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시 읽는 조선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

다시 읽는 조선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

(한국 근대교육, 어떻게 생성 변화해갔나?)

윤건차 (지은이), 심성보, 이명실 (옮긴이)
살림터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시 읽는 조선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시 읽는 조선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 (한국 근대교육, 어떻게 생성 변화해갔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0233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16-08-29

목차

차례
서문
서장 조선근대의 전제
-유교적 사회구조와 과거科擧·구교육舊敎育
1. 근대의 시작과 유교적 사회구조 18
2. 과거와 구교육 23

제1장 근대사상의 형성과 민족운동의 전개

Ⅰ. 개국 전후의 사상적 갈등
1. 서구 열강의 침입과 ‘위정척사’사상 38
2. 개국과 ‘동도서기’론 41

Ⅱ. 개화파의 계몽활동과 교육사상
1.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 51
2. 개화파의 계몽활동과 개화교육사상의 특징 61

Ⅲ. 근대교육의 시작과 갑오농민전쟁
1. 근대교육에 대한 민간 및 정부의 노력 74
2. 미국인 선교사의 조선 입국과 기독교계 학교 및 육영공원의 창설 79
3. 갑오농민전쟁과 동학운동: 근대교육에 대한 소극적 인식 93

제2장 근대학교의 설립과 추진 과정

Ⅰ. 갑오개혁과 교육개혁
1. 갑오개혁의 실시와 역사적 의미 116
152*224.indd 12 16. 8. 19. 오후 4:46
2. 교육개혁의 기본적 성격 124
3. 민비시해사건과 의병투쟁의 전개 135

Ⅱ. 독립협회와 교육계몽운동
1. 독립협회운동의 사상 137
2. 독립협회의 교육·학문론과 역사적 성격 148
3. 독립협회의 대중 토론회와 정치투쟁 162

Ⅲ. 정부의 근대학교 추진과 유학생 파견 사업
1. 학부 행정의 보수성 169
2. 정부의 근대학교 추진 과정 174
3. 관비 유학생의 파견 186

Ⅵ. 기독교계 학교와 기독교 포교의 확대
1. 기독교계 학교의 전개와 특징 191
2. 조선에서 기독교 포교의 의미 205
3. 기독교계 학교의 교육사적 의의 210

Ⅴ. 일본의 교육 침략과 일어학교
1. 일본의 조선교육론과 일어학교의 설립 215
2. 경성학당의 침략적 본질 223
3. 일본어의 침략성과 식민지 교육론의 형성 229

Ⅵ. 개화 지식인의 형성과 민족계 사립학교의 설립
1. 사회구조의 전환과 기성 지식인의 자기변혁 232
2. 일본 유학과 신지식인의 형성 243
3. 개화 지식인의 민족계 사립학교 설립 247

Ⅶ. 교육개혁 좌절의 배경
1. 구교육기관의 방치와 봉건적 사유의 지속 251
2. 교육개혁 좌절의 요인 256
152*224.indd 13 16. 8. 19. 오후 4:46

제3장 ‘보호조약’의 강요와 저항의 교육

Ⅰ. 반일의병투쟁과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1.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정책과 조선 민중의 국권회복운동 296
2. 반일의병투쟁의 사상적 제약 304
3.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309
4. 애국계몽운동의 사상적 기반 323
5. 애국계몽운동의 역사적 성격 331

Ⅱ. 통감부의 교육정책과 식민지 교육의 부식扶植
1. 교육행정권의 장악과 ‘모범교육’ 338
2. 통감부의 각종 학교정책과 고등교육의 억압 344
3. 통감부 교육정책의 침략적 본질 354
4. 식민지 교육에 대한 조선 민중의 반발 364

Ⅲ. 애국계몽운동의 교육사상과 교육구국운동의 전개
1.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운동 368
2. 애국계몽운동의 교육사상 371
3. 교육구국운동과 사립학교의 설립 385
4. 민족교육의 실천 400
5. 교육구국운동의 한계 412

Ⅵ. 애국계몽운동과 교육구국운동의 역사적 의의
1. 애국계몽운동의 한계와 국문운동·교육운동의 전개 417
2. 애국계몽운동의 윤리·도덕적 성격 424
3. 일본 유학생의 근대학문 섭취와 근대 내셔널리즘의 형성 429
152*224.indd 14 16. 8. 19. 오후 4:46

종장 ‘병합’ 후의 교육과 민족운동
-1910년대의 교육과 3·1독립운동
1. 일본제국주의의 조선 ‘병합’과 교육의 전개 460
2. 항일 주체의 형성과 3·1독립운동 473

결론 479
저자 후기 486
역자 후기 491
찾아보기 496

저자소개

윤건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4년 교토에서 태어난 재일조선인 2세다. 1968년에 교토대학을 졸업했으나 재일조선인이라는 이유로 취업하지 못했다. 도쿄대학 대학원에 진학하여 「조선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민족문제와 한일관계를 평생 화두로 삼아 일본 근대사상사, 한국 현대사상사, 근대 한일관계사, 재일조선인사 등 방대한 연구를 해왔다. 32년간 재직한 가나가와대학을 정년퇴직하고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우리말로 번역된 저서로 『한국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 『현대일본의 역사의식』, 『일본: 그 국가·민족·국민』, 『현대 한국의 사상흐름』, 『한일 근대사상의 교착』, 『교착된 사상의 현대사-1945년 이후의 한국·일본·재일조선인』 등이 있다. 「조선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의 내용을 수정하고 다듬어 30여 년 만에 다시 출간하는 의도는 여전히 “인간의 사고나 행동을 규정하는 교육을 사회의 기본 구조나 사회제도, 정치체제, 경제, 법률, 도덕, 학문, 종교 그리고 열강의 침략과 민족운동의 전개 등 모두를 포함하는 사회적 제 관계의 복합으로 파악하고, 역으로 그러한 교육으로 형성된 인간이 사회와 역사에 미치는 영향력을 역동적으로 해명하는” 것이다.
펼치기
심성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거시적·장기적 교육 전망과 현장에서의 미시적·단기적 실천이 분리되지 않는 ‘실천적 이론가’와 ‘이론적 실천가’를 꿈꾸고 있다. 이상주의(idealism)와 현실주의(realism)가 분리되지 않는 변증법을 굳게 믿고 실천하면서 교육이론 운동과 교육실천 운동의 두 갈래 길을 놓치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최근 『진보주의 교육의 세계적 동향』,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세계적 동향과 전망』, 『마을교육공동체운동의 세계적 동향과 과제』, 『민주학교의 탄생』, 『시민이 만드는 교육 대전환』, 『교육사상가의 삶과 교육사상』을 공동으로 펴냈다. 또한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21세기 교육과 민주주의』, 『프레이리와 교육』, 『존 듀이와 교육』, 『진보주의 교육운동사』, 『세계시민교육』, 『사랑의 교육학』, 『다시 읽는 민주주의와 교육』, 『세계의 대안교육』의 번역에 참여했다. 2018년 정년 퇴임 후에는 『한국 교육의 현실과 전망』, 『교육과정에서 왜 지식이 중요한가』, 『코로나 시대, 마을 교육공동체운동과 생태적 교육학』, 『프레이리에게 변혁의 길을 묻다』를 펴냈다. 현재 부산교대 명예교수로서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이사장, 한 국교육개혁전략포럼 대표, 마을교육공동체포럼 이사 등 다양한 역할을 하면서 교육과 사회의 동시적 변혁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촛불혁명의 미완성 과제와 코로나 사태의 발생으로 새로운 과제가 대두하면서 대한민국의 다중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사상을 모색하고 이를 실천하려고 한다. 저자는 1995년 5·31교육개혁이 신자유주의적 문명화 시도였다면 지금은 지속가능한 포용적·공동체적·생태적 문명으로의 이동을 위한 사회 및 교육 체제의 거대한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며, 한국교육의 전면적 전환을 위한 총체적 교육사상의 정립과 다면적 실천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함을 강조한다. 또 100여 년 전 기술적 근대화(개화파)와 토착적 근대화(개벽파)가 분열되어 일제 식민지화를 초래했듯 제2의 식민지화를 막으려면 한국의 미래교육 100년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지금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내란 이후의 대안적 세상을 여는 혁신적·변혁적 교육 및 운동임을 역설한다.
펼치기
이명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교수 일본 쓰쿠바대학(筑波大学)에서 일제강점기 사회교육사에 관한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 한일 교육관계의 역사와 현대 일본교육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한국일본교육학회 및 한국교육학회 이사, 한국교육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논저로 『논쟁으로 보는 일본 근대교육의 역사』(살림터, 2017), 『근대한국 교육개념의 변용』(공저, 학지사, 2020), 『일본의 세계시민교육』(공저, 학지사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