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전 한국소설
· ISBN : 9791158772567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21-09-30
책 소개
목차
2. 배리의 꿈
3. 비어스 윌슨
4. 바위와 무지개
5. 화려한 함정(陷穽)
6. 전설(傳說)의 탄생(誕生)
7. 어떤 해후(邂逅)
8. 바람을 심어
9. 흐려진 무지개
10. 굴절(屈折)있는 풍경(風景)
저자소개
책속에서
“4·19가 없으면 나라는 오늘의 존재가 없어지는 걸.”
전호의 이 말엔 여러 가지 복잡한 감회가 담겨져 있었다. 첫째 4·19가 없었다면 민덕기라는 학생이 없었을 것이고, 따라서 자기는 수학 교사가 되지 않았을 것이고, 형산 선생도 윤숙이도 몰랐을 것이다. 그런데 민덕기, 형산, 수학 교사, 윤숙이 이런 것이 오늘날 전호의 전부인 것이다. 게다가 최성애를 알게 된 것도4· 19 때문이다.
“그러나 과거는 과거, 현재는 현재, 이렇게 매듭이 있게 살아야 하잖아요? 차지도 덥지도 않은 과거라는 목욕탕에 흥건히 몸을 담가놓고 있는 것 같은 꼴이 아니꼽단 말예요.”
윤숙은 성애의 동의를 얻어야겠다는 듯이 성애 쪽을 보며 말했다.
성애는 그저 웃고만 있었다.
“사람이 덜 돼서 그런 걸 어떻게 해…….”
전호는 그 화제에서 벗어나고 싶었다.
바위에 무지개란 말이 생각이 났다. 형산이란 바위를 윤숙의 무지개 같은 마음이 움직일 순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형산은 손녀에게 대해 너무 불친절했다고 생각했던지 천천히 생각할 시간을 달라고 했다.
“돈이란 무서운 것이다.”
한숨을 섞어 이렇게 말해 놓곤 형산은 다음과 같은 얘기를 했다.
“중일 전쟁이 시작된 해던가 그 이듬해던가, 상해에서 임시 정부가 부지못할 때가 돼서 일부분이 장사(長沙)로 옮겼다. 그때 만주에서 얼마간의 돈을 보내왔다. 뒤에 알고 보니 그 돈은 어떤 개인이 개인에게 보내온 순전히 개인적인 돈이었다. 그러나 그 사람은 반을 모두를 위해 내놓고 반은 자기가 간수하고 있었던 것인데 임시 정부를 위해서 보낸 돈을 그자가 가로챘다는 풍문이 돌았다. 이런 풍문을 안그자는 불쾌하다는 감정으로 나머지 돈을 가지고 장사를 떠나버렸는데 혈기 방장한 사람들이 추격해서 구강(九江)이란 데서 그를 죽여버렸다. 그 일이 도화선이 돼서 죽이고 죽는 참극이 벌어지고 드디어는 수습 못할 정도로 분열되고 말았다.”
형산은 또 중경(重慶)에서 김구(金九) 선생이 장 총통(藏總統)으로부터 얼마간의 돈을 받고 있었는데 그 돈을 시기해서 모략과 중상이 그칠 사이가 없었다는 얘기도 했다.
“그래 나는 평생 생존할 정도 이상의 돈은 갖지 않겠다고 다짐을 했어. 가족과 의가 상하는 것도 돈 때문이고 친구와의 사이가 틀어지는 것도 돈 때문이고 배신자가 생겨나는 것도 돈 때문이고 분파(分派)가 돼서 아귀다툼을 하는 바탕에도 돈이란 게 있더구먼. 그리고 나는 어떤 운동, 어떤 활동도 돈이 있어야 되는 것이면 안 하기로 작정을 했던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