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착된 사상의 현대사

교착된 사상의 현대사

(1945년 이후의 한국.일본.재일조선인)

윤건차 (지은이), 김응교, 서민교, 박진우, 최종길, 유지아 (옮긴이)
창비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1,50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착된 사상의 현대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착된 사상의 현대사 (1945년 이후의 한국.일본.재일조선인)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36482480
· 쪽수 : 625쪽
· 출판일 : 2009-07-17

책 소개

한국 지식인의 이념적 지형도를 제시해 큰 화제를 모았던 재일 조선인 학자 윤견차 교수가 자신의 사상사 연구를 종합한 책이다. 1945년 해방 이후 현재에 이르는 한일 지식사회의 모습을 재일조선인의 관점으로 객관화하여 정밀하게 포착, 제시하고 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일본어판 서문

1장 새로운 동시대사로의 출발 : 일본 패전과 조선 해방 1945~46
2장 사상 재건의 모색 : 일본과 한국의 엇걸림 1947~54
3장 냉전체제하에서 상호인식의 구조 1955~64
4장 국교수립과 상호이해의 곤란 1965~79
5장 한국민주화투쟁과 상호인식의 갈등 1980~89
6장 탈냉전시대와 탈식민지화의 과제 1990~현재

결론을 대신하여
기억과 시선, 그리고 사상을 논하는 것의 의미

인터뷰-나의 '사상체험'
옮긴이의 말
현대사 연표 - 남북한.일본.재일조선인
인용문헌
인명색인

저자소개

윤건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4년 교토에서 태어난 재일조선인 2세다. 1968년에 교토대학을 졸업했으나 재일조선인이라는 이유로 취업하지 못했다. 도쿄대학 대학원에 진학하여 「조선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민족문제와 한일관계를 평생 화두로 삼아 일본 근대사상사, 한국 현대사상사, 근대 한일관계사, 재일조선인사 등 방대한 연구를 해왔다. 32년간 재직한 가나가와대학을 정년퇴직하고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우리말로 번역된 저서로 『한국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 『현대일본의 역사의식』, 『일본: 그 국가·민족·국민』, 『현대 한국의 사상흐름』, 『한일 근대사상의 교착』, 『교착된 사상의 현대사-1945년 이후의 한국·일본·재일조선인』 등이 있다. 「조선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의 내용을 수정하고 다듬어 30여 년 만에 다시 출간하는 의도는 여전히 “인간의 사고나 행동을 규정하는 교육을 사회의 기본 구조나 사회제도, 정치체제, 경제, 법률, 도덕, 학문, 종교 그리고 열강의 침략과 민족운동의 전개 등 모두를 포함하는 사회적 제 관계의 복합으로 파악하고, 역으로 그러한 교육으로 형성된 인간이 사회와 역사에 미치는 영향력을 역동적으로 해명하는” 것이다.
펼치기
김응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문학평론가. 일본 문학과 일본에 관한 책으로 『일본적 마음』, 『백년 동안의 증언―간토대지진, 혐오와 국가 폭력』, 『일본의 이단아―자이니치 디아스포라 문학』, 『韓國現代詩の魅惑』(東京: 新幹社, 2007) 등을 썼다. 다니카와 ㅤㅅㅠㄴ타로 시선집 『이십억 광년의 고독』, 양석일 장편 소설 『어둠의 아이들』, 『다시 오는 봄』, 오스기 사카에의 『오스기 사카에 자서전』 등을 우리말로 옮기고, 고은 시선집 『いま,君に詩が來たのか: 高銀詩選集』(東京: 藤原書店, 2007)를 사가와 아키와 함께 일본어로 옮겼다. 시집 『부러진 나무에 귀를 대면』, 『씨앗/통조림』, 네 권의 윤동주 연구서 『처럼―시로 만나는 윤동주』, 『나무가 있다―윤동주 산문의 숲에서』, 『서른세 번의 만남―백석과 동주』, 『윤동주 문학지도―걸어가야겠다』 등을 썼다. 『동아일보』에 “동주의 길”, 『서울신문』에 “작가의 탄생”, 『중앙일보』에 “김응교의 가장자리”를 연재했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순헌칼리지 교수이고, 신동엽학회 학회장이다. 샤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 대산문화재단 외국문학 번역기금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서민교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동양사(일본사) 석사과정을 수료한 후, 일본 히토쓰바시대학 대학원에서 근대 일본 군사사를 전공해 석사,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주로 근대 일본군과 전쟁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으며, 근대 한일관계, 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강의와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일본 근세 근현대사』(공저,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地域の中の軍隊 7 帝国支配の最前線ー植民地』(공저, 吉川弘文舘, 2015)가 있다. 번역서로는 『일본근현대사를어떻게 볼 것인가?』(어문학사, 2013) 등이 있고, 『벌거벗은 세계사 6 : 조선을 둘러싼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아울북, 2023) 등을 감수했다.
펼치기
박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쓰쿠바대학에서 국제학 석사과정을 수료하고 히도쓰바시대학에서 일본 근대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산대학교 국제학부 조교수를 거쳐 숙명여자대학교 일본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2021년 정년 퇴임했다. 대표 저서로는 『근대 일본 형성기의 국가와 민중』(제이앤씨, 2004), 『21세기 천황제와 일본』(논형, 2006),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개정판』(공저, 창비, 2016), 『메이지 천황』(살림,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최종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근대일본의 중정국가 구상』(경인문화사, 2009), 『한국과 일본, 역사화해는 가능한가』(공저, 연암서가, 2017) 『전향의 사상사적 연구』(역서, 논형, 2007), 『천황제의 침략책임과 전후책임』(역서, 경북대출판부, 2017), 「냉전의 전개와 일본공산당의 혁명노선 변경」 (『일본근대학연구』 68, 2020) 등
펼치기
유지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으며, 릿쿄대학에서 역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전공은 일본 현대사로 관심 분야는 일본의 사회사 및 군사안보 문제이다. 현재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쟁점 한국사: 현대편>(2017), <동북아, 니체를 만나다>(2022) 등이 있으며, 역서로 <점령과 개혁>(2012), <상징천황제와 황위 계승>(2020), <동북아, 니체를 읽다>(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내가 사상을 논할 때, 그 원점인 '재일조선인'이다. 개개의 사람들이 그러하며 또한 인류사 그 자체가 그러하듯이 사람은 선택하거나 혹은 희망해서 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선택이 불가능한 운명적인 존재로서 탄생하고, 또한 태어남과 동시에 어떤 일정한 역사적 존재로서 살아가는 것이 인간존재의 규정이다. 태어나면서 주어진 처지, 환경, 시대성을 부정할 수는 없으며, 오히려 달아나지 않고 거기에 정면으로 대응함으로써 더욱 통찰력을 가진 풍부하고 충족한 생을 영위할 수 있을 터이며, 그것이 생과 사의 경계를 살아가는 인간의 책무일지도 모른다. - 14쪽


이 책을 일관하는 하나의 사상축은 이미 '고전적'인 말이 되어버린 '민족문제.식민지 문제'에 관한 '탈식민지화'의 과제다. 그것은 단적으로 말하자면 근대일본의 근원적인 사상과제로 생각되는 '천황제와 조선'을 묻는 일이기도 하다. 실제로 전후 일본에서는 국가형태의 근간을 이루는 천황제에 관해서는 거의 사고정지에 빠진 상태에 있으며, 또한 그 대극에 있다고 할 수 있는 조선.조선인에 관해서도 사상적으로 방치한 채로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15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