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칸트
· ISBN : 9791159313301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9-02-0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서문(초판)
서문(재판)
들어가는 말(초판)
Ⅰ. 초월철학의 이념
Ⅱ. 초월철학의 구분
들어가는 말(재판)
Ⅰ. 순수 인식과 경험적 인식의 구별에 관하여
Ⅱ. 우리는 선험적인 어떠한 인식을 지니고 있으며, 상식조차 그와 같은 것 없이는 결코 성립될 수 없다
Ⅲ. 철학에는 모든 선험적 인식의 가능성, 원리 그리고 범위를 규정하는 학문이 필요하다
Ⅳ. 분석적 판단과 종합적 판단을 구별하는 것에 관하여
Ⅴ. 이성에 바탕을 둔 모든 이론적 학문에는 선험적 종합판단이 원리로 포함되어 있다
Ⅵ. 순수이성의 일반적 과제
Ⅶ. 순수이성 비판이라는 이름 아래 특수한 학문들의 이념과 구분
해제 - 이성적 능력에 대한 비판적 탐구, 순수이성 비판
1. 이마누엘 칸트의 생애와 사상
2. 《순수이성 비판》의 탄생 배경
3. 《순수이성 비판》의 주요 내용
4. 《순수이성 비판》이 후대 철학에 끼친 영향과 계보
5. 《순수이성 비판》의 현대적 의미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책속에서
논리학이 이렇게 훌륭하게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도 그것이 오로지 자신의 한계를 고유하게 설정하는 제한성 덕분이다. 바로 이러한 제한성으로 인하여 논리학은 정당하게 인식의 모든 객체와 그것들 사이의 차이를 추상할 수 있으며, 또 그렇게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논리학에서 지성은 자기 자신과 자신의 형식 외에 더 이상 다른 어떤 것에도 관계하지 않는다. 그러나 물론 이성이 학문의 확고한 길에 접어든다는 것은 훨씬 더 어렵다.
-서문(재판)
이 모든 것을 고려하는 것에서 이제 순수이성 비판에 이바지할 수 있는 하나의 특별한 학문이라는 이념이 생기게 된다. 그 어떤 낯선 것과도 섞여 있지 않은 그와 같은 인식이 순수하다고 일컬어진다. 그러나 하나의 인식은 그것에 어떠한 경험도 감각도 전혀 섞여 있지 않고, 따라서 완전히 선험적으로만 가능한 경우 순수하다고 명명된다. 그런데 이성은 선험적인 인식의 원리들을 주는 능력이다. 따라서 순수이성은 오로지 선험적으로만 어떤 것을 인식하는 원리들을 포함하는 그와 같은 것이다.
-들어가는 말(초판)
많은 연구들을 단 하나의 일정한 과제 형식 아래 가져올 수 있다면, 우리는 이미 그로 인해서 아주 많은 것을 얻게 되는 셈이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자기의 할 일을 정확히 규정하여 자기 자신이 종사해야 할 일을 힘들이지 않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그것을 검토하려는 다른 모든 사람이 우리가 계획한 것을 충분히 이행했는지, 이행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는 것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순수이성의 고유한 과제는 선험적 종합판단이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물음에 담겨 있다.
-들어가는 말(재판)