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을목회개론

마을목회개론

강성열, 김도일, 김주용, 노영상, 안광현, 이준우, 정균오, 정재영, 조용훈, 조재석, 한경호, 한국일 (지은이)
킹덤북스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980원
17,8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을목회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을목회개론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목회일반
· ISBN : 9791158861858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0-07-10

책 소개

총회한국교회연구원 마을목회 시리즈 14권. '마을목회'는 신학자들이 책상머리에서 만들어 낸 목회신학이 아니며, 현장의 목회자들의 목회를 바탕으로 하여 구성된 실천적 방안이다.

목차

발간사 / 이사장 채영남 목사 4

제1부 | 마을 공동체 만들기와 마을목회

제1장 ‘마을목회’ 운동을 펼치며 11
- 노영상 원장(총회한국교회연구원)
제2장 마을 교회와 마을목회의 실제 73
- 정재영 교수(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제3장 마을 공동체와 공동체 교회 105
- 조용훈 교수(한남대학교)
제4장 마을목회, 마을 학교에 관한 기독교 교육적 고찰 130
– 김도일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

제2부 | 마을목회와 기독교의 선교

제5장 선교적 교회와 마을목회 163
- 한국일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
제6장 도시 선교와 마을목회 운동 188
- 김주용 목사(연동교회)
제7장 농어촌 선교와 마을목회 212
- 강성열 교수(호남신학대학교)
제8장 세계 선교와 마을목회: 캠프를 통한 세계 선교 이야기 235
– 정균오 선교사(러시아 볼고그라드)

제3부 | 마을목회와 지역 사회

제9장 주민 자치 시대의 교회 역할과 마을목회 270
- 안광현 교수(유원대학교)
제10장 지역 사회 복지와 마을목회 306
- 이준우 교수(강남대학교)
제11장 협동조합 운동과 마을목회 351
- 한경호 목사(횡성영락교회)
제12장 사회적 경제와 마을목회 379
- 조재석 교수(대구한의대학교)

미주 227

저자소개

강성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B.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과 대학원(Th.M./Th.D.)에서 공부했다. 현재 호남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이며 생명의망잇기 협동조합 대표로 있다. 옮긴 책으로 『성서로 보는 결혼 은유』(성광문화사), 『현대인을 위한 창세기 강해』(한국장로교출판사), 『고대 근동 세계와 이스라엘 종교』(한들출판사), 『기독교 신앙과 카오스 이론』(대한기독교서회), 『강성열 교수의 구약 설교』(이레서원) 등을 썼으며, 『사해문서 1-4』(나남출판사), 『성전신학』(새물결플러스) 등이 있다.
펼치기
김도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장로교 목사이며 기독교교육학자이다. 청년시절 미국에 이민을 가서 이민목회를 하였다. Biola University에서 기독교교육학 학사 및 석사,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석사, Presbyterian School of Christian Education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 회장과 한국컴패션 감사를 역임하였고,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기획정보처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대외협력처장으로 장신대를 섬기면서 기독교교육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 교수 Biola University 기독교교육학 학사 및 석사(B.A. M.A.)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신학 석사 (M.Div.) Presbyterian School of Christian Education 종교교육학 박사 (Ed.D.) 저서와 역서 『교육인가 신앙공동체인가?』,『맑은 영성 맑은 가르침』(저서) 『신학이란 무엇인가』, 『교회란 무엇인가?』, 『기독교교육에 생기를 불어넣는 일곱 주제: 희망』(공저) 『기독교교육을 위한 교육철학』, 『창조적인 말씀을 통한 기독교교육』, 『제자직과 시민직을 위한 기독교교육』, 『예수의 가르침에 나타난 방법과 메시지』, 『기독교적 양육』, 『발달주의적 시각으로 본 기독교적 양육』, 『종교교육사회론』 (역서)
펼치기
노영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B.S.)와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M.Div., Th.M., Th.D.)에서 공부하고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호남신학대학교 총장, 백석대학교 교수, 한국기독교학회 회장, 전국신학대학협의회 회장, 숭실사이버대학교 이사장, 총회한국교회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지금은 한국외항선교회 상임회장, 바이블아카데미 총장, 사학윤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섬기고 있다. 저서 『영성과 윤리』(1991), 『경건과 윤리』(1994), 『예배와 인간행동』(1996), 『기독교와 미래사회』(2000), 『성경나무 기르기』(2002), 『기독교 생명윤리 개론』(2004), 『녹색영성』(2004), 『기독교 사회윤리 방법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2006), 『기독교와 생태학』(2006), 『마가복음에 피어오른 구원 무지개』(2007), 『미래교회와 미래신학』(2009), 『하나님의 세븐 게이트』(2013), 『복이 될지라』(2014), 『영원한 생명』(2014), 『마을목회 매뉴얼』(2017) 등의 책들을 저술하였으며, 『교회와 사회』, 『현대신학과 기독교윤리』, 『기독교윤리학 개론』, 『현대 생태신학자들의 신학과 윤리』, 『소극적 안락사 무엇이 문제인가』, 『동성애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 Church, Called Out to Serve the World, 『마을교회와 마을목회(이론편)』, 『개혁교회 전통의 교회법과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교회법에 대한 비교연구』, 『마을교회와 마을목회(실천편)』, 『우리 민족과 한국교회』, 『민족과 함께 한 우리교회 이야기』 등의 책들을 펴냈다. 『조나단 에드워드의 철학적 신학』, 『기독교사회봉사 입문』, 『21세기 과학과 신앙』 등의 책들을 번역하였다. 수상 등 1981년 2월/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식에서 ‘총회장상’ 수상 2017년 8월 31일/ 정부(문재인 대통령)로부터 ‘황조근정훈장’ 수여 2018년 3월 17일/ 칼빈 탄생 500주년 기념사업회로부터 ‘2018년 올해의 신학자상’ 수상 2018-2019년/ 세계의 주요 인명사전 중 하나인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에 이름이 등재됨 2018년 11월 4일/ (사)한국장로교총연합회에서 수여하는 ‘2018 자랑스러운 장로교인상(학술부문)’ 수상 2019년/ ‘Albert Ne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를 수상함 2019년/ 『2019 한국인물사전』(연합뉴스)에 등재
펼치기
조용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독일 Bonn 대학에서 기독교윤리 전공으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한남대학교 기독교학과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재직 중 교목실장 및 학제신학대학원장과 한남대학교회 담임을 맡아 사역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마을공동체와 교회공동체』(2017)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글로벌 재난 시대를 위한 지구윤리의 도덕적 특징에 대한 기독교적 연구”(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정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공부하고 대학원에서 종교사회학을 전공하여 한국 교회 소그룹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이고 ‘21세기교회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으며, 한국종교사회학회 회장과 목회데이터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섬기고 있다. 《계속되는 도전: 늘어나는 비제도권 교회》, 《강요된 청빈: 목회자의 경제 현실과 공동체적 극복 방안》, 《교회 안 나가는 그리스도인: 가나안 성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등을 저술했다.
펼치기
정재영의 다른 책 >
한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준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사이면서 교수이고 사회복지사다. 대학 시절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마주한 농인들과의 만남을 시작으로 장애인복지, 교회를 중심으로 펼치는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해왔다.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와 대학원 교수로 있으면서 ‘사람과 세상을 변혁시키며 행복을 창출하는 연구자로서의 삶’을 지향한다. ‘비전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라고 생각하며 끊임없이 도전하는 사회복지사, 열정이 넘쳐나는 수어통역사, 능력 있는 말씀을 선포하는 목사, 고뇌하며 연구하여 가르치는 교수로 활발히 활동해온 경험을 살려 삶 속에서 ‘복지선교’와 ‘복지목회’, ‘복지경영’,‘장애인복지와 재활’, ‘수화언어 연구’ 사역을 소명으로 실천해나가고 있다. 총신대학교 종교교육학과 졸업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실천신학(M.Div. Equi.)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박사(MA, Ph.D) 미국 사우스웨스턴침례신학대학원 목회학 박사(D.Min)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지구촌교회 수어예배부 지도목사 강남대학교 융복합대학원 원장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수화언어통번역학과 주임교수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설 복지공감연구소 소장 사단법인 한국자원복지재단 대표이사
펼치기
김주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는 복음의 상황화에 깊은 관심을 두고 신앙의 주변부에 자리하는 다양한 이야깃거리(세계화의 전체적 이슈들과 과학과 신앙의 대화에 관한 문제, 도시재생을 위한 생태마을운동, 식탁공동체로 이뤄지는 신앙의 이야기들)에 질문을 던진다. 일상과 신앙의 삶이 일치하고 말씀과 찬양이 행동과 실천으로 이어지며, 교회와 세상이 분리되지 않는 목회를 지향하는 목회자이기도 하다. 또한 하나님과 나, 나와 이웃, 우리와 창조 세계 사이에 참된 화해가 이뤄질 때 진정한 하나님 나라의 완성이 이뤄져 갈 것을 꿈꾸며, 목회의 현장과 신학을 연결하고자 노력한다. 그는 예수가 시장 한복판에서 복음을 외쳤던 것처럼 교회도 세상 한가운데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연어가 강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듯, 세상과 다른 길을 걷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실천하고자 연동교회의 목회 사명을 이끌고 있다. 성균관대학교(B.S)와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 Th.M)을 졸업하고, 미국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MATS)와 Lutheran School of Theology in Chicago (Ph.D)에서 공부했다. 상황화신학자인 로버트 슈라이터 교수의 지도 하에 선교신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화해의 신학(Theology of Reconciliation)을 전공했다. 시카고 기쁨의교회 담임목사를 역임했고, 현재는 연동교회 8대 담임목사로 섬기고 있다.
펼치기
김주용의 다른 책 >
정균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러시아에서 30년 동안 사역한 선교사다. 1994년에 새문안교회 후원,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파송 러시아 선교사로 사역을 시작했다.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한국 선교사들과 초교파로 협력하여 블라디보스토크 장로회신학교를 설립했다. 블라디보스토크 장로회신학교와 노회를 러시아 정부에 등록하여 장로교회의 법적 기초를 놓았다. 2003년에 러시아 볼고그라드(스탈린그라드)로 이동하여 기독교 문화센터 ‘세상의 빛’을 설립했다. ‘세상의 빛 한글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고려인협회와 협력하여 고려인 어린이캠프와 실버캠프 사역을 하고 있다. 고려인들이 거주하는 마을에서 고려인 교회를 개척하였다. 러시아 복음주의 침례교회와 함께 동역 목회 사역과 선교사학교 사역과 북한선교 사역을 하고 있다. 러시아 기독교 복음주의 믿음(РЦХВЕ)교단과 함께 호렙 중독자 갱생원을 섬기고 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사역할 때 온누리교회 하용조 목사로부터 BEE를 소개받아 BEE(Biblical Education by Extension)사역을 했다. 볼고그라드에서 TEE-KOREA와 함께 TEE(Theological Education by Extension) 사역을 하고 있다. 일대일제자양육 성경공부와 큐티 운동을 통해 러시아 교회에 말씀 운동을 벌이고 있다. 2020년에 장로회신학대학교 객원교수로 사역했다. 2008-2023년에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통합) 선교사훈련원 교수와 부원장으로 사역했다. 2024년부터 총회 선교사 훈련원 원장으로 사역하고 있다. 아세아연합신학대학 신학과(B.A.) 졸업, 장로회신학대학 신학대학원(M.Div., Th.M.),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에서 박사학위(Th.D. in Ministry)를 받았다. 박사학위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다. 2021년에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에서 장한 동문상을 받았다. 저서로 『마을목회개론』(공저/킹덤북스), 『온화한 미소의 사람 김동익』, 『유라시아 선교 꽃피다』(공저/출간 예정)가 있다.
펼치기
조재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한의대학교 교수
펼치기
안광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유원대학교 교양융합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San Francisco Theological Seminary MATS, 숭실대학교 행정학박사를 받았다. 주요 경력으로는 (사)공공자치학회 회장, 대통령직속 TFT 자치분권전략회의 위원, 서울시 공익사업평가위원회 분과위원장, (사)한국다문화협회 부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지속가능연구원장, 지방자치아카데미원장을 맡고 있다. 주민의 자치, 세계화와 한국지방자치 등 17권의 저서와 <행정구역 통합과정의 비교 분석>, <기초지방선거부패와 부패방지방안>, <다문화가족 지원정책 기본계획에 관한 비판적 고찰> 등 다수의 논문이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지방자치, 리더십, 다문화 및 통일(탈북민)정책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발간사]

총회한국교회연구원 ‘마을목회’ 시리즈 14번째 책으로 『마을목회개론』을 발간할 수 있도록 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오늘날 한국교회의 목회 환경에는 많은 장애들이 내재하여 있습니다. 급속한 사회의 변화에 따라 공동체성은 약화되고 있으며, 교회의 신뢰도는 계속 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우리 교단의 교회들은 그간 여러 방향의 노력을 해왔습니다. 총회와 본 교단에 소속된 신학자들은 이런 교회의 노력들을 수집하여 관찰하여 왔으며, 그 내용들을 ‘마을목회’라는 한 개념으로 묶을 수 있었습니다. 마을목회는 ‘하나님의 진정한 사랑으로 마을을 품고 세상을 살리는 목회’로 정의되는바, 지역 사회 친화적 목회로서 지역을 중심에 품고 전지구적 사역으로 확장되는 글로컬한 목회 방안인 것입니다.

이와 같이 ‘마을목회’는 신학자들이 책상머리에서 만들어 낸 목회신학이 아니며, 현장의 목회자들의 목회를 바탕으로 하여 구성된 실천적 방안입니다. 예전에 있었던 여러 한국적 신학들은 대부분 신학자들의 노력에만 의존하는 신학이었지만, 현재 우리 교단이 제시하는 ‘마을목회’는 목회자들의 현장에서의 실천과 신학자들의 반성이 함께 어우러진 신학인 것입니다.
본 교단은 제98회기 총회에서 ‘치유와 화해의 생명 공동체 운동 10년’이라는 장기 정책(2012~2022)을 채택하였습니다. 이후 6년째를 맞이하던 2017년부터 구체적인 실천을 위해 이 운동을 ‘마을목회위원회’라는 기구를 통해 재구조화한 바 있습니다. 마을목회가 현 시대의 중요한 과제임을 인식하고 위원회를 구성하여 이런 운동을 펼쳐나가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운동을 펼치는 중 연구원에선 총 16권의 마을목회 관련 책을 발간하였습니다. 한국신학사에 있어 한 연구기관이 어떤 한 주제의 책을 16권 정도로 발간한 적은 별로 없었습니다. 이와 같이 마을목회에 관한 연구 결과물들이 축적되면서 본 연구원은 마을목회를 바르게 알릴 필요가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으며, 이에 이 개론서를 펴내게 된 것입니다.

마을목회는 작은 교회나 농어촌 교회의 목회 전략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늘날 공동체가 더 파괴된 곳은 도시입니다. 이에 도시에서의 마을목회가 더 중요한 것으로, 우리는 우리의 도시 곳곳에서 마을목회의 진작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오늘 우리 한국 사회의 근원적 문제는 우리의 행복론이 너무 개인주의적이라는 데에 있습니다. 우리는 이 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우리의 행복론을 공동체적인 것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런 노력 중 하나가 마을목회 운동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마을목회를 실천하는 있어 중요한 점은 연대와 네트워킹입니다. 마을목회는 지역의 교회들이 연합하며 지역의 기관들과 소통하고 의논하며 지역의 문제를 함께 개선해 나감을 통해, 지역을 건강하고 행복하며 안전한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마을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분리되어 살 수 없는바, 마을목회는 공동체적 참여와 공생적 협력 관계를 강조합니다. 지역 내 각각의 교회들이 경쟁적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 보편적 교회 안에서 하나의 유기체를 이루어야 합니다. 이번 발간되는 마을목회 개론서가 한국교회가 개교회주의를 탈피하여 지역 사회와 함께하며 지역의 교회들을 서로 연대하게 하는 데에 밑거름이 되길 바라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발간을 위해 수고해주신 모든 필진들에게 깊은 감사의 말을 드립니다. 이 개론서를 위해 공헌하여 주신 분들은 대부분 우리 연구원에서 발간된 책들에 글을 내주시거나 책을 출간해주신 분들로, 이 개론서에 실린 글들은 이전에 썼던 책들의 내용을 대부분 축약하고 발전시킨 것입니다. 아울러 이 자리를 빌어 총회한국교회연구원의 이사님들과 원장 노영상 목사, 실장 김신현 목사, 간사 구혜미 목사 및 기념작을 만들어주신 킹덤북스(Kingdom Books) 대표 윤상문 목사님께도 심심한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이 개론서를 통해 ‘마을목회’가 한국교회에 활성화되기를 진심으로 소망합니다.

이사장 채영남 목사/ 총회한국교회연구원, 본향교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