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권의 정치사상

인권의 정치사상

(현대 인권 담론의 쟁점과 전망)

김석근, 오문환, 최형익, 김병욱, 박의경, 김비환, 홍원표, 홍태영, 유홍림, 곽준혁, 김은실, 김남국, 오영달, 김범수, 김병곤, 김봉진 (지은이)
이학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1,600원
27,200원 >
28,8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880원
25,9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400원 -10% 1120원 19,040원 >

책 이미지

인권의 정치사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권의 정치사상 (현대 인권 담론의 쟁점과 전망)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사상사
· ISBN : 9788961471404
· 쪽수 : 623쪽
· 출판일 : 2010-12-30

책 소개

'정치사상총서' 1권. 16명의 학자가 '인권'이라는 대주제를 놓고 각자의 전문 분야별로 연구 테마를 나누어 연구하였으며, 그것을 함께 생각하고 토론한 결과물을 엮은 것이다. 인권의 다양한 측면을 검토할 수 있었고, 이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거의 모두 다루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한편의 글을 꼼꼼히 읽어보면 인권에 관한 유익하고 풍성한 생각할 거리를 얻을 수 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총론
현대 인권 담론의 쟁점과 전망_김비환

제2부 현대 주요 정치사상의 인권 담론
1장 현대 자유주의와 인권의 보편성_유홍림
2장 공동체주의 인권 담론: 보편주의적 범세계주의와의 논쟁을 중심으로_김범수
3장 인권 문제와 보수주의: ‘본의 아닌’ 만남을 넘어서_홍원표
4장 공화주의와 인권_곽준혁
현대 주요 정치사상의 인권 담론

제3부 인권 담론의 근대 정치사상적 기원
5장 근대 자연권 이론의 기원과 재산권: 로크와 페인_김병곤
6장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로크와 루소 사상의 비교와 북한 인권_오영달
7장 칼 맑스의 정치경제학 비판과 사회권 사상_최형익

제4부 역사적 맥락에서 본 페미니스트 인권 담론
8장 근대 정치사상과 여성 그리고 인권_박의경
9장 콜론타이의 여성해방론과 여성의 사회적·경제적 권리_김은실·

제5부 동아시아 인권 담론의 기원과 자원
10장 서구 ‘권리’ 관념의 수용과 변용: 유길준과 니시 아마네의 비교_김봉진
11장 인권과 문명, 그리고 아시아적 가치: ‘보편적인 것’의 정치성과 ‘열린 보편성’_김석근
12장 동학(천도교)의 인권 사상_오문환
동아시아 인권 담론의 기원과 자원인권 담론의 근대 정치사상적 기원

제6부 지구화 시대 인권 담론의 과제와 전망
13장 인권의 정치와 민주주의의 경계들_홍태영
14장 문화적 권리와 보편적 인권_김남국
15장 인권의 결함_김병욱
16장 가치 다원주의 시대의 인권 규범 형성: 정치철학적 접근_김비환

각 장에 대한 안내 및 각 장이 처음 게재된 학술지

저자소개

김석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정치사상연구실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BK21 교수를 지냈다.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해왔으며, 아산서원 부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동양철학사, 한국정치사상, 그리고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한국정치사상사』, 『한국문화대탐사』, 『선비정신과 한국사회』 외 다수가 있다. 아울러 『일본정치사상사연구』, 『「문명론의 개략」을 읽는다』, 『마루야마 마사오: 주체적 작위, 파시즘, 시민사회』 등 일본 사상사 관련 저작을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을 해왔다.
펼치기
오문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정치사상이 전공이며 북경대학교(北京大學校)에 연구학자로 다녀왔으며 연세대, 서강대, 성균관대 등에서 강의를 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해월 최시형의 정치사상』, 『동학의 정치철학』 등이 있으며, [율곡의 군자관과 그 정치철학적 의미], [동학사상에서의 자율성과 공공성]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최형익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국제관계학부 교수이자 일본 게이오대학,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 방문교수이다. 국회운영제도개선자문위원회, 국민헌법자문특별위원회, 통일부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역임했다. 저서로 『마르크스의 정치이론』, 『고전 다시 읽기』, 『실질적 민주주의』, 『대통령제, 정치적인 너무나 정치적인』, 『스피노자의 《신학정치론》 읽기』, 『마르크스의 《자본론》 읽기』, 『불승인주의: 미국 동아시아외교정책과 한반도문제』, 『홍명희의 《임꺽정》 프로젝트』, 『칼 슈미트의 《대지의 노모스: 유럽 공법의 국제법》 읽기』가 있다.
펼치기
김병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철학자인 그는 현재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초빙교수로 있으면서 ‘정치학입문’과 ‘한국정치사상’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경희사이버대학교 후마니타스학과 겸임교수를 겸하면서 동아시아의 불교정치사상, 유교정치사상, 기독교정치사상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인물로배우는정치학-동양편’ 등을 강의하고 있다. 그밖에 중앙대학교 대학원 동북아학과와 부산교육대학교 및 대학원 윤리교육과에서도 강의하고 있다. 1997년부터 2017년까지 만20년 동안 줄곧 동국대학교 국제관계학과 외래교수로 있으면서 ‘동서양정치사상’과 ‘문화와 정치’ 등을 전담하여 강의했다. 통일헌법의 정치철학적 기초를 마련하는 일을 자신의 소명으로 여기고 있는 그는 현재 동북아평화협력연구원 부원장으로 연구활동하면서 동북아평화협력과 남북통일을 실질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동아시아사상사 및 고전경학적 기초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평화로운 동북아질서 속에서 주변국 모두가 환영할 뿐만 아니라 필요로 여기는 남북통일 전망을 기존의 ‘단일민족 논리’, ‘경제성장 논리’, ‘지역평화 논리’와 다른 전혀 새로운 차원의 ‘민주 공화체제’로 열어가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활동의 결실 중에 하나가 『지탱』(여연제, 2019)이다.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9년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한 이후 석박사 학위까지 줄곧 실존철학에 기반을 둔 정치철학과 정치이론을 공부했다. 그러나 2006년부터 실존주의가 저 뿌리 깊은 곳에 체질적으로 갖고 있는 ‘독단과 아집’에서 떠나기 시작했다. 요즘 그의 관심은 ‘메타이론’에 있다. 그가 말하는 메타이론은 ‘어떤 이론, 학문, 방법론 등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가정과 전제에 관한 이론’이다. 주요 저서로는 『메타비교정치학』(백산출판사), 『공적윤리와 정치』(백산출판사), 『좋은 삶의 정치사상』(공저, 이학사), 『인권의 정치사상』(공저, 이학사), 『한국의 통일연구 30년』(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외 다수가 있다. 저자의 다른 저서 남북한 사회통합 방안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8년 12월 한국의 통일 연구 3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7년 5월 좋은 삶의 정치사상, 이학사, 2014년 5월 메타비교정치학, 백산출판사, 2011년 4월 인권의 정치사상, 이학사, 2010년 12월 공적윤리와 정치, 백산출판사, 2004년 10월
펼치기
박의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사는 서양근대정치사상과 여성정치이고, 궁극적 지향점은 여성정치사상의 정립과 민주주의의 사상적 완성이다. 저서 『여성의 정치사상』과 『현대정치의 위기와 비전』(공저), 『루소를 말하다』(공저), 『인권의 정치사상』(공저), 『우리들의 민주주의』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정치사상과 여성』, 『지하드 맥월드』, 『고백록』(역해), 『나라사랑을 말하다』 등이 있다. 논문 「민주주의와 여성, 그리고 평화」, 「5.18 민주항쟁과 기억의 정치」, 「자유민주주의의 정립을 위한 조건」, 「젠더정치 활성화를 위한 모색」, 「화해, 공존, 평화의 조건: 한반도 평화공동체를 위하여」, 「다문화주의와 민족주의, 민주주의의 삼각구도」, 「한국민족주의와 민주주의」, 「참여민주주의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고찰」, 「전쟁의 길과 평화의 나무」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비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부터 2023년까지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재직하였고, 현재는 명예교수로서 현대 정치사상과 민주주의 이론을 강의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사유재산의 정치철학』, 『개인적 자유에서 사회적 자유로』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홍원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고전적 합리주의의 현대적 해석: 레오 스트라우스, 에릭 보에글린, 한나 아렌트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정치학 박사학위(1992)를 받았다. 이후 현재까지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LD학부 교수로 재직 중에 교무처장과 미네르바교양대학 학장을 역임했고, 한국정치학회 총무이사와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한나아렌트학회 회장(2009~2012, 2015~2016)을 역임했다.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현대 정치철학의 지형: 언저리에서의 사유』, 『아렌트: 정치의 존재이유는 자유다』,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 행위, 전통, 인물』, 『비극의 서사: 근현대 한국 지성의 삶과 사상』이 있고, 공저로는 『정치의 대전환』, 『한나 아렌트와 세계사랑』, 『국가건설 사상』, 『언어와 정치』 등이 있다. 역서로는 『혁명론』, 『정신의 삶: 사유와 의지』, 『어두운 시대의 사람들』, 『한나 아렌트, 정치와 법』, 『유대인 문제와 정치적 사유』, 『한나 아렌트 철학 전기: 세계사랑의 여정』, 『어두운 시대의 한나 아렌트: [열다섯 저작 속의] 소통윤리와 수사학』, 『비상사태의 정치: 역설, 법, 민주주의』, 『한나 아렌트·카를 야스퍼스 서간집 1926-1969년(1, 2)』 등이 있다.
펼치기
홍태영 (감수)    정보 더보기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이자 현 안보대학원장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1-22년 한국정치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자유주의, 민족주의, 공화주의, 근대와 탈근대의 정치 등이다. 대표 저서로는 『국민국가의 정치학』(2008), 『정체성의 정치학』(2011), 『국민국가를 넘어서』(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유홍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및 대학원을 거쳐 미국 럿거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옌칭연구소 및 럿거스대학교 방문교수, 한국정치학회 및 한국정치사상학회 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서울대학교 대학신문사 주간 및 기록관장을 맡고 있다. 『현대 정치사상 연구』, 『정치학의 이해』(공저), 『현대 정치와 사상』(역서) 외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곽준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중산대학교(中山大學校) 철학과 교수로 영국 루틀리지(Routledge) 출판사의 “Political Theories in East Asian Context” 시리즈 책임 편집자를 맡고 있다.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마키아벨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경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탈리아 볼로냐대학교 방문교수, 숭실대학교 ‘가치와 윤리 연구소’ 공동소장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마키아벨리 다시 읽기』『지배와 비지배』『경계와 편견을 넘어서』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선거는 민주적인가』『신공화주의』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은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학교에서 〈러시아 정치 문화 속에서의 메시아니즘 사상〉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한국여성근현대사(2002-2005)”, “사회주의 페미니즘과 콜론타이 연구(2005, 2007)”, “러시아의 인간주의 윤리학(2009-2012)”등의 여성과 러시아 정치사상 관련 과제를 수행하였다. 인하대, 덕성여대, 배제대, 숭실대 등에서 서양정치사상과 여성과 정치, 러시아 정치 등을 강의하였고,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와 논문으로는 『인권의 정치사상(공저)』, 『고대 중세 서양정치사상(공저)』, 「러시아 공동체와 사적 자유의 조화」, 「여성해방에 대한 콜론타이와 레닌의 정치적 갈등」, 「콜론타이의 여성 인권과 자유주의 정치사상」등이 있고, 이 밖에도 한국 여성 관련 저서와 논문들을 썼다.
펼치기
김남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옥스퍼드대학을 거쳐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시아와 유럽에서 다문화의 도전과 이러한 도전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회적 다수와 소수가 합의 가능한 공정한 사회 구성의 원칙을 찾는 일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로 현대 정치철학, 인권, 유럽 정치, 법과 정치사상을 강의하며 프랑스 인간과학재단과 파리고등사회과학원의 초빙교수, 피렌체 유럽대학(EUI)의 아셈듀오 펠로우를 지냈다. 한국정치학회 회장, 한국유럽학회 회장, 한국정치사상학회 연구위원장, 한국정치세계학술대회 집행위원장 등을 역임했고 『한국정치학회보』와 『유럽연구』의 편집위원장을 지냈다. 유럽연합으로부터 장 모네(Jean Monn?t) 석좌교수를 수여받았고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한국유럽학회 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2014년 이후 마르퀴즈 후스 후(Marquis Who's Who) 세계인명사전에 연속 등재되었다. 저서로 『문화와 민주주의』(2019), Deliberative Multiculturalism in Britain(2011), 편저서로 Routledge Handbook of Europe-Korea Relations(2022), 『유럽의 역사 화해와 지역 협력』(2019), Multicultural Challenges and Sustainable Democracy in Europe and East Asia(2014)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Asia of Citizens beyond Asia of States"(2018), 「북아일랜드 평화프로세스의 성공요인」(2018), 「다문화사회에서 표현의 자유의 범위와 한계」(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오영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영국 웨일즈대학교(아버리스트위드)(현 아버리스트위드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정책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국제정치학과 정치사상사를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국제 인권, 국제 기구, 주권 및 인권 사상에 관련된 문제들이다. 주요 공역서로 『제국에서 공동체로: 국제관계의 새로운 접근』(아미타이 에치오니, 2007), 『세계정치론: 경향과 변환』(찰스 W. 케글리, Jr., 2010) 등이, 논문으로 「라우터파흐트(H. Lauterpacht)의 피치자 중심 주권론과 유럽인권협약의 초국가적 제도화」(2002), 「주권과 인권: 정치철학사상 그 상호관계에 대한 두 가지 전통」(2005), 「근대중국에 있어서 서구의 인권과 주권론 수용―량치차오의 정치사상을 중심으로」(2006) 등이 있다.
펼치기
김범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원장. 현재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학부장과 통일평화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평화학이란 무엇인가』(공저, 2022), 『한국 사회에서 공정이란 무엇인가』(2022) 등이 있다.
펼치기
김병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정치사상사를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서구 자유주의 정치사상의 과거가 우리의 현재와 미래에 가지는 의미이다. 저서로 『현대사회와 가치』(1996), 『자유주의의 철학적 기원』(2008) 등이, 논문으로 「동아시아 유교 전통과 자유주의」(2003), 「영국 헌정주의의 기원과 코먼로」(2008), “The Present and Past of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in Korea: between the West and the Past”(2010) 등이 있다.
펼치기
김봉진 (감수)    정보 더보기
1983년에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졸업하고 1985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 대학원 외교학과를 수료했다. 동경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박사 과정(국제관계론 전공)을 수료(1991)하고 1993년에 기타큐슈北九州대학 조교수, 2001년부터 2021년까지 기타큐슈 시립대학(대학명 변경) 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비교 사상사이며, 현 기타큐슈 시립대학 명예교수이자 동양문화연구소(동경)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東アジア「開明」知識人の思惟空間 ―鄭觀應·福澤諭吉·兪吉濬の比較研究》(九州大学出版会, 2004)가 있으며, 공저로는 《3·1독립만세운동과 식민지배체제》(지식산업사, 2019), 《한국 국제정치학, 미래 백년의 설계》(사회평론, 2018), 《辛亥革命とアジア》(お茶の水書房, 2013), 《国際文化関係史研究》(東京大学出版会, 2013), 《歴史と和解》(東京大学出版会, 2011), 《韓国併合と現代》(明石書店, 2008)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1472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