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철학자인 그는 현재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초빙교수로 있으면서 ‘정치학입문’과 ‘한국정치사상’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경희사이버대학교 후마니타스학과 겸임교수를 겸하면서 동아시아의 불교정치사상, 유교정치사상, 기독교정치사상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인물로배우는정치학-동양편’ 등을 강의하고 있다. 그밖에 중앙대학교 대학원 동북아학과와 부산교육대학교 및 대학원 윤리교육과에서도 강의하고 있다.
1997년부터 2017년까지 만20년 동안 줄곧 동국대학교 국제관계학과 외래교수로 있으면서 ‘동서양정치사상’과 ‘문화와 정치’ 등을 전담하여 강의했다.
통일헌법의 정치철학적 기초를 마련하는 일을 자신의 소명으로 여기고 있는 그는 현재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부원장으로 연구활동하면서 동북아평화협력과 남북통일을 실질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동아시아사상사 및 고전경학적 기초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평화로운 동북아질서 속에서 주변국 모두가 환영할 뿐만 아니라 필요로 여기는 남북통일 전망을 기존의 ‘단일민족 논리’, ‘경제성장 논리’, ‘지역평화 논리’와 다른 전혀 새로운 차원의 ‘민주 공화체제’로 열어가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활동의 결실 중에 하나가 『지탱』(여연제, 2019)이다.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9년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한 이후 석박사 학위까지 줄곧 실존철학에 기반을 둔 정치철학과 정치이론을 공부했다.
그러나 2006년부터 실존주의가 저 뿌리 깊은 곳에 체질적으로 갖고 있는 ‘독단과 아집’에서 떠나기 시작했다. 요즘 그의 관심은 ‘메타이론’에 있다. 그가 말하는 메타이론은 ‘어떤 이론, 학문, 방법론 등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가정과 전제에 관한 이론’이다.
주요 저서로는 『메타비교정치학』(백산출판사), 『공적윤리와 정치』(백산출판사), 『좋은 삶의 정치사상』(공저, 이학사), 『인권의 정치사상』(공저, 이학사), 『한국의 통일연구 30년』(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외 다수가 있다.
저자의 다른 저서
남북한 사회통합 방안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8년 12월
한국의 통일 연구 3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7년 5월
좋은 삶의 정치사상, 이학사, 2014년 5월
메타비교정치학, 백산출판사, 2011년 4월
인권의 정치사상, 이학사, 2010년 12월
공적윤리와 정치, 백산출판사, 2004년 10월
펼치기
박찬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윤리교육학 전공,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주요 논저로 『남남갈등 대립으로 끝날 것인가』, 『도덕 통일 그리고 통합』, 『북한교육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임상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북도 안동 출생 / 정치학 박사(동국대) / 현재 평택대학교 통일학피어선교양전공 주임교수
주요 저역서로 『핵 무기 전파, 그 끝없는 논쟁』(2022, 박영사),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2022, 박영사), 『12개 렌즈로 보는 남북관계』(2021, 박영사) 등이 있다.
펼치기
정영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근현대사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주요 논저로 『근현대민족주의 민족운동』, 『근현대민족주의 정치사상』, 『세계의 교육혁명』(공저), 『韓國의 歷史』(공저), 「Chuch'e-Ideen und (Neo-)Konfuzianismus in Nordkorea, Lit Verlag in muenster; Hambuurg; London, Deutschland」 등이 있다.
펼치기
정지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문학을 공부하였으나, 최전방에서의 군 복무가 계기가 되어 그의 화두가 된 통일문제를 연구하여 같은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국제적 여건 연구’라는 주제로 State University of New York에서 박사후 과정을 이수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을 거쳐 (사)통일미래사회연구소장, 아신대 조교수, (사)코리아통합연구원 연구위원, 각종 단체의 자문위원을 역임하면서, 한반도 분단과 사회의 갈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꾸준한 연구와 활동을 하고 있다. “분단통일국과 한반도 통일—힘과 통합이론의 관점에서”(박사논문), “German Reun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Theory : From Functionalism to Neofunctionalism”, “통일추진 동력으로서의 민족주의”, “정경분리정책과 남북관계, 그 의의와 한계”,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방안과 유형의 모색”, “독일통일의 통합이론적 접근”, “독일통일과 예멘통일”, 『북한핵 프로그램』(역저), 『통일과 한국기독교』, 『통일학』, 『남북한 사회통합 방안 연구』(공저), 『동북아 바둑판』 등 다수의 논문과 저서가 있다.
펼치기
김해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사회학 전공, 코리아통합연구원 수석연구원. 주요 논저로 「독일통일 이후 일-가족 조화정책과 여성경제 활동: 성별분업을 위주로」, 「독일통일 축복으로 이끈 노동정 책」(공저), 「사회·문화연구 현황과 과제」(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장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북한학 전공, 코리아통합연구원 연구원. 주요 논저로 『김정은 체제 후계구축과정 연구』, 「김정은 시대 북한 대외관계의 동학」(공저), 「후기 분단체제의 일상 화」(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