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허상

허상(虛像)과 장미 1

(이병주 장편소설)

이병주 (지은이)
바이북스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허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허상(虛像)과 장미 1 (이병주 장편소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전 한국소설
· ISBN : 9791158772567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21-09-30

책 소개

나림 탄생 100주년 기념 이병주 선집 중 장편소설 『허상(虛像)과 장미 1』. 이병주 장편소설 『허상과 장미』는 ‘역사성과 대중성의 조화로운 만남’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병주의 소설이 대중적 흥미 유발만을 과녁으로 하지 않고, 거기에 그의 특장이라 할 역사성을 결부했을 때는 더욱 그렇다.

목차

1. 개나리
2. 배리의 꿈
3. 비어스 윌슨
4. 바위와 무지개
5. 화려한 함정(陷穽)
6. 전설(傳說)의 탄생(誕生)
7. 어떤 해후(邂逅)
8. 바람을 심어
9. 흐려진 무지개
10. 굴절(屈折)있는 풍경(風景)

저자소개

이병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1년 경남 하동에서 태어나 일본 메이지대학 문예과에서 수학했다. 1944년 대학 재학 중 학병으로 동원되어 중국 쑤저우에서 지냈다. 진주농과대학(현 경상대)과 해인대학(현 경남대)에서 영어, 불어, 철학을 가르쳤고 부산 《국제신보》 주필 겸 편집국장을 역임했다. 1961년 5·16이 일어난 지 엿새 만에 〈조국은 없고 산하만 있다〉는 내용의 논설을 쓴 이유로 혁명재판소에서 10년 선고를 받아 2년 7개월을 복역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강의하다 마흔네 살 늦깎이로 작가의 길에 들어섰으며 1992년 지병으로 타계할 때까지 한 달 평균 200자 원고지 1,000여 매 분량을 써내는 초인적인 집필로 80여 권의 작품을 남겼다. 1965년 「소설·알렉산드리아」를 《세대》에 발표하며 등단했고 『관부연락선』, 『지리산』, 『산하』, 『소설 남로당』, 『그해 5월』로 이어지는 대하 장편들은 작가의 문학적 지향을 보여준다. 소설 문학 본연의 서사를 이상적으로 구현하고 역사에 대한 희망, 인간에 대한 애정의 시선으로 깊은 감동을 자아내는 작품들은 세대를 넘어 주목받고 있다. 1977년 장편 『낙엽』과 중편 「망명의 늪」으로 한국문학작가상과 한국창작문학상을 수상했으며, 1984년 장편 『비창』으로 한국펜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4·19가 없으면 나라는 오늘의 존재가 없어지는 걸.”
전호의 이 말엔 여러 가지 복잡한 감회가 담겨져 있었다. 첫째 4·19가 없었다면 민덕기라는 학생이 없었을 것이고, 따라서 자기는 수학 교사가 되지 않았을 것이고, 형산 선생도 윤숙이도 몰랐을 것이다. 그런데 민덕기, 형산, 수학 교사, 윤숙이 이런 것이 오늘날 전호의 전부인 것이다. 게다가 최성애를 알게 된 것도4· 19 때문이다.
“그러나 과거는 과거, 현재는 현재, 이렇게 매듭이 있게 살아야 하잖아요? 차지도 덥지도 않은 과거라는 목욕탕에 흥건히 몸을 담가놓고 있는 것 같은 꼴이 아니꼽단 말예요.”
윤숙은 성애의 동의를 얻어야겠다는 듯이 성애 쪽을 보며 말했다.
성애는 그저 웃고만 있었다.
“사람이 덜 돼서 그런 걸 어떻게 해…….”
전호는 그 화제에서 벗어나고 싶었다.


바위에 무지개란 말이 생각이 났다. 형산이란 바위를 윤숙의 무지개 같은 마음이 움직일 순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형산은 손녀에게 대해 너무 불친절했다고 생각했던지 천천히 생각할 시간을 달라고 했다.
“돈이란 무서운 것이다.”
한숨을 섞어 이렇게 말해 놓곤 형산은 다음과 같은 얘기를 했다.
“중일 전쟁이 시작된 해던가 그 이듬해던가, 상해에서 임시 정부가 부지못할 때가 돼서 일부분이 장사(長沙)로 옮겼다. 그때 만주에서 얼마간의 돈을 보내왔다. 뒤에 알고 보니 그 돈은 어떤 개인이 개인에게 보내온 순전히 개인적인 돈이었다. 그러나 그 사람은 반을 모두를 위해 내놓고 반은 자기가 간수하고 있었던 것인데 임시 정부를 위해서 보낸 돈을 그자가 가로챘다는 풍문이 돌았다. 이런 풍문을 안그자는 불쾌하다는 감정으로 나머지 돈을 가지고 장사를 떠나버렸는데 혈기 방장한 사람들이 추격해서 구강(九江)이란 데서 그를 죽여버렸다. 그 일이 도화선이 돼서 죽이고 죽는 참극이 벌어지고 드디어는 수습 못할 정도로 분열되고 말았다.”
형산은 또 중경(重慶)에서 김구(金九) 선생이 장 총통(藏總統)으로부터 얼마간의 돈을 받고 있었는데 그 돈을 시기해서 모략과 중상이 그칠 사이가 없었다는 얘기도 했다.
“그래 나는 평생 생존할 정도 이상의 돈은 갖지 않겠다고 다짐을 했어. 가족과 의가 상하는 것도 돈 때문이고 친구와의 사이가 틀어지는 것도 돈 때문이고 배신자가 생겨나는 것도 돈 때문이고 분파(分派)가 돼서 아귀다툼을 하는 바탕에도 돈이란 게 있더구먼. 그리고 나는 어떤 운동, 어떤 활동도 돈이 있어야 되는 것이면 안 하기로 작정을 했던 거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