘 王惠川墓誌銘 / 145
37. 朝議大夫 臺灣府知府 蓋君(갑군)의 墓誌銘 朝議大夫臺灣府知府蓋君墓誌銘 / 149
38. 項府君의 墓誌銘 項府君墓誌銘 / 157
39. 贈按察司 照磨 吳府君의 墓表 贈按察司照磨吳府君墓表 / 161
40. 館陶縣知縣 張君의 墓表 館陶縣知縣張君墓表 / 164
41. 아들 八十의 墓碣 男八十墓碣 / 168
42. 鄒孺人의 墓表 鄒孺人墓表 / 170
43. 朱孺人의 墓誌銘 朱孺人墓誌銘 / 172
44. 崔恭人의 墓誌銘 崔恭人墓誌銘 / 175
45. 倪孺人의 墓誌銘 倪孺人墓誌銘 / 178
46. 小盤谷을 유람한 記 游小盤谷記 / 180
47. 盋山 餘霞閣에 대한 記 盋山餘霞閣記 / 182
48. 강가 정자에서 避暑한 일에 대한 記 江亭消夏記 / 184
49. 金山寺에 鼎을 보관한 일에 대한 記 金山寺藏鼎記 / 187
50. <歐氏又一村讀書圖>에 대한 記 歐氏又一村讀書圖記 / 191
51. 吳淞口의 공사 결과를 시험한 일에 대한 記 吳淞口驗功記 / 194
52. 從吾軒이 정벌에 따라간 것에 대한 記事 從吾軒從征記事 / 197
53. 李林孫의 일에 대해 씀 書李林孫事 / 199
54. 棚民의 일에 대해 씀 書棚民事 / 203
55. 楊氏의 종 이야기를 씀 書楊氏婢 / 206
56. 家譜를 요약한 글 家譜約書 / 207
57. 先塋에 배알한 일에 대한 記 謁墓記 / 211

제4권 曾滌生文鈔
01. 人才에 대해 究明한 글 原才 / 217
02. 孫芝房 侍講의 ≪芻論≫에 대한 序 孫芝房侍講芻論序 / 220
03. 歐陽生의 文集에 대한 序 歐陽生文集序 / 226
04. ≪國朝先正事略≫에 대한 序 國朝先正事略序 / 233
05. ≪衡陽彭氏譜≫에 대한 序 衡陽彭氏譜序 / 239
06. ≪湖南文徵≫에 대한 序 湖南文徵序 / 243
07. 前輩 黃仙嶠의 詩에 대한 序 黃仙嶠前輩詩序 / 247
08. ≪歸震川文集≫의 뒤에 쓰다 書歸震川文集後 / 251
09. 賀耦庚 中丞에게 답한 편지 復賀耦庚中丞書 / 254
10. 劉孟容에게 보낸 편지 致劉孟容書 / 259
11. 劉孟容에게 답한 편지 答劉孟容書 / 269
12. 彭麗生에게 답한 편지 復彭麗生書 / 279
13. 胡潤之에게 답한 편지 復胡潤之書 / 282
14. 黃恕皆 侍郎에게 답한 편지 復黃恕皆侍郎書 / 285
15. 劉霞仙 中丞에게 답한 편지 復劉霞仙中丞書 / 287
16. 吳南屛에게 답한 편지 復吳南屛書 / 297
17. 陳虎臣에게 답한 편지 復陳虎臣書 / 301
18. 陳右銘 太守에게 답한 편지 復陳右銘太守書 / 305
19. 王叶庭에게 보낸 편지 與王叶庭書 / 309
20. 남쪽으로 돌아가는 郭筠仙을 보내는 序 郭筠仙南歸序 / 310
21. 남쪽으로 돌아가는 劉椒雲을 보내는 序 劉椒雲南歸序 / 314
22. 江左에 부임하는 謝吉人을 전송한 序 送謝吉人之官江左序 / 317
23. 歐陽氏 姑婦의 節孝에 대한 家傳 歐陽氏姑婦節孝家傳 / 322
24. 江忠烈公의 神道碑銘 江忠烈公神道碑銘 / 327
25. 羅忠節公의 神道碑銘 羅忠節公神道碑銘 / 337
26. 李忠武公의 神道碑銘 李忠武公神道碑銘 / 346
27. 李勇毅公의 神道碑銘 李勇毅公神道碑銘 / 355
28. 畢君의 殉難碑에 대한 記 畢君殉難碑記 / 362
29. 林君의 殉難碑에 대한 記 林君殉難碑記 / 367
30. 何君의 殉難碑에 대한 記 何君殉難碑記 / 373
31. 新寧 劉君에 대한 墓碑銘 新寧劉君墓碑銘 / 380
32. 仁和 邵君의 墓志銘 仁和邵君墓志銘 / 386
33. 苗先簏의 墓誌銘 苗先簏墓誌銘 / 392
34. 鄧湘皋 先生의 墓表 鄧湘皋先生墓表 / 399
35. 聖哲의 畫像에 대한 記 聖哲畫像記 / 405
36. 湖口縣의 楚軍 水軍을 祭享한 昭忠祠에 대한 記 湖口縣楚軍水師昭忠祠記 / 420
37. 金陵 軍營의 官吏와 紳士를 제향한 昭忠祠에 대한 記 金陵軍營官紳昭忠祠記 / 424
38. 金陵의 湘軍 陸軍을 제향한 昭忠祠의 記 金陵湘軍陸師昭忠祠記 / 431
39. 湘鄕의 昭忠祠에 대한 記 湘鄕昭忠祠記 / 438
40. 金陵 楚軍의 水軍을 제향한 昭忠祠에 대한 記 金陵楚軍水師昭忠祠記 / 443
41. 다섯 편의 箴 五箴 / 447

[附 錄]
1. ≪明淸八大家文鈔 3≫ 參考書目 / 453
2. ≪明淸八大家文鈔 3≫ 參考圖版 目錄 및 出處 / 458
3. ≪明淸八大家文鈔 3≫ 板本 見本 / 461
4. ≪明淸八大家文鈔≫ 總目次(QR) / 465
5. ≪明淸八大家文鈔≫ 解 題(QR) / 465

저자소개

이상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상임연구원 졸업 조선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교수(現) [논문 및 역서] 논문 <한문고전 문집번역의 특성과 문제점>, <≪주자서절요≫가 조선조에 끼친 영향>, <퇴계⋅남명의 시와 대조적인 학문성향> 등 역서 ≪挹翠軒遺稿≫, ≪月沙集≫, ≪容齋集≫, ≪鵝溪遺稿≫, ≪石洲集≫ 등 공역 ≪寒洲 李震相의 主理論 硏究≫, ≪冷淡家計≫, ≪儒學的 思惟와 韓國文化≫(공저) 등
펼치기

책속에서

부화한 문장만을 짓는 당시 세태
사족士族 중에서 소송하는 자가 있거늘 그 송사訟詞를 읽어보니 정당하지 않았다. 군이 즉시 말하기를 “너에게 글공부를 시켰더니 글은 오지 않고 송사가 왔단 말인가?”라 하고 글을 짓게 했더니, 문장의 법도에 맞지 않았다. 그런 뒤에 송사를 판결하니, 사족의 송사가 마침내 드물어졌다. 그 인술仁術로 백성들을 두루 구제하는 것이 대개 이와 같았다.
- ≪매백언문초≫ <관도현지현장군묘표館陶縣知縣張君墓表> 중에서


산등성이 누각에서 문장을 논하다
자정子靜이 말하기를 “문장을 짓는 일은 마치 산에서 구름이 나오고 강하江河의 흘러내리는 물과 같으니, 돌을 파서 끌어올리고 둑을 터서 끌어내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문장을 잘하는 사람은 기다리는 바가 있다.”라 하고, 내(매증량)가 말하기를 “문장이 천지에 있는 것이 마치 아름다운 구름과 경치 같으니, 잠깐 고개를 들었다 숙이는 사이에 만 리 밖으로 달아나버린다. 그러므로 문장을 잘하는 사람은 그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라 하였다.
- ≪매백언문초≫ <발산여하각기盋山餘霞閣記> 중에서


천하의 문장이 동성桐城에 있도다
요선생姚先生(요내姚鼐)이 그 작법을 연구한 것이 더욱 정밀하였으니, 역성歴城의 주영년周永年 서창書昌이 이에 대해 말하기를 “천하의 문장이 동성에 있도다.”라고 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배우는 자들이 많이 동성으로 쏠려 동성파桐城派로 불렸다.
- ≪증척생문초≫ <구양문집서陽生文集序>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