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의학
· ISBN : 9791158773717
· 쪽수 : 374쪽
· 출판일 : 2024-03-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역자 서문
책에 대한 찬사
감사의 글
고마운 분들
소개의 글
1. 헬스케어의 가혹한 현실
시스템의 문제다 | 결정의 순간 | 인문학 그리고 과학으로서의 의학 | 이성주의와 회복탄력성 | 의료계의 가혹한 현실 | ‘해를 끼치지 말라’는 암묵적 의미 | 정신의 극심한 고통 | 미래를 위해 자신을 돌보기
2. 생존하기를 멈추고, 번영하기를 시작하자
웰빙의 기술 | 번영으로 이동 | 어떤 행동이 웰빙을 키울까? | 심리적 안전
3. 자기 조절
자기조절의 의미 | 자기 조절을 위한 3가지 방법 | 마음의 명료함 | 정서적 문해력 | 자기인식 | 요약
4. 나 자신에 대해 알기
왜 나를 아는 것이 중요할까? | 나를 아는 방법 | 삶의 의미를 찾는 방법 | 자신의 이야기를 재구성해 신념에 반응하기 | 가치를 선택하면 그 가치가 당신을 움직이게 한다 | 나의 가치를 찾는 방법 | 요약
5. 스트레스 줄이기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요인 구별하기 | 스트레스 요인은 스스로 관리해야 한다 | 스트레스가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다 | 몸은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단 하나의 생리적 반응을 가지고 있다 | 스트레스를 인식하는 것 | 활성화의 최고점 찾기 | 통제감은 스트레스의 느낌을 줄여준다 | 스트레스 반응과 이완 반응의 균형 맞추기 | 내면의 목소리 | 시련은 주어진 것이고, 고통은 선택 사항이다 | 심리적 욕구 | 자신을 돌보는 방법 | 마음챙김, 스트레스 반응, 그리고 불편함을 견디는 것 | 그린존에 좀 더 머물도록 돕는 여섯 가지 습관 | 요약
6. 감성 지능과 민첩성
의사들과 이성적인 생각 | 감성 지능 | 정서적 민첩성 | 그래서 감정이란 무엇인가? | 감정을 해소하는 방법 | 자극과 반응 사이에 공간을 이용하기 | 감정과 기억, 뇌의 부정적인 편견 | 감정 습관 | 의식적으로 감정을 관리하기 | 감정은 취약성을 불러일으킨다 | 나는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알고 싶지 않다 | 불안, 죄책감, 수치심에 대응하는 방법 | 요약
7. 효과적인 의사소통
효과적인 의사소통이란 무엇인가? |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은 관심 | 당신의 의사소통 습관에 관해 알아가는 방법 | 왜 의료에서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중요한가? |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 뛰어난 의사소통의 조건 |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기술 | 공감이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만드는가? | 공감만 하는 것보다 연민이 의사로서의 삶을 더 지속 가능하게 만든다 | 피드백 | 피드백 주기 | 피드백 받기 | 지속적인 피드백 | 요약
8. 지혜롭게 연결하기
외롭다고 느끼는 것 | 믿을 수 있는 사람 | 관계는 우리를 보호한다 | 직장 동료와 연결되는 것 | 당신의 관계들 | 의료계의 일원이 되는 것 | 공동체(Tribe)를 찾아라 | 도움을 요청하기 | 제발 혼자 고통받지 말아라 | 후회 | 나만의 최고 삶을 디자인하라 | 요약
9. 균형 유지
잘나가는 의사가 되기 위한 32가지 기술
에필로그
저자소개
책속에서
어떤 사람을 잘나가는 의사(thriving doctor)라고 할 수 있을까? 동료 중 일부는 의사 생활에서 더 고통받는 것 같다는 것을 느낀 적 있는가? 물론 어떤 동료는 그들의 일 때문에 전혀 고통을 받지 않는 것도 느낄 것이다. 심지어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며, 일을 즐기는 것 같아 보이는 경우도 있다.
그들은 무엇이 다를까?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단순히 질병이나 허약함이 없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웰빙 상태
WHO는 건강을 현재 모든 사람이 달성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인권으로 생각하고, 완전한 자신의 건강 상태가 지속적인 미래 건강을 위한 최고의 기회를 만든다고 말한다.
웰빙의 기술은 배울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기술은 단지 건강한 것을 넘어 더욱 많은 일을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증거가 많이 있다. 이는 의료 분야에서 스스로 만족스럽고 더 나아가 즐겁고 지속가능한 경력을 쌓도록 도와준다. 높은 성과와 웰빙은 서로를 가능하게 한다. 스스로 자유의지를 키울 때 균형 잡힌 삶을 살 수 있다. 웰빙의 기술을 구축하면서 일을 하게 되면, 일하는 동안 당신은 최고의 삶을 디자인할 수 있다.
당신은 의사가 되면서 이미 어느 정도 사람의 고통 앞에서 기꺼이 행동하기로 결정했을 것이다. 스트레스 요인은 당신이 하는 일에 내재되어 있다. 당신은 다른 사람들의 고통과 함께하면서도 자신의 고통은 무시하지는 않았는가? 당신의 스트레스 반응이 활성화되면, 당신의 본능은 스스로를 안전하게 하기 위해 저항하거나 도망치게 할 것이다. 이렇듯 자신의 불편함 속에 머무르는 것은 직관에 반하는 것처럼 보인다. 자신의 내적 경험에 머물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
사람은 불편함을 참기보다는 마약, 술, 운동, 음식, 게임, 포르노, 소셜 미디어를 통한 끝없는 스크롤, 바쁘게 지내는 등으로 자신의 주의를 돌리거나 무감각하게 만든다. 이러한 주의산만과 회피 전술은 단기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들은 당신이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것에서 멀어지게 한다. 당신을 레드존에 있게 하고, 교감 신경 우위에 갇히게 하고, 분리시키고, 단절시키고, 고립시키고, 정말로 중요한 것들로부터 지쳐 떨어지게 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한다. 나는 하루를 시작하기 위해 아침에 커피를 마시며, 밤에 잠을 잘 수 있도록 와인을 마시고, 쉬는 날의 여가시간을 머리 쓸 필요가 없는 일로 채워 내면의 비평가를 익사시키는 많은 의사들을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