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십 대를 위한 생명과학 콘서트

십 대를 위한 생명과학 콘서트

(미생물에서 공룡까지 생명에 얽힌 놀라운 과학 이야기)

안주현, 정두엽, 김덕근, 이지유, 이한승, 이동숙, 장재우, 백두성, 임종덕 (지은이)
청어람미디어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3개 3,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000원 -10% 650원 11,050원 >

책 이미지

십 대를 위한 생명과학 콘서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십 대를 위한 생명과학 콘서트 (미생물에서 공룡까지 생명에 얽힌 놀라운 과학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91158711443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20-10-31

책 소개

청소년에게 과학의 즐거움을 알리기 위해 시작된 '10월의 하늘'에서 행사에서 선보인 재미있는 강연을 골라 묶은 것으로 '10월의 하늘' 시리즈의 일곱 번째 책이다. 이번 책은 생명과학에 관한 이야기로, 생명에 관한 연구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기 쉽게 알려준다.

목차

머리말
01. 우리 친구 초파리 _ 안주현
02. 생명 다양성의 경이로움 ‘거미와 거미줄’ _ 정두엽
03. 수의사의 고양이 ‘하루’ _ 김덕근
04. 아프리카에서 직접 만나는 동물행동학의 세계 _ 이지유
05. 가장 강한 녀석들, 극한미생물 _ 이한승
06. 세포 속 염색체 이야기: 그것이 알고 싶다 _ 이동숙
07. 인간의 똥으로 약을 만들어요 _ 장재우
08. 공룡 똥은 무슨 냄새가 날까요? _ 백두성
09.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의 흔적’과 함께 떠나는 중생대 탐험 _ 임종덕

저자소개

이지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지구과학교육과 천문학을 공부했습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과학 글을 쓰고 좋은 책을 찾아 우리말로 옮기는 일을 합니다. 지은 책으로 《우주가 보이는 우주책》, 《용감한 과학자들의 지구 언박싱》, 《집요한 과학자들의 우주 언박싱》, 《식량이 문제야!》, 《내 이름은 파리지옥》, 《별똥별 아줌마가 들려주는 과학 이야기》 시리즈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모두 충전하는 사이에》, 《꿀벌 아피스의 놀라운 35일》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임종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에서 브라키오사우루스 골격을 직접 발굴하는 등 국내외 화석 산지에서 발굴·연구·보존·복원을 하며 이를 통해 얻은 공룡 소식을 전시·교육을 통해 전달하는 대한민국 대표 척추고생물학자입니다. KBS·SBS·YTN·EBS·MBC 등 여러 방송사의 프로그램 자문을 도왔고, 경남고성공룡엑스포·고성공룡박물관·목포자연사박물관·국립중앙과학관·서대문자연사박물관·국립과천과학관·안면도쥬라기박물관·이화여대자연사박물관의 전시 연출과 학술 자문을 해 오고 있으며, 청소년과 과학 영재를 위한 대중 강연과 소외 계층을 위한 과학 체험 교실을 운영한 바 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로 익룡 날개뼈와 돌고래 화석을 학계에 보고하였고, 우리나라 최초로 미국과 포르투갈 국제공룡화석산지 공동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아시아 최초 브라키오사우루스류 이빨 화석과 세계 최초 육식 공룡의 구애 행위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현재 몽골 타르보사우루스 골격 보존 처리 연구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40여 편의 SCI 국제 학술 논문과 30여 권의 공룡 전문 도서를 집필·번역·감수하였고 어린이과학동아·과학소년·과학쟁이·과학동아에 글을 기고하였습니다. 과학 대중화를 위한 노력을 인정받아 한국지구과학회 공로상(2017)을, 공룡 전시 연구를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2021)을 수상하였고, 우수과학도서상을 총 6회 수상하였습니다. 미국 캔자스대 박사, 캔자스주립자연사박물관 연구원,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BK21교수를 거쳤으며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장, 복원기술연구실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자연문화재연구실장(천연기념물센터장)으로 있으면서 끊임없이 공룡 이야기로 어린이들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백두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지질학으로 학사, 고생물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고 박사 과정을 수료했습니다. 2003년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건립부터 학예사로 활동하였고, 2013년부터는 전시교육팀장으로 지질 분야 전시 및 교육, 광물과 화석에 대한 기획전을 개최했습니다. 도서관 과학 강연 “10월의 하늘”과 어린이책 감수를 통해 대중에게 과학을 알려 왔습니다. 노원천문우주과학관 관장으로 우주를 연구하다, 현재는 기업 그래디언트에서 인공 지능을 이용해 과학을 쉽게 전달할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이한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식품공학과에 입학해서 식품생물공학과로 바뀐 후 석사를 받고, 생명공학과로 바뀌자마자 미생물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바이오벤처기업 제노포커스, 일본 도쿄대학, 미국 조지아 대학 등을 떠돌며 박사후 연구원으로 일하다가, 현재 부산 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공학과 교수이자 해양극한미생물연구소장으로 섬기고 있다. 평소 뭔가 좀 ‘다른 것’에 관심이 많았고, 그러다 극한미생물에 관심이 생겨서 한국극한미생물연구회의 창립을 주도했다. 현재는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극한미생물분과 총무간사를 6년째 섬기고 있다. 블로그 http://www.leehanseung.com 트위터 http://twitter.com/leehanseung
펼치기
김덕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졸업. 현재 동물병원에서 고양이 진료를 보며, 매일매일 고양이를 관찰하고, 이해할 수 없는 모습들에 괴로워하며 오늘도 부족함에 할 수 있는 것은 공부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임상 수의사. 그리고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고양이는 집에 사는 친구 ‘하루’라고 생각하는 바보 수의사.
펼치기
안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초파리를 모델생물로 신경계 발생을 연구한 생물학자이자, 과학을 재미있게 이해하는 방법을 항상 고민하는 과학교육학자이면서 생명의 언어로 소통하는 과학커뮤니케이터. 서울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서울과학고등학교 교사와 아주대학교 겸임교수, 성신여자대학교 초빙교수로 근무했고, 현재 중동고등학교 교사이다. 우수과학어린이 장관 표창을 받은 지 20여 년 만에 우수 과학교사 장관표창을 받은 특별한 이력이 있다. 우리 주변 생명체의 다양한 귀여움과 과학하는 즐거움을 함께 나누기 위해 치열하고 신나는 도전을 계속하고 있으며, 학술 연구와 대중 강연 등의 활동을 이어가는 중이다. 최근에는 유튜브 〈안주현의 지식 세포들〉, 〈안될과학〉, 삼프로TV 〈언더스탠딩〉, 〈과학하고 앉아있네〉 등의 채널에서 쾌활하게 과학을 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안주현의 과학 언더스탠딩 1』, 『십 대를 위한 생명과학 콘서트(공저)』가 있으며, 고등학교 교과서 『통합과학1·2』, 『과학탐구실험1·2』, 『기후변화와 환경생태』를 집필했다. 옮긴 책으로 『편견 없는 유전자』, 『진화의 렌즈로 본 생명의 아름다움(공역)』, 『과학의 역사(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정두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과학고를 졸업하고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에서 학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학원에서는 생물화학공학을 세부 전공으로 정하여 거미줄의 유전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 수집, 비교, 분류, 응용하는 생물정보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일하며 우리나라 연구개발 사업의 예산 조정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여가 시간에는 노래 부르기와 여행을 즐긴다. 앞으로도 ‘10월의 하늘’을 통해 미래의 과학자들을 만나고 싶다.
펼치기
이동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함춘불임유전연구센터 연구실장, 중원대학교 임상병리학과 겸임교수. 고려대학교 임상병리학과를 졸업하고,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인류유전학을 전공, 고려대학교 의생명융합과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부 졸업 후 현재 근무 중인 함춘불임유전연구센터에 입사해서 연구와 공부를 병행하고 있으며, 산전유전진단과 발생유전학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실적을 쌓아가고 있다.
펼치기
장재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생물과학과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석사를 마친 후 CJ제일제당의 연구소에서 20년 이상 미생물 연구를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래기술로서 암, 당뇨병, 비만, 치매 같은 불치병을 낫게 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신약 개발을 하고 있다. 작년 처음 ‘10월의 하늘’에서 강연하기 시작했고 이를 통해 청소년들을 과학자의 길로 이끌어주고 싶은 바람을 갖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8711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